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서울 일최심적설 극값 16.5㎝
기존 최고 기록은 1972년 12.4㎝
정전·인명피해 잇따라…수도권 대설특보
[서울=뉴시스] 오정우 기자 = 올해 11월엔 기상 관측을 시작한 이래로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을 중심으로 117년 만에 가장 많은 적설을 보였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달 27일부터 이틀간 서울을 비롯해 수도권에 '역대급' 폭설이 내린 가운데, 11월 기준 서울의 일최심적설(하루 중 가장 많이 쌓였을 때의 적설) 극값은 1위를 뛰어넘었다.
서울 종로구 기상관측소는 지난달 27일 서울의 일최심적설은 16.5㎝라고 밝힌 바 있다. 기존 최고치는 1972년 11월28일의 12.4㎝였다.
특히 지난달 28일 오전 10시를 기점으로 수도권 적설량은 ▲서울 25.5㎝ ▲인천 24.5㎝ ▲백암(용인) 44.1㎝ ▲경기 광주 43.6㎝ ▲관악(서울) 39.8㎝ ▲군포금정 39.8㎝ ▲수원 39.2㎝으로 기록됐다.
유례 없는 눈폭탄으로 서울 등 수도권에는 정전 사고와 인명 피해가 잇따라 발생했다.
서울 성북구 성북동에서 폭설로 174호 가구에 공급되던 전력이 끊기는가하면 서울 은평구 증산동의 한 주택가에는 폭설로 인해 전신주가 넘어가며 39호 가구가 피해를 봤다.
또 서울 마포구 염리동, 공덕동, 성산동 일대에 정전이 나면서 750가구에 전력 공급이 중단되는 사태도 있었다.
경기 용인에서는 60대 남성이 눈을 치우다가 쓰러진 나무에 깔려 숨졌고, 경기 화성의 한 고속도로에서는 도로 통제 작업을 하던 30대 남성이 눈길에 미끄러진 버스에 치여 사망했다.
이에 서울 전역에 대설경보가 내려졌고 수도권 대부분 지역에 대설주의보가 발효된 바 있다.
이번에 이례적인 폭설이 쏟아진 건 한반도 북쪽의 절리저기압 때문으로 분석됐다.
기상청은 당시 정례 예보 브리핑을 통해 "북서쪽에서 내려온 찬 공기가 상대적으로 따뜻한 서해상을 지나며 대기와 바닷물 간의 온도 차이가 컸다"며 "수도권에 지속적으로 수증기로 인한 눈구름대가 들어왔다"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달 27일부터 이틀간 서울을 비롯해 수도권에 '역대급' 폭설이 내린 가운데, 11월 기준 서울의 일최심적설(하루 중 가장 많이 쌓였을 때의 적설) 극값은 1위를 뛰어넘었다.
서울 종로구 기상관측소는 지난달 27일 서울의 일최심적설은 16.5㎝라고 밝힌 바 있다. 기존 최고치는 1972년 11월28일의 12.4㎝였다.
특히 지난달 28일 오전 10시를 기점으로 수도권 적설량은 ▲서울 25.5㎝ ▲인천 24.5㎝ ▲백암(용인) 44.1㎝ ▲경기 광주 43.6㎝ ▲관악(서울) 39.8㎝ ▲군포금정 39.8㎝ ▲수원 39.2㎝으로 기록됐다.
유례 없는 눈폭탄으로 서울 등 수도권에는 정전 사고와 인명 피해가 잇따라 발생했다.
서울 성북구 성북동에서 폭설로 174호 가구에 공급되던 전력이 끊기는가하면 서울 은평구 증산동의 한 주택가에는 폭설로 인해 전신주가 넘어가며 39호 가구가 피해를 봤다.
또 서울 마포구 염리동, 공덕동, 성산동 일대에 정전이 나면서 750가구에 전력 공급이 중단되는 사태도 있었다.
경기 용인에서는 60대 남성이 눈을 치우다가 쓰러진 나무에 깔려 숨졌고, 경기 화성의 한 고속도로에서는 도로 통제 작업을 하던 30대 남성이 눈길에 미끄러진 버스에 치여 사망했다.
이에 서울 전역에 대설경보가 내려졌고 수도권 대부분 지역에 대설주의보가 발효된 바 있다.
이번에 이례적인 폭설이 쏟아진 건 한반도 북쪽의 절리저기압 때문으로 분석됐다.
기상청은 당시 정례 예보 브리핑을 통해 "북서쪽에서 내려온 찬 공기가 상대적으로 따뜻한 서해상을 지나며 대기와 바닷물 간의 온도 차이가 컸다"며 "수도권에 지속적으로 수증기로 인한 눈구름대가 들어왔다"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