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북미 사옥에 버추얼 프로덕션 오픈
초고화질 'LG 매그니트', 스튜디오에 적용

[서울=뉴시스[LG전자가 북미 사옥에 초고화질 마이크로 LED 사이니지 'LG 매그니트'로 구축한 버추얼 프로덕션 스튜디오를 열고 차별화된 상업용 디스플레이 기술력을 선보인다. 사진은 LG전자 버추얼 프로덕션 스튜디오에서 무선이어폰 신제품 '엑스붐 버즈' 홍보영상을 촬영하고 있는 모습. (사진=LG전자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이인준 기자 = LG전자가 초고화질 마이크로 LED 사이니지 'LG 매그니트(LG MAGNIT)'로 차별화된 상업용 디스플레이 기술력을 선보인다.
LG전자는 6일 미국 뉴저지에 위치한 북미 사옥에 '버추얼 프로덕션(Virtual Production)' 스튜디오를 열었다고 밝혔다.
LG전자 북미법인과 LG그룹 광고 계열사 HSAD가 공동으로 운영한다. LG전자는 스튜디오를 다양한 사내외 콘텐츠 제작뿐 아니라 HSAD를 통해 외부 클라이언트의 단편 콘텐츠, TV 프로그램, 광고, 기업 커뮤니케이션 콘텐츠 촬영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최근 미디어 및 광고 업계에서 주목받는 버추얼 프로덕션은 대형 LED 스크린을 통해 영상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다양한 배경을 구현하는 시설이다. 가상 배경을 활용해 현장에 있는 것처럼 실시간으로 영상을 구현한다.
버추얼 프로덕션을 활용하면 물리적 세트 제작이나 로케이션 촬영을 줄일 수 있다. 최근 공개된 LG전자의 무선이어폰 신제품 '엑스붐 버즈' 홍보영상도 이곳에서 촬영했다. 뉴욕 지하철을 배경으로 한 이 영상은 현장에 가지 않고도
LG전자 버추얼 프로덕션 스튜디오에는 가로 7.2m, 세로 2.7m 규모의 마이크로 LED 'LG 매그니트'(LBAG015-G3)가 설치됐다.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통하는 마이크로 LED는 머리카락 두께보다 얇은 100㎛(마이크로미터) 이하의 LED가 스스로 빛과 색을 내는 자발광(自發光) 디스플레이다.
이를 통해 선명한 화질과 높은 수준의 색 재현, 정밀한 영상 처리 기술 등 차별화된 시청경험을 제공할 뿐 아니라 촬영 허가 절차, 장비 이동, 촬영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시민 불편 등을 완전히 없앤다. 또 초록색 배경 앞에서 촬영한 영상에 컴퓨터그래픽(CG)으로 배경을 입히는 크로마키(Chroma-key) 기법보다 콘텐츠 제작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시장조사기관 그랜드뷰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버추얼 프로덕션 시장 규모는 연 평균 17.8%씩 성장해 오는 2030년 67억9000만 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ijoinon@newsis.com
LG전자는 6일 미국 뉴저지에 위치한 북미 사옥에 '버추얼 프로덕션(Virtual Production)' 스튜디오를 열었다고 밝혔다.
LG전자 북미법인과 LG그룹 광고 계열사 HSAD가 공동으로 운영한다. LG전자는 스튜디오를 다양한 사내외 콘텐츠 제작뿐 아니라 HSAD를 통해 외부 클라이언트의 단편 콘텐츠, TV 프로그램, 광고, 기업 커뮤니케이션 콘텐츠 촬영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최근 미디어 및 광고 업계에서 주목받는 버추얼 프로덕션은 대형 LED 스크린을 통해 영상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다양한 배경을 구현하는 시설이다. 가상 배경을 활용해 현장에 있는 것처럼 실시간으로 영상을 구현한다.
버추얼 프로덕션을 활용하면 물리적 세트 제작이나 로케이션 촬영을 줄일 수 있다. 최근 공개된 LG전자의 무선이어폰 신제품 '엑스붐 버즈' 홍보영상도 이곳에서 촬영했다. 뉴욕 지하철을 배경으로 한 이 영상은 현장에 가지 않고도
LG전자 버추얼 프로덕션 스튜디오에는 가로 7.2m, 세로 2.7m 규모의 마이크로 LED 'LG 매그니트'(LBAG015-G3)가 설치됐다.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통하는 마이크로 LED는 머리카락 두께보다 얇은 100㎛(마이크로미터) 이하의 LED가 스스로 빛과 색을 내는 자발광(自發光) 디스플레이다.
이시간 핫뉴스
이를 통해 선명한 화질과 높은 수준의 색 재현, 정밀한 영상 처리 기술 등 차별화된 시청경험을 제공할 뿐 아니라 촬영 허가 절차, 장비 이동, 촬영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시민 불편 등을 완전히 없앤다. 또 초록색 배경 앞에서 촬영한 영상에 컴퓨터그래픽(CG)으로 배경을 입히는 크로마키(Chroma-key) 기법보다 콘텐츠 제작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시장조사기관 그랜드뷰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버추얼 프로덕션 시장 규모는 연 평균 17.8%씩 성장해 오는 2030년 67억9000만 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ijoinon@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