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기업 '공급망ESG' 대응체계 구축 지원…20억원 규모

기사등록 2025/03/14 08:42:02

최종수정 2025/03/14 10:02:25

'2025년도 대·중소기업 공급망 ESG 사업' 시행

ESG 지표·온실가스 산정 등 ESG 역량 지원

[서울=뉴시스] 동반성장위원회 로고. (사진= 동반성장위원회 제공)
[서울=뉴시스] 동반성장위원회 로고. (사진= 동반성장위원회 제공)
[서울=뉴시스] 류난영 기자 = 동반성장위원회(동반위)는 14일 서울 중 LW컨벤션에서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중진공)과 함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지원사업 통합설명회를 개최하고 '2025년도 대·중소기업 공급망 ESG 사업'을 본격 시행한다고 밝혔다.
 
동반위는 대·중소기업이 해외수출을 하거나 외국기업과 거래시 요구되는 ESG 지표, 온실가스 산정 등 ESG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ESG경영 전반의 과제를 발굴, 지원할 계획이다.

'대·중소 자율형 ESG 지원사업'은 올해 처음으로 시행되는 사업으로, 해외 수출 규제 등 ESG 요구사항 대응을 위해 대·중소기업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ESG 활동에 대해 정부지원금을 매칭 해준다.

올해 총 20억원 규모로 운영되며, 상생협력기금을 출연한 대기업이 협력 중소기업을 자율적으로 모집해 과제를 신청할 수 있다.

상생협력기금은 대기업, 중견기업 등이 중소기업과의 지속가능한 발전, 상생협력을 위해 출연하는 민간기금을 말한다.

해외거래선의 요구 등에 따라 EU 공급망 실사, 온실가스 검증, ESG 글로벌 인증, 친환경 공정 컨설팅 등 다양한 유형의 지원이 가능하다.

'협력사 ESG 지원사업'은 2019년부터 추진중인 사업으로 50여 대기업 및 공공기관이 85억4000만을 출연해 협력사 대상으로 임직원 교육 3933개사, 역량컨설팅 1679개사를 지원한 바 있다.

올해부터는 기업별 맞춤형 지원을 위해 기존의 단순 역량컨설팅을 탈피해 개별 기업의 경영상황에 맞게 맞춤형 컨설팅으로 개편된다.

앞으로 동반위는 글로벌 ESG 트랜드에 맞춰 ESG전문기관으로 역할을 강화할 예정이다.

중소기업의 ESG경영 표준지표인 '중소기업 ESG 표준 가이드라인'을 국내외 법·제도에 맞게 개정하면서 중소기업 수준에 맞도록 간소화해 제공한다.

또 400여 대기업 및 공공기관과 'ESG경영 협의체'를 구성해 동반성장 평가 시 거래 중소기업과의 ESG경영이 확산 될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임직원 ESG 교육, 대·중소기업 ESG 포럼, 국내외 우수사례 벤치마킹 등 공급망내 ESG 활동이 확산 되도록 다양한 사업을 운영할 계획이다.

박치형 동반위 운영처장은 "최근 EU의 옴니버스패키지, 미국의 파리기후협약탈퇴 등 이슈에도 불구하고 ESG는 우리기업의 생존전략이 될 것"이라며 "공급망 ESG 전문기관으로서 역할을 충실히 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설명회는 ▲ESG 경영의 중요성과 대응 전략을 공유하기 위한 강연 ▲ESG 지원사업 소개 및 질의응답 ▲현장간담회등으로 진행된다.

중진공은 '중소기업 기후공시, 공급망 실사 기반 구축 사업'에 대해 발표하고, 동반위는 '대·중소 자율형 ESG 지원사업'과 '협력사 ESG 지원사업'을 안내할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수출기업 '공급망ESG' 대응체계 구축 지원…20억원 규모

기사등록 2025/03/14 08:42:02 최초수정 2025/03/14 10:02:25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