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 조작해 200억원대 부당이득 혐의
![[서울=뉴시스] '라임사태' 주범인 이인광 에스모 회장의 도피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시세 조종에 가담한 혐의를 받는 전직 검찰 수사관이 보석으로 풀려났다. (사진=뉴시스DB) 2025.03.2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3/11/10/NISI20231110_0001408934_web.jpg?rnd=20231110143627)
[서울=뉴시스] '라임사태' 주범인 이인광 에스모 회장의 도피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시세 조종에 가담한 혐의를 받는 전직 검찰 수사관이 보석으로 풀려났다. (사진=뉴시스DB) 2025.03.2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우지은 기자 = '라임사태' 주범인 이인광 에스모 회장의 도피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시세 조종에 가담한 혐의를 받는 전직 검찰 수사관이 보석으로 풀려났다.
28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남부지법 형사합의15부(부장판사 양환승)는 이날 자본시장법 위반 등 혐의로 구속 기소된 전직 검찰 수사관 이모(59)씨의 보석 청구를 인용했다.
공범으로 지목된 중앙첨단소재(옛 중앙디앤엠) 관계사 전 대표 최모(55)씨의 보석 청구도 이날 인용됐다.
앞서 지난달 18일 열린 첫 재판에서 이씨 측 변호인은 "관련자들 진술이 모두 확보돼 증거 인멸의 의지가 없고 도망할 염려가 없다. 기저질환 등을 앓고 있다"며 "보석 허가를 내려달라"고 말한 바 있다.
최씨 측 변호인은 "도주의 우려 및 인멸할 증거가 없다"며 "다른 피고인들과 접촉한 적이 없어 범죄사실에 대한 소명이 부족해 보이는데 방어권 보장을 위해 불구속 재판을 허용해달라"고 주장했다.
검찰에 따르면, 이씨 등 일당은 코스닥 상장사인 중앙첨단소재와 퀀타피아의 주가를 조작해 200억원대의 부당이득을 취한 혐의를 받는다.
이들은 라임사태 핵심으로 지목된 이 회장의 도피 자금을 조성할 목적으로 해당 회사들을 대상으로 시세 조종성 주문을 넣은 것으로 조사됐다.
구체적으로, 일당은 지난 2023년 3월부터 약 한 달간 시세 조종성 주문을 통해 중앙디앤엠 주가를 580원에서 5580원까지 부양하고 총 140억 수준의 부당이득을 챙긴 것으로 검찰은 파악했다.
이후 이씨를 주축으로 일당은 퀀타피아에 대한 주가 조작에 나서며 813원에 불과한 주가를 4400원으로 높이고, 1000억원 상당의 투자가 확정됐다는 허위 투자확약서를 이용해 공시하는 등 60억원 상당의 부당이득을 가로챈 것으로 검찰은 보고 있다.
이에 검찰은 같은 혐의로 지난해 12월까지 이씨를 포함한 일당 9명을 기소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now@newsis.com
28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남부지법 형사합의15부(부장판사 양환승)는 이날 자본시장법 위반 등 혐의로 구속 기소된 전직 검찰 수사관 이모(59)씨의 보석 청구를 인용했다.
공범으로 지목된 중앙첨단소재(옛 중앙디앤엠) 관계사 전 대표 최모(55)씨의 보석 청구도 이날 인용됐다.
앞서 지난달 18일 열린 첫 재판에서 이씨 측 변호인은 "관련자들 진술이 모두 확보돼 증거 인멸의 의지가 없고 도망할 염려가 없다. 기저질환 등을 앓고 있다"며 "보석 허가를 내려달라"고 말한 바 있다.
최씨 측 변호인은 "도주의 우려 및 인멸할 증거가 없다"며 "다른 피고인들과 접촉한 적이 없어 범죄사실에 대한 소명이 부족해 보이는데 방어권 보장을 위해 불구속 재판을 허용해달라"고 주장했다.
검찰에 따르면, 이씨 등 일당은 코스닥 상장사인 중앙첨단소재와 퀀타피아의 주가를 조작해 200억원대의 부당이득을 취한 혐의를 받는다.
이들은 라임사태 핵심으로 지목된 이 회장의 도피 자금을 조성할 목적으로 해당 회사들을 대상으로 시세 조종성 주문을 넣은 것으로 조사됐다.
구체적으로, 일당은 지난 2023년 3월부터 약 한 달간 시세 조종성 주문을 통해 중앙디앤엠 주가를 580원에서 5580원까지 부양하고 총 140억 수준의 부당이득을 챙긴 것으로 검찰은 파악했다.
이시간 핫뉴스
이후 이씨를 주축으로 일당은 퀀타피아에 대한 주가 조작에 나서며 813원에 불과한 주가를 4400원으로 높이고, 1000억원 상당의 투자가 확정됐다는 허위 투자확약서를 이용해 공시하는 등 60억원 상당의 부당이득을 가로챈 것으로 검찰은 보고 있다.
이에 검찰은 같은 혐의로 지난해 12월까지 이씨를 포함한 일당 9명을 기소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now@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