![[서울=뉴시스] '한국의 인구 소멸' 경고한 "한국은 끝났다" 영상 섬네일. (출처=Kurzgesagt) 2025.04.03.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4/03/NISI20250403_0001808995_web.jpg?rnd=20250403150910)
[서울=뉴시스] '한국의 인구 소멸' 경고한 "한국은 끝났다" 영상 섬네일. (출처=Kurzgesagt) 2025.04.03.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하다임 인턴 기자 = 독일의 유명 유튜브 채널이 '한국의 인구 소멸'을 경고하는 영상을 공개해 큰 화제가 되고 있다.
구독자 2380만명을 보유한 독일의 과학 전문 유튜브 채널 '쿠어츠게자흐트(Kurzgesagt)'는 지난 2일 "한국은 끝났다(SOUTH KOREA IS OVER)"라는 제목의 영상을 게시했다.
이 채널은 2023년에도 '한국은 왜 망해가나(Why Korea is Dying Out)'라는 제목의 영상을 녹아내리는 태극기 이미지와 함께 공개한 바 있는데, 불과 1년 만에 '죽어가는'에서 '죽었다'로 바뀐 셈이다.
구독자 2380만명을 보유한 독일의 과학 전문 유튜브 채널 '쿠어츠게자흐트(Kurzgesagt)'는 지난 2일 "한국은 끝났다(SOUTH KOREA IS OVER)"라는 제목의 영상을 게시했다.
이 채널은 2023년에도 '한국은 왜 망해가나(Why Korea is Dying Out)'라는 제목의 영상을 녹아내리는 태극기 이미지와 함께 공개한 바 있는데, 불과 1년 만에 '죽어가는'에서 '죽었다'로 바뀐 셈이다.
![[서울=뉴시스] 유튜버가 제시한 2060년 한국의 인구 피라미드 (출처=Kurzgesagt) 2025.04.03.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4/03/NISI20250403_0001809000_web.jpg?rnd=20250403151006)
[서울=뉴시스] 유튜버가 제시한 2060년 한국의 인구 피라미드 (출처=Kurzgesagt) 2025.04.03.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불닭볶음면도, 오징어게임도, K-POP도 사라질 것"
영상은 "한국은 인구, 경제, 사회, 문화, 군사 등 모든 분야에서 곧 붕괴하기 시작할 것"이라는 섬뜩한 경고로 시작된다. 유튜버는 2060년 한국의 인구 피라미드를 제시하며 "35년 만에 한국 인구의 30%인 1600만명이 사라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2060년 한국 인구의 절반이 65세 이상의 노인, 25세 미만은 10%도 안 되며, 유아 인구는 전체의 1%에 불과할 것"이라며, "한국은 인류 역사상 가장 고령화된 국가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경제 전망도 암울하다. 유튜버는 "연금 시스템이 유지되려면 은퇴자 1명당 근로자 2~3명의 세금이 필요하지만, 2060년에는 근로자 1명이 은퇴자 1명을 감당하지 못하는 수준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노동 인구는 2023년 3700만명에서 2060년 1700만명으로 반토막 날 것이며, 이로 인해 2040년대부터 GDP가 정점을 찍고 영구적인 경기침체에 빠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영상은 인구 감소가 한국 사회 전반에 미칠 충격적인 변화도 예측했다. 2060년 25~35세 청년층이 전체 인구의 5%에 불과해지고, 대부분이 형제·자매 없이 성장하면서 "전례 없는 규모의 외로움 유행이 불가피하다"고 분석했다.
문화적 측면에서도 K-POP, K-드라마 등 한류를 이끌어온 25~45세 인구가 2000년 1750만명(37%)에서 2060년 560만명(16%)으로 급감하면서 "한국 문화의 영혼이 축소되고 결국 사라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국방 문제도 심각하다. 영상은 "남북이 휴전 상태인 점을 감안하면, 병역 자원 감소는 국방력에도 심각한 위협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전투 가능 연령대 남성의 5%가 군 복무 중이지만, 2060년에는 동일한 병력 규모를 유지하려면 15%까지 증가해야 한다는 분석도 내놨다.
이 영상은 공개 14시간 만에 210만 조회수, 2만 개 이상의 댓글을 기록하며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영상을 접한 해외 네티즌들은 "한국어 더빙과 자막 추가해 한국인들이 사태의 심각성을 알게 해야 한다", "이건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적인 문제다. 치솟는 물가와 낮은 임금 탓에 젊은 세대는 연애할 시간도, 가정을 꾸릴 경제적 여유도 없는 상황이다" 등 우려를 표했다.
![[서울=뉴시스] 2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23만8300명으로 전년보다 8300명(3.6%) 증가했다. 합계출산율은 0.75명을 기록하면서 9년 만에 반등했다. (그래픽=전진우 기자) 618tue@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2/26/NISI20250226_0001778674_web.jpg?rnd=20250226135239)
[서울=뉴시스] 2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23만8300명으로 전년보다 8300명(3.6%) 증가했다. 합계출산율은 0.75명을 기록하면서 9년 만에 반등했다. (그래픽=전진우 기자) 618tue@newsis.com
한편, 한국의 합계 출산율은 2021년 0.81명, 2022년 0.78명, 2023년 0.72명으로 감소를 거듭하다 지난해 0.75명으로 9년 만에 반등했지만, 여전히 세계 최저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시간 핫뉴스
정부와 지자체가 결혼·출산 장려금을 확대하는 등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지만, 그 효과는 미미한 실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hadaim@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