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교산 송전철탑 이설' 놓고 갈등 빚는 용인·수원·GH

기사등록 2025/03/13 12:57:03

최종수정 2025/03/13 13:24:24

용인시 "성복동 주민 조망권 피해 우려"…이의 제기

[용인=뉴시스] 용인 성복자이2차 아파트에서 바라본 송전철탑의 모습(사진=용인시 제공)2025.03.13. photo@newsis.com
[용인=뉴시스] 용인 성복자이2차 아파트에서 바라본 송전철탑의 모습(사진=용인시 제공)2025.03.13. [email protected]

[용인=뉴시스] 이준구 기자 = 광교산 송전철탑 이설을 놓고 용인·수원·GH가 아직도 갈등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일 용인시장은 13일 수원시의 광교산 송전철탑 이설 사업과 관련, "수원시가 공동시행자인 용인시와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광교 송전철탑 이설을 강행하는 것은 이웃 도시 간 공동 발전을 저해하는 것"이라며 "수원시는 우리 시와의 진지한 논의를 통해 문제를 원만하게 해결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수원시가 지난달 광교지구 도시계획시설사업(전기공급설비) 설치 공사와 관련해 사업 시행자를 경기주택도시공사(GH)·한전에서 수원시장·한전으로 변경하는 것에 대한 공고를 한 데 대해 단호하게 대처하겠다는 입장을 나타낸 것이다.

용인시는 최근 광교 택지지구 개발의 공동 사업시행자인 경기도와 수원시, GH에 광교 송전철탑 이설사업 추진(도시계획시설 사업시행자 변경)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공문을 발송했다.

시는 그동안 용인시 주민의 민원 해소와 피해 최소화를 위해 송전철탑 이전에 따른 반대 민원이 발생할 수 있으니 수지구 성복동 방향에서 송전탑이 보이지 않도록 할 것 등을 수원시 등에 지속적으로 요구해 왔다.

광교산 송전철탑 이설 문제는 지난 2010년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 소재 해모로아파트 주민들이 민원을 제기하면서 불거졌다. 그러자 2012년 용인시 수지구 성복동 일원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송전철탑 이설을 강력히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히는 등 15년 간 지속돼온 문제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지난 2021년 11월 고충민원 심의를 통해 '용인 시민의 민원 해소방안을 강구한 뒤 송전철탑 이설을 진행해야 한다'고 권고한 바 있다.

아에 따라 용인시 관계자들도 송전탑 이설이 결정된 이후부터 지금까지 공동 사업시행자인 경기도, 수원시, 경기주택도시공사 측에 용인 주민들이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해달라는 뜻을 계속 전달해 왔다.

이상일 시장은 "송전탑 이설 위치가 수원시 관할이긴 하지만 조망권 침해 등 직접적인 피해를 보는 것은 용인시 수지구 성복동 주민들인 만큼 수원시는 용인시와 진지한 소통과 협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광교산 송전철탑 이설' 놓고 갈등 빚는 용인·수원·GH

기사등록 2025/03/13 12:57:03 최초수정 2025/03/13 13:24:24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