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대비 C등급 18개 줄었지만 '최하' D등급은 17개 증가
부실징후기업 은행권 신용공여 1.9조…건전성 영향은 제한적
[서울=뉴시스] 김형섭 기자 = 올해 부실 징후를 보이는 기업이 지난해와 비슷한 규모를 보인 가운데 최하 등급인 D등급을 받은 기업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한계기업의 경영악화가 심화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23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에 따르면 채권은행은 올해 230개사를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했다.
이는 지난해 231개사 대비 1개사가 줄어든 것이다. 다만 부실징후기업의 등급을 살펴보면 C등급 기업이 줄어든 만큼 D등급이 늘어난 것이어서 경영정상화가 사실상 어려운 한계기업은 지난해보다 크게 늘어난 것으로 평가된다.
등급별로 보면 C등급은 100개사로 전년대비 18개사가 줄었지만 D등급은 130개사로 전년보다 17개사가 증가했다.
규모별로는 대기업이 11개사로 전년대비 2개사 늘었으며 중소기업은 219개사로 전년대비 3개사 줄었다. 금융권 신용공여 500억원 이상이면 대기업, 500억 미만이면 중소기업으로 분류됐다.
지난 2019년 210곳까지 늘었던 부실징후기업은 코로나 팬데믹 기간이던 2020년과 2021년 각각 157개사, 160개사로 감소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2022년 185개사를 기록하며 증가세로 돌아선 데 이어 지난해에는 2019년 수치를 훨씬 뛰어 넘는 수준까지 급증했다.
대내외 경기부진과 원가상승 등으로 기업의 수익성 악화가 이어진 가운데 높아진 금융비용 부담으로 연체 발생 기업 등이 증가한 영향이었다.
금감원은 부실징후기업이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가운데 C등급은 감소했지만 D등급은 증가한 데 대해 "경기회복 지연으로 인한 업황 부진, 원가상승 및 고금리 장기화 등에 따라 일부 한계기업의 경영악화가 심화된 점이 그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한계기업이란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기업을 말한다.
올해 부실징후기업을 업종별로 보면 부동산이 30개사로 가장 많았고 자동차 21개사, 고무·플라스틱 18개사, 기계·장비 18개사, 도매·상품중개 14개 등의 순이었다.
지난해와 비교해 부동산업(+8개사), 자동차업(+4개사), 전문직별 공사업(+4개사) 등에서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했다.
다만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은행권 신용공여 규모는 크지 않아 국내은행의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금감원은 분석했다.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은행권 신용공여는 올해 9월 말 기준 1조9000억원으로 전체 은행권 신용공여의 0.07% 수준이다.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전체 금융권 신용공여 규모도 3조8000억원 수준에 그친다.
부실징후기업 선정에 따른 은행권의 충당금 추가 적립액은 약 2069억원으로 추정됐다. 9월말 국내은행의 BIS 총자본비율은 15.85%로 충당금 추가 적립액을 반영시 BIS 비율 변화폭은 -0.02%포인트로 미미한 수준이다.
금감원은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신속한 워크아웃과 부실 정리를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부실징후기업에 대해서는 워크아웃이나 회생 등 법적 구조조정 등을 통해 경영정상화를 지원하고 정상화 가능성이 낮은 기업은 필요시 부실을 신속히 정리해 시장 불확실성을 해소할 계획이다.
부실징후기업은 아니지만 금융비용 상승 등으로 일시적 금융애로를 겪고 있는 기업들에 대해서는 신속금융지원, 프리워크아웃 등을 통해 위기극복을 지원한다.
경영위기에 빠진 중소기업은 유관기관 지원을 폭넓게 받을 수 있게 은행권이 거래기업에 지원제도를 안내하고 공동 금융지원도 실시할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