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웨더, 인공지능 기술로 행정동별 데이터 생산
![[서울=뉴시스]케이웨더 동별 미세먼지 실황 이미지.(사진=케이웨더 제공) 2025.03.13. 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3/13/NISI20250313_0001790368_web.jpg?rnd=20250313105541)
[서울=뉴시스]케이웨더 동별 미세먼지 실황 이미지.(사진=케이웨더 제공) 2025.03.13.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권혁진 기자 = 날씨 빅데이터플랫폼 기업 케이웨더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행정동별 미세먼지 실황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미세먼지 정보는 정부가 행정구역마다 1개씩 설치한 국가 미세먼지 관측망에 의존한다. 해당 구에 포함된 모든 행정동의 미세먼지 값이 동일하게 제공돼 내가 사는 동네의 정확한 농도를 알기 어렵다.
13일 케이웨더에 따르면 케이웨더의 동별 미세먼지 정보는 600여 곳 국가관측망 정보와 3700여 곳 케이웨더 IoT 실외공기측정기가 측정하는 자체 정보에 오염배출정보, 인구밀도, 지역적특성과 AI기술을 결합해 행정동별 실시간 생산된다.
환경부 측정소는 부피가 크고 관리의 어려움 등으로 일반 시민들이 생활하는 곳이 아닌 숲속이나 건물 옥상 등에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국가관측망은 측정 데이터 수집 후 분석까지 최소 1시간 20분 이상 소요된다.
케이웨더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도로변, CCTV 폴대, 가로등, 스마트폴, 아파트단지 등에 IoT 실외공기측정기를 설치, 실제 호흡하는 공간의 공기데이터를 수집한다.
수집된 데이터와 국가관측망 데이터는 통합 분석을 거쳐 고객이 활용할 수 있도록 언론사, 포털 등 다양한 정보서비스 기관과 기업에 제공된다. 건설 현장 공사 일정 조정과 작업자 보호 조치 계획 수립에도 활용된다.
김동식 케이웨더 대표이사는 "미세먼지 정보는 같은 도시 내에서도 지역별로 차이가 심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동별 미세먼지 정보는 일반 국민들과 다양한 기업에게 꼭 필요한 정보로 인식되고 있다"고 밝혔다.
케이웨더는 앞으로도 다양한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해 동별 미세먼지 실황 정보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한다는 방침이다. 내달부터는 매달 동별 미세먼지 정보를 분석할 계획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현재 미세먼지 정보는 정부가 행정구역마다 1개씩 설치한 국가 미세먼지 관측망에 의존한다. 해당 구에 포함된 모든 행정동의 미세먼지 값이 동일하게 제공돼 내가 사는 동네의 정확한 농도를 알기 어렵다.
13일 케이웨더에 따르면 케이웨더의 동별 미세먼지 정보는 600여 곳 국가관측망 정보와 3700여 곳 케이웨더 IoT 실외공기측정기가 측정하는 자체 정보에 오염배출정보, 인구밀도, 지역적특성과 AI기술을 결합해 행정동별 실시간 생산된다.
환경부 측정소는 부피가 크고 관리의 어려움 등으로 일반 시민들이 생활하는 곳이 아닌 숲속이나 건물 옥상 등에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국가관측망은 측정 데이터 수집 후 분석까지 최소 1시간 20분 이상 소요된다.
케이웨더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도로변, CCTV 폴대, 가로등, 스마트폴, 아파트단지 등에 IoT 실외공기측정기를 설치, 실제 호흡하는 공간의 공기데이터를 수집한다.
수집된 데이터와 국가관측망 데이터는 통합 분석을 거쳐 고객이 활용할 수 있도록 언론사, 포털 등 다양한 정보서비스 기관과 기업에 제공된다. 건설 현장 공사 일정 조정과 작업자 보호 조치 계획 수립에도 활용된다.
김동식 케이웨더 대표이사는 "미세먼지 정보는 같은 도시 내에서도 지역별로 차이가 심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동별 미세먼지 정보는 일반 국민들과 다양한 기업에게 꼭 필요한 정보로 인식되고 있다"고 밝혔다.
케이웨더는 앞으로도 다양한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해 동별 미세먼지 실황 정보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한다는 방침이다. 내달부터는 매달 동별 미세먼지 정보를 분석할 계획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