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가 틱톡보다 더 큰 가치" 촉구
![[워싱턴=AP/뉴시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6일(현지 시간)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내 사업권을 자국에게 매각하도록 협력하면 대중 관세를 인하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사진은 트럼프 대통령이 26일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자들에게 발언하고 있는 모습. 2025.03.27.](https://img1.newsis.com/2025/03/27/NISI20250327_0000209897_web.jpg?rnd=20250327090531)
[워싱턴=AP/뉴시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6일(현지 시간)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내 사업권을 자국에게 매각하도록 협력하면 대중 관세를 인하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사진은 트럼프 대통령이 26일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자들에게 발언하고 있는 모습. 2025.03.27.


[서울·워싱턴=뉴시스] 김예진 기자, 이윤희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6일(현지 시간)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내 사업권을 자국에게 매각하도록 협력하면 대중 관세를 인하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25% 자동차 관세를 발표하며 틱톡 매각 마감 시한을 연장하겠느냐는 질문에 "연장할 것"이라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면서 "틱톡을 구매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며 "국가를 위해, 우리나라를 위해 가장 좋은 방법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틱톡과 관련해서는 중국이 아마도 (미국 내 사업권 매각에 대한) 승인 같은 형태로 역할을 해야 할 것"이라며 "아마도 (미국은) 관세를 조금 인하해주거나 혹은 뭔가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중국에게) 관세가 틱톡보다 더 큰 가치가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이 그렇게 하도록 하기 위해 관세를 인하할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 연방 의회는 지난해 4월 이른바 '틱톡 금지법'을 통과시켰다. 틱톡 모회사인 중국 기업 바이트댄스에 270일 안에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매각하도록 하며 이를 어길 경우 미국 내 서비스를 금지하는 내용이 담겼다. 트럼프 대통령 전임인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이 관련 법안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20일 취임하자마자 틱톡금지법 시행을 75일 간 중단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바이트댄스 측은 틱톡금지법 시행이 임박했음에도 불구하고 어떤 잠재적 구매자와도 협상을 진행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하기 전 지속적으로 틱톡의 미국 내 서비스 중단을 막을 것이라고 시사해 왔기 때문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구매자가 틱톡 회사 절반을 인수해 50 대 50 합작 회사로 운영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틱톡 모기업인 중국 바이트댄스가 응할지는 미지수다.
◎공감언론 뉴시스 aci27@newsis.com, sympathy@newsis.com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25% 자동차 관세를 발표하며 틱톡 매각 마감 시한을 연장하겠느냐는 질문에 "연장할 것"이라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면서 "틱톡을 구매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며 "국가를 위해, 우리나라를 위해 가장 좋은 방법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틱톡과 관련해서는 중국이 아마도 (미국 내 사업권 매각에 대한) 승인 같은 형태로 역할을 해야 할 것"이라며 "아마도 (미국은) 관세를 조금 인하해주거나 혹은 뭔가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중국에게) 관세가 틱톡보다 더 큰 가치가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이 그렇게 하도록 하기 위해 관세를 인하할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 연방 의회는 지난해 4월 이른바 '틱톡 금지법'을 통과시켰다. 틱톡 모회사인 중국 기업 바이트댄스에 270일 안에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매각하도록 하며 이를 어길 경우 미국 내 서비스를 금지하는 내용이 담겼다. 트럼프 대통령 전임인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이 관련 법안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20일 취임하자마자 틱톡금지법 시행을 75일 간 중단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시간 핫뉴스
바이트댄스 측은 틱톡금지법 시행이 임박했음에도 불구하고 어떤 잠재적 구매자와도 협상을 진행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하기 전 지속적으로 틱톡의 미국 내 서비스 중단을 막을 것이라고 시사해 왔기 때문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구매자가 틱톡 회사 절반을 인수해 50 대 50 합작 회사로 운영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틱톡 모기업인 중국 바이트댄스가 응할지는 미지수다.
◎공감언론 뉴시스 aci27@newsis.com, sympathy@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