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 1000명 직업 만족도 설문조사
"환자, 의사 신뢰 안해" 약 3배 증가
[서울=뉴시스] 백영미 기자 = 의사의 직업 만족도가 지난해 대비 10.7% 하락한 53.7%를 기록하며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의사 전용 지식 정보 공유 커뮤니티 플랫폼 인터엠디컴퍼니는 지난달 26일부터 29일까지 나흘간 의사 회원 1000명을 대상으로 ‘2024 의사 직업 만족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를 23일 이 같이 밝혔다.
인터엠디컴퍼니는 2018년부터 매년 의사들의 직업 만족 실태를 조사하고 있다. 이번 설문조사 응답자 비율을 보면 근무형태별로 봉직의는 80.3%, 개원의는 19.7%였다. 병원 규모별로 1차병원 43.5%, 2차병원 16.3%, 3차병원 24.2%, 기타 12.0%로 집계됐다. 연령별로는 20대는 10.2%, 30대는 44.6%, 40대는 32.9%, 50대 이상은 12.3%를 차지했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재 의사라는 직업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십니까"라는 물음에 "현 직업에 만족한다"는 응답은 총 53.7%로 전년 대비 10.7%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부터 인터엠디가 진행한 7번의 설문을 통틀어 역대 최저 기록이자 2022년(71.4%) 대비 17.7%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였던 2020년(60.7%)과 비교해도 12.6%포인트 낮다.
"향후 5년 뒤 지금보다 의사 직업 만족도가 올라갈 것이라고 생각하시나요?"라는 물음에는 응답자의 71.9%가 "떨어질 것"이라고 답했다. 의사 직업 만족도에 대한 부정적인 응답이 전년(48.4%)보다 20.8%포인트 증가한 69.2%였던 지난해보다 더 높아졌다.
환자들이 의사를 신뢰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비율도 감소 추세다. "최근 1년간 방문한 환자들이 선생님을 신뢰하고 있다고 생각하시나요"라는 물음에 "신뢰한다"(매우 신뢰함·신뢰함 합산)는 응답은 54.6%로, 67.4%로 가장 높았던 2022년에 비해 12.8%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신뢰하지 않는다’(매우 신뢰하지 않음·신뢰하지 않음 합산) 응답은 8.0%로, 3배 가까이 증가했다.
인터엠디컴퍼니는 "일반 환자들의 신뢰도에는 의정 갈등이 많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환자들의 의사에 대한 신뢰는 치료 과정에서의 환자들의 순응도(준수도)와 이에 따른 치료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의의가 크다"고 말했다.
"올해 병원 운영 상황은 어떠셨냐"는 개원의 대상 물음에는 "부정적"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증가했다. ‘부정’, ‘매우 부정’ 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33.5%로 2022년(20.3%)보다 13.2%포인트 증가했다. ‘보통’이라는 응답은 40.1%, ‘긍정’, ‘매우 긍정’ 이라는 응답은 2022년(36.9%)보다 10.5%포인트 하락한 26.4%였다.
"향후 1~2년 안에 이직 및 퇴사를 계획하고 있느냐"는 봉직의 대상 물음에는 ‘그렇다’는 응답이 작년(57.1%) 대비 4.8%포인트 상승한 61.9%로 나타났다. ‘그렇다’ 응답은 2022년부터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의사로 일하면서 번아웃을 경험한 적이 있느냐"는 물음에는 10명 중 8명 이상(81.5%)이 번아웃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번아웃의 원인(복수 응답)으로는 ‘악화돼 가고 있는 의료 환경’(15.3%)이 첫 손에 꼽혔다. 이어 ‘많은 환자 수’(14.8%), ‘야간 근무 및 공휴일 근무’(12.6%), ‘증가하고 있는 환자들의 요구사항’(10.5%), ‘많은 행정 업무’(9.7%), ‘의정 갈등의 장기화’(9.3%)가 뒤따랐다.
정부가 발표한 ‘상급종합병원 구조 전환 사업(전문의 중심 병원 사업)’의 경우 방향성은 동의하나 개선이 필요하다는 ‘조건부 찬성’ 비율(41.2%)과 ‘반대’ 비율(40.7%)이 비슷한 수치로 나타났다.
우선적으로 개선돼야 할 점(상위 3개 복수응답)으로는 ‘수가와 인센티브 등 현실적인 전문의 인건비 지원’(30.5%)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이어 ‘전문의 중심 병원 운영에 대한 장기 지원 대책 수립’(17.8%), ‘수련병원이 부담하는 전공의 수련비용의 정부 지원’(12.0%), ‘전공의 피교육생 인정, 지도 전문의 지원책 마련’(12.0%), ‘전공의 수련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 마련’(10%)이 뒤따랐다.
지난 2월부터 전면 허용하고 있는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의 경우 중단해야 한다는 응답이 압도적이었다. 개원의의 경우 ‘전면 허용을 중단, 제한적 허용이 필요하다’ 응답이 50.8%, ‘전면 중단해야 한다’ 응답이 42.6%였다. 개원의가 아닌 경우 ‘전면 허용을 중단, 제한적 허용이 필요하다’ 응답이 48.7%, ‘전면 중단해야 한다’ 응답이 42.5%였다.
비대면 진료 시범 사업 개선사항으로는 ‘재진 환자 대상, 대면 진료 원칙 하에 보조적 수단으로만 운영돼야 한다’는 응답이 34.3%, ‘전면 중단해야 한다’ 응답이 32.8%였다. ‘과잉 처방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17.2%), ‘의료법 개정으로 허용 범위나 대상, 중개 플랫폼 규제 기준 등 기본적인 제도 수립이 필요하다’(15.5%)는 등의 답변이 뒤따랐다.
◎공감언론 뉴시스 positive100@newsis.com
의사 전용 지식 정보 공유 커뮤니티 플랫폼 인터엠디컴퍼니는 지난달 26일부터 29일까지 나흘간 의사 회원 1000명을 대상으로 ‘2024 의사 직업 만족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를 23일 이 같이 밝혔다.
인터엠디컴퍼니는 2018년부터 매년 의사들의 직업 만족 실태를 조사하고 있다. 이번 설문조사 응답자 비율을 보면 근무형태별로 봉직의는 80.3%, 개원의는 19.7%였다. 병원 규모별로 1차병원 43.5%, 2차병원 16.3%, 3차병원 24.2%, 기타 12.0%로 집계됐다. 연령별로는 20대는 10.2%, 30대는 44.6%, 40대는 32.9%, 50대 이상은 12.3%를 차지했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재 의사라는 직업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십니까"라는 물음에 "현 직업에 만족한다"는 응답은 총 53.7%로 전년 대비 10.7%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부터 인터엠디가 진행한 7번의 설문을 통틀어 역대 최저 기록이자 2022년(71.4%) 대비 17.7%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였던 2020년(60.7%)과 비교해도 12.6%포인트 낮다.
"향후 5년 뒤 지금보다 의사 직업 만족도가 올라갈 것이라고 생각하시나요?"라는 물음에는 응답자의 71.9%가 "떨어질 것"이라고 답했다. 의사 직업 만족도에 대한 부정적인 응답이 전년(48.4%)보다 20.8%포인트 증가한 69.2%였던 지난해보다 더 높아졌다.
환자들이 의사를 신뢰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비율도 감소 추세다. "최근 1년간 방문한 환자들이 선생님을 신뢰하고 있다고 생각하시나요"라는 물음에 "신뢰한다"(매우 신뢰함·신뢰함 합산)는 응답은 54.6%로, 67.4%로 가장 높았던 2022년에 비해 12.8%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신뢰하지 않는다’(매우 신뢰하지 않음·신뢰하지 않음 합산) 응답은 8.0%로, 3배 가까이 증가했다.
인터엠디컴퍼니는 "일반 환자들의 신뢰도에는 의정 갈등이 많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환자들의 의사에 대한 신뢰는 치료 과정에서의 환자들의 순응도(준수도)와 이에 따른 치료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의의가 크다"고 말했다.
"올해 병원 운영 상황은 어떠셨냐"는 개원의 대상 물음에는 "부정적"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증가했다. ‘부정’, ‘매우 부정’ 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33.5%로 2022년(20.3%)보다 13.2%포인트 증가했다. ‘보통’이라는 응답은 40.1%, ‘긍정’, ‘매우 긍정’ 이라는 응답은 2022년(36.9%)보다 10.5%포인트 하락한 26.4%였다.
"향후 1~2년 안에 이직 및 퇴사를 계획하고 있느냐"는 봉직의 대상 물음에는 ‘그렇다’는 응답이 작년(57.1%) 대비 4.8%포인트 상승한 61.9%로 나타났다. ‘그렇다’ 응답은 2022년부터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의사로 일하면서 번아웃을 경험한 적이 있느냐"는 물음에는 10명 중 8명 이상(81.5%)이 번아웃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번아웃의 원인(복수 응답)으로는 ‘악화돼 가고 있는 의료 환경’(15.3%)이 첫 손에 꼽혔다. 이어 ‘많은 환자 수’(14.8%), ‘야간 근무 및 공휴일 근무’(12.6%), ‘증가하고 있는 환자들의 요구사항’(10.5%), ‘많은 행정 업무’(9.7%), ‘의정 갈등의 장기화’(9.3%)가 뒤따랐다.
정부가 발표한 ‘상급종합병원 구조 전환 사업(전문의 중심 병원 사업)’의 경우 방향성은 동의하나 개선이 필요하다는 ‘조건부 찬성’ 비율(41.2%)과 ‘반대’ 비율(40.7%)이 비슷한 수치로 나타났다.
우선적으로 개선돼야 할 점(상위 3개 복수응답)으로는 ‘수가와 인센티브 등 현실적인 전문의 인건비 지원’(30.5%)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이어 ‘전문의 중심 병원 운영에 대한 장기 지원 대책 수립’(17.8%), ‘수련병원이 부담하는 전공의 수련비용의 정부 지원’(12.0%), ‘전공의 피교육생 인정, 지도 전문의 지원책 마련’(12.0%), ‘전공의 수련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 마련’(10%)이 뒤따랐다.
이시간 핫뉴스
지난 2월부터 전면 허용하고 있는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의 경우 중단해야 한다는 응답이 압도적이었다. 개원의의 경우 ‘전면 허용을 중단, 제한적 허용이 필요하다’ 응답이 50.8%, ‘전면 중단해야 한다’ 응답이 42.6%였다. 개원의가 아닌 경우 ‘전면 허용을 중단, 제한적 허용이 필요하다’ 응답이 48.7%, ‘전면 중단해야 한다’ 응답이 42.5%였다.
비대면 진료 시범 사업 개선사항으로는 ‘재진 환자 대상, 대면 진료 원칙 하에 보조적 수단으로만 운영돼야 한다’는 응답이 34.3%, ‘전면 중단해야 한다’ 응답이 32.8%였다. ‘과잉 처방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17.2%), ‘의료법 개정으로 허용 범위나 대상, 중개 플랫폼 규제 기준 등 기본적인 제도 수립이 필요하다’(15.5%)는 등의 답변이 뒤따랐다.
◎공감언론 뉴시스 positive100@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