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넷, '직장인의 AI 인식과 활용' 설문 조사
30.1% "매일 AI 활용"…"주 1회이상" 36%
정보검색·글쓰기·보고서·아이디어 수집 순
![[서울=뉴시스] 직장인의 AI 인식과 활용. (사진= 휴넷 제공)](https://img1.newsis.com/2025/03/12/NISI20250312_0001789343_web.jpg?rnd=20250312110603)
[서울=뉴시스] 직장인의 AI 인식과 활용. (사진= 휴넷 제공)
[서울=뉴시스] 류난영 기자 = 직장인 10명 중 9명은 AI(인공지능)를 업무에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AI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평균 4.2점(5점 만점)으로 집계돼 AI에 대한 직장인들의 관심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기업교육 전문기업 휴넷에 따르면 직장인 852명을 대상으로 '직장인의 AI 인식과 활용' 대해 설문 조사를 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88.4%가 '업무에 AI를 활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업무에서 AI를 활용하는 빈도는 ▲주 1회 이상(36.3%) ▲매일 활용(30.6%) ▲월 1회 이상’(21.5%)로 나타났다. '전혀 활용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11.6%였다.
AI가 '업무 생산성 및 성과에 도움을 준다'는 답변은 평균 4.1점(5점 만점)을 기록했으며, '4점'(44.7%), '5점'(35.9%)가 주요 답변을 차지하며 긍정 의견이 많았다.
AI를 활용하는 업무 분야(복수 응답)는 ▲정보 검색(59.9%) ▲글쓰기(39.4%) ▲보고서 작성(38.4%) ▲아이디어 수집(34.5%) ▲자료 정리(26.8%) ▲이미지·영상 편집(21.1%) ▲업무 자동화(18.3%) 순이었다.
AI로 인한 나의 직무·업무의 변화 정도는 평균 3.8점을 기록했다. ▲변했다(39.4%) ▲많이 변했다(28.9%) 순이었으며, 직장인 상당수가 AI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AI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평균 4.2점(5점 만점)으로 집계돼 AI에 대한 직장인들의 관심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기업교육 전문기업 휴넷에 따르면 직장인 852명을 대상으로 '직장인의 AI 인식과 활용' 대해 설문 조사를 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88.4%가 '업무에 AI를 활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업무에서 AI를 활용하는 빈도는 ▲주 1회 이상(36.3%) ▲매일 활용(30.6%) ▲월 1회 이상’(21.5%)로 나타났다. '전혀 활용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11.6%였다.
AI가 '업무 생산성 및 성과에 도움을 준다'는 답변은 평균 4.1점(5점 만점)을 기록했으며, '4점'(44.7%), '5점'(35.9%)가 주요 답변을 차지하며 긍정 의견이 많았다.
AI를 활용하는 업무 분야(복수 응답)는 ▲정보 검색(59.9%) ▲글쓰기(39.4%) ▲보고서 작성(38.4%) ▲아이디어 수집(34.5%) ▲자료 정리(26.8%) ▲이미지·영상 편집(21.1%) ▲업무 자동화(18.3%) 순이었다.
AI로 인한 나의 직무·업무의 변화 정도는 평균 3.8점을 기록했다. ▲변했다(39.4%) ▲많이 변했다(28.9%) 순이었으며, 직장인 상당수가 AI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뉴시스] 직장인의 AI 교육 필요성. (사진= 휴넷 제공)](https://img1.newsis.com/2025/03/12/NISI20250312_0001789346_web.jpg?rnd=20250312110709)
[서울=뉴시스] 직장인의 AI 교육 필요성. (사진= 휴넷 제공)
AI가 회사의 비즈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5점 만점)는 평균 3.6점으로 ▲영향이 있다(37.3%) ▲영향이 크다(25.4%) 순이었다. 또 AI 활용에 대한 소속 회사의 입장은 '권장한다'(37.0%), '적극 권장한다'(25.7%), '보통이다'(21.1%), '관심 없다'(15.5%), '금지한다'(0.7%)로 응답했다.
AI 관련 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평균 4.2점을 기록했다. ▲매우 필요하다(51.1%) ▲필요하다(30.6%) ▲보통(12.3%) 순으로 AI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높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I 교육이 가장 필요한 직무 분야(복수 응답)는 ▲모든 직무(40.1%)를 1위로 꼽아, AI가 회사 생활에 전방위적으로 적용될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이어 ▲사업기획(37.3%) ▲마케팅(36.6%) ▲IT(21.8%) ▲HR(20.8%) ▲R&D(20.8%) ▲재무회계(20.4%) ▲영업(18.0%) ▲서비스(18.0%) 순으로 응답했다.
연평균 1000만 명의 직장인 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기업교육 전문 회사 휴넷은 로 AI 교육에 대한 수요 증가로 직무 중심 AI 교육과정인 'AI 칼리지'를 운영하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AI 관련 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평균 4.2점을 기록했다. ▲매우 필요하다(51.1%) ▲필요하다(30.6%) ▲보통(12.3%) 순으로 AI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높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I 교육이 가장 필요한 직무 분야(복수 응답)는 ▲모든 직무(40.1%)를 1위로 꼽아, AI가 회사 생활에 전방위적으로 적용될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이어 ▲사업기획(37.3%) ▲마케팅(36.6%) ▲IT(21.8%) ▲HR(20.8%) ▲R&D(20.8%) ▲재무회계(20.4%) ▲영업(18.0%) ▲서비스(18.0%) 순으로 응답했다.
연평균 1000만 명의 직장인 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기업교육 전문 회사 휴넷은 로 AI 교육에 대한 수요 증가로 직무 중심 AI 교육과정인 'AI 칼리지'를 운영하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