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축제 바가지요금 관련 대책 내놨으나 '사후약방문' 비판
![[제주=뉴시스] 지난달 개최된 제주시 왕벚꽃 축제에서 일부 노점이 순대 6개가 든 순대볶음을 2만5000원에 판매한 사실이 온라인 상에 퍼져 '제주도 바가지 요금' 논란이 다시 제기됐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도내 모든 축제에 음식 모형 비치를 권고하기로 하는 등 대책을 내놨다. (사진=SNS 캡처)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4/02/NISI20250402_0001808031_web.jpg?rnd=20250402165412)
[제주=뉴시스] 지난달 개최된 제주시 왕벚꽃 축제에서 일부 노점이 순대 6개가 든 순대볶음을 2만5000원에 판매한 사실이 온라인 상에 퍼져 '제주도 바가지 요금' 논란이 다시 제기됐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도내 모든 축제에 음식 모형 비치를 권고하기로 하는 등 대책을 내놨다. (사진=SNS 캡처)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제주=뉴시스] 우장호 기자 = 최근 제주 벚꽃축제장에서 순대 6개가 들어간 순대볶음을 2만5000원에 판매해 '바가지 논란'이 다시 발생하자 제주도가 메뉴판에 사진을 붙이라는 근절 대책을 내놨다.
하지만 지난해 비슷한 사태를 겪어 제주 관광 이미지 추락을 경험하고도 '사후약방문식' 처방을 내놨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제주도는 2일 '지역축제 바가지요금 관련 관리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개최 예정인 도내 축제 판매 부스 내·외부에 판매 품목에 대한 메뉴판과 가격표를 게시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메뉴판에는 음식 견본 이미지를 추가하고, 샘플 모형을 판매 부스 앞에 비치하도록 적극 권고할 방침이라고 했다.
축제장 종합상황실에 '바가지요금 신고센터'를 운영해 부당 상행위 신고에 대해 현장에서 대응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축제 운영 중 사회적 이슈나 논란이 야기될 경우 축제 평가에 페널티도 적용하기로 했다.
지역 상인에 대한 사전교육도 밝혔다. 축제 전에 지역 상인과 판매 부스 참여자를 상대로 끼워팔기, 과다한 요금 청구 등 불공정 행위와 위생·친절서비스 관련 교육을 하겠다는 것이다.
이 같은 조치는 지난달 28∼30일 제주시 전농로에서 열린 왕벚꽃축제 일부 노점에서 순대 6개가 든 순대볶음을 2만5000원에 판매했다는 등의 글이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퍼지면서 '바가지요금' 논란이 다시 일었기 때문이다.
이 게시글을 본 누리꾼들은 해당 축제 상인들이 찐옥수수 하나 5000원, 어린이용 풍선 2만원 등 바가지 요금을 받았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바가지 요금' 논란은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한 유튜버는 용두암 해산물 노점에서 전복, 해삼, 소라 몇 점이 담긴 회를 5만원에 팔았다고 폭로하기도 했다.
'비계 삼겹살'은 제주도 관광 이미지를 후퇴시킨 상징어가 되기도 했다.
다시 논란이 불거지자 오영훈 제주지사는 지난달 31일 월간정책공유회의에서 "제주 관광이 비싸다는 이유가 뭔지 분석해보니 갈치구이가 대표 사례로 지적되고 있다"면서 "1인당 7만원에서 10만원까지 형성된 가격 체계는 1회전 객단가 중심의 사고방식에서 비롯됐다"고 지적했다.
오 지사는 "가격을 낮추고 회전율을 높이는 것이 더 중요하다"며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우리가 준비하는 다양한 관광 진흥 정책과 인센티브도 실효성을 거두기 어려울 것"이라고 이미지 개선을 요구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woo1223@newsis.com
하지만 지난해 비슷한 사태를 겪어 제주 관광 이미지 추락을 경험하고도 '사후약방문식' 처방을 내놨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제주도는 2일 '지역축제 바가지요금 관련 관리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개최 예정인 도내 축제 판매 부스 내·외부에 판매 품목에 대한 메뉴판과 가격표를 게시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메뉴판에는 음식 견본 이미지를 추가하고, 샘플 모형을 판매 부스 앞에 비치하도록 적극 권고할 방침이라고 했다.
축제장 종합상황실에 '바가지요금 신고센터'를 운영해 부당 상행위 신고에 대해 현장에서 대응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축제 운영 중 사회적 이슈나 논란이 야기될 경우 축제 평가에 페널티도 적용하기로 했다.
지역 상인에 대한 사전교육도 밝혔다. 축제 전에 지역 상인과 판매 부스 참여자를 상대로 끼워팔기, 과다한 요금 청구 등 불공정 행위와 위생·친절서비스 관련 교육을 하겠다는 것이다.
이 같은 조치는 지난달 28∼30일 제주시 전농로에서 열린 왕벚꽃축제 일부 노점에서 순대 6개가 든 순대볶음을 2만5000원에 판매했다는 등의 글이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퍼지면서 '바가지요금' 논란이 다시 일었기 때문이다.
이 게시글을 본 누리꾼들은 해당 축제 상인들이 찐옥수수 하나 5000원, 어린이용 풍선 2만원 등 바가지 요금을 받았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바가지 요금' 논란은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한 유튜버는 용두암 해산물 노점에서 전복, 해삼, 소라 몇 점이 담긴 회를 5만원에 팔았다고 폭로하기도 했다.
'비계 삼겹살'은 제주도 관광 이미지를 후퇴시킨 상징어가 되기도 했다.
이시간 핫뉴스
다시 논란이 불거지자 오영훈 제주지사는 지난달 31일 월간정책공유회의에서 "제주 관광이 비싸다는 이유가 뭔지 분석해보니 갈치구이가 대표 사례로 지적되고 있다"면서 "1인당 7만원에서 10만원까지 형성된 가격 체계는 1회전 객단가 중심의 사고방식에서 비롯됐다"고 지적했다.
오 지사는 "가격을 낮추고 회전율을 높이는 것이 더 중요하다"며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우리가 준비하는 다양한 관광 진흥 정책과 인센티브도 실효성을 거두기 어려울 것"이라고 이미지 개선을 요구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woo1223@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