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원·R114 2년간 공동주택 입주예정물량 발표
전국 2년간 46.5만호…올해 27.4만호·내년 19.7만호
'내년 7000호' 통계 3배 이상…임대주택 등 반영

[서울=뉴시스]이연희 기자 = 내년도 서울의 공동주택 입주물량이 2만4462호로 올해(4만6710호) 물량 대비 반토막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내년도 입주물량이 7000호 수준으로 급감한다는 민간 통계가 나왔지만 임대주택 등의 물량이 포함되며 그 3배 이상의 규모로 집계됐다.
한국부동산원과 부동산R114는 14일 공동으로 '공동주택 입주예정물량 정보'를 이같이 발표했다.
양 기관이 협업해 내놓은 이번 통계에 따르면 전국의 공동주택 입주예정 물량은 올해 27만4360호, 내년 19만773호 등 2년간 총 46만5133호다.
수도권은 올해 14만114호에서 내년 10만1083호로 3만9031호 감소할 전망이다. 서울은 2년간 총 7만1172호(2025년 4만6710호·2026년 2만4462호) 경기도는 13만3184호(2025년 7만1472호·2026년 6만1712호), 인천은 3만6841호(2025년 2만1932호·2026년 1만4909호) 등이다.
앞서 민간업체인 부동산 R114는 청약 완료 단지를 기준으로 서울의 입주예정물량을 산정한 결과 올해 3만1300호, 내년에 7768호로 급감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경기·인천을 포함한 수도권 입주예정물량도 올해 11만3465호에서 6만9642호로 40% 가까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아직 모집공고 하지 않은 단지나 공공주택 등이 포함되지 않아 정확도에 큰 한계가 있다"며 "정비사업 후분양 단지, 공공분양 주택, 건설형 공공·민간 임대주택 등 다양한 유형의 아파트가 누락될 수 있다"고 반박했다.
이처럼 민간과 집계 기준이 달라짐에 따라 서울 입주예정 물량 차이는 올해 약 1만5410호, 내년은 1만6694호로 나타났다. 수도권은 올해 2만6649호, 내년 3만1441호 차이가 발생했다.
부동산원은 "지난해 12월 말 기준으로 2025년 1월부터 2026년 12월까지 2년간 공동주택 입주예정 물량의 전망치"라며 "부동산원과 부동산R114 양 기관이 보유한 주택건설 실적정보와 입주자모집 공고 정보, 정비사업 추진실적, 부동산R114 정보 등을 활용해 산정했다"고 설명했다.
다른 광역시는 ▲부산 2만1409호(2025년 9539호·2026년 1만1870호) ▲대구 2만3085호(2025년 1만2334호·2026년 1만751호) ▲광주 1만5962호(2025년 4725호·2026년 1만1237호) ▲대전 1만8350호(2025년 1만1907호·2026년 6443호) ▲울산 8285호(2025년 5653호·2026년 2632호) ▲세종 2001호(2025년 2001호·2026년 0호)로 집계됐다.
도 단위는 ▲강원 1만7225호(2025년 9071호·2026년 8154호) ▲충북 1만8946호(2025년 1만3168호·2026년 5778호) ▲충남 2만3531호(2025년 1만3530호·2026년 1만1호) ▲전북 1만7304호(2025년 1만875호·2026년 6429호) ▲전남 1만2515호(2025년 7199호·2026년 5316호) ▲경북 1만5396호(2025년 1만1210호·2026년 4186호) ▲경남 2만8641호(2025년 2만2224호·2026년 6417호) ▲제주 1286호(2025년 810호·2026년 476호)로 나타났다.
부동산원은 통계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전국 지자체 검증, 정비사업 실 착공 기준 집계, 공사 중단, 일정 변경 등 변동 사항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입주예정물량의 세부정보 등은 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과 청약홈, 공공데이터포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최근 내년도 입주물량이 7000호 수준으로 급감한다는 민간 통계가 나왔지만 임대주택 등의 물량이 포함되며 그 3배 이상의 규모로 집계됐다.
한국부동산원과 부동산R114는 14일 공동으로 '공동주택 입주예정물량 정보'를 이같이 발표했다.
양 기관이 협업해 내놓은 이번 통계에 따르면 전국의 공동주택 입주예정 물량은 올해 27만4360호, 내년 19만773호 등 2년간 총 46만5133호다.
수도권은 올해 14만114호에서 내년 10만1083호로 3만9031호 감소할 전망이다. 서울은 2년간 총 7만1172호(2025년 4만6710호·2026년 2만4462호) 경기도는 13만3184호(2025년 7만1472호·2026년 6만1712호), 인천은 3만6841호(2025년 2만1932호·2026년 1만4909호) 등이다.
앞서 민간업체인 부동산 R114는 청약 완료 단지를 기준으로 서울의 입주예정물량을 산정한 결과 올해 3만1300호, 내년에 7768호로 급감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경기·인천을 포함한 수도권 입주예정물량도 올해 11만3465호에서 6만9642호로 40% 가까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아직 모집공고 하지 않은 단지나 공공주택 등이 포함되지 않아 정확도에 큰 한계가 있다"며 "정비사업 후분양 단지, 공공분양 주택, 건설형 공공·민간 임대주택 등 다양한 유형의 아파트가 누락될 수 있다"고 반박했다.
이처럼 민간과 집계 기준이 달라짐에 따라 서울 입주예정 물량 차이는 올해 약 1만5410호, 내년은 1만6694호로 나타났다. 수도권은 올해 2만6649호, 내년 3만1441호 차이가 발생했다.
부동산원은 "지난해 12월 말 기준으로 2025년 1월부터 2026년 12월까지 2년간 공동주택 입주예정 물량의 전망치"라며 "부동산원과 부동산R114 양 기관이 보유한 주택건설 실적정보와 입주자모집 공고 정보, 정비사업 추진실적, 부동산R114 정보 등을 활용해 산정했다"고 설명했다.
다른 광역시는 ▲부산 2만1409호(2025년 9539호·2026년 1만1870호) ▲대구 2만3085호(2025년 1만2334호·2026년 1만751호) ▲광주 1만5962호(2025년 4725호·2026년 1만1237호) ▲대전 1만8350호(2025년 1만1907호·2026년 6443호) ▲울산 8285호(2025년 5653호·2026년 2632호) ▲세종 2001호(2025년 2001호·2026년 0호)로 집계됐다.
도 단위는 ▲강원 1만7225호(2025년 9071호·2026년 8154호) ▲충북 1만8946호(2025년 1만3168호·2026년 5778호) ▲충남 2만3531호(2025년 1만3530호·2026년 1만1호) ▲전북 1만7304호(2025년 1만875호·2026년 6429호) ▲전남 1만2515호(2025년 7199호·2026년 5316호) ▲경북 1만5396호(2025년 1만1210호·2026년 4186호) ▲경남 2만8641호(2025년 2만2224호·2026년 6417호) ▲제주 1286호(2025년 810호·2026년 476호)로 나타났다.
부동산원은 통계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전국 지자체 검증, 정비사업 실 착공 기준 집계, 공사 중단, 일정 변경 등 변동 사항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입주예정물량의 세부정보 등은 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과 청약홈, 공공데이터포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