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뉴시스] 임재영 기자 = 오영훈 제주도지사가 해양수산부의 제주~중국 칭다오 간 신규 해운항로 개설 결정 지연에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오 지사는 12일 오전 제주도청 탐라홀에서 열린 ‘긴급 경제정책협의회’에서 경제대책 논의에 앞서 이같이 밝혔다.
오 지사는 “제주항은 1968년 무역항 지정 이후 40여년 간 국가가 관리했음에도 외항기능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 노력이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며 “선사 유치는 물론 항로 개설 등 기본적인 무역항 기능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전무했다”고 지적했다.
현재 제주항은 지방관리무역항으로서, 지역별 육상·해양 운송망의 거점이자 지역 산업에 필요한 화물 처리를 주목적으로 하는 항만이다. 그러나 외항 화물선이 입출항하지 않는 현재 상황에서는 무역항으로서의 기본 기능마저 상실한 상태라는 것이다.
제주도는 제주~칭다오 신규항로를 개설하면 기존 부산 경유 대비 수출입 물류비를 42%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오 지사는 “중앙정부가 물류비 재정 지원은 물론 해상 운송의 공적 기능도 인정하지 않으면서 제주도의 자구적 노력마저 가로막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처사”라며 “해양수산부는 제주~칭다오 항로 개설 결정 지연에 대한 합리적이고 명확한 이유를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주~칭다오 항로에 화물선을 투입하는 중국 산둥원양해운그룹주식유한공사는 지난달 초 중국 정부로부터 항로개설에 대한 허가를 받았다. 이 중국측 선사는 지난달 13일 해양수산부에도 신청을 했으나 아직까지 답변을 받지 못하고 있다.
제주도는 당초 이 선사와 협정을 맺고 20일 칭다오항에서 취항식을 열기로 했으나 최소한 상태다.
중국측 선사의 화물선은 712TEU급으로 1TEU는 6m 길이 컨테이너 1개를 의미한다. 제주도는 화물선을 운항하는 조건으로 손실 비용을 보전하기로 했다.
제주~칭다오 항로가 개설되면 중국에서는 건축자재, 페트병 원재료 등이 들어오고 나갈 때는 수산물, 용암수 등이 실릴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오 지사는 12일 오전 제주도청 탐라홀에서 열린 ‘긴급 경제정책협의회’에서 경제대책 논의에 앞서 이같이 밝혔다.
오 지사는 “제주항은 1968년 무역항 지정 이후 40여년 간 국가가 관리했음에도 외항기능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 노력이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며 “선사 유치는 물론 항로 개설 등 기본적인 무역항 기능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전무했다”고 지적했다.
현재 제주항은 지방관리무역항으로서, 지역별 육상·해양 운송망의 거점이자 지역 산업에 필요한 화물 처리를 주목적으로 하는 항만이다. 그러나 외항 화물선이 입출항하지 않는 현재 상황에서는 무역항으로서의 기본 기능마저 상실한 상태라는 것이다.
제주도는 제주~칭다오 신규항로를 개설하면 기존 부산 경유 대비 수출입 물류비를 42%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오 지사는 “중앙정부가 물류비 재정 지원은 물론 해상 운송의 공적 기능도 인정하지 않으면서 제주도의 자구적 노력마저 가로막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처사”라며 “해양수산부는 제주~칭다오 항로 개설 결정 지연에 대한 합리적이고 명확한 이유를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주~칭다오 항로에 화물선을 투입하는 중국 산둥원양해운그룹주식유한공사는 지난달 초 중국 정부로부터 항로개설에 대한 허가를 받았다. 이 중국측 선사는 지난달 13일 해양수산부에도 신청을 했으나 아직까지 답변을 받지 못하고 있다.
제주도는 당초 이 선사와 협정을 맺고 20일 칭다오항에서 취항식을 열기로 했으나 최소한 상태다.
중국측 선사의 화물선은 712TEU급으로 1TEU는 6m 길이 컨테이너 1개를 의미한다. 제주도는 화물선을 운항하는 조건으로 손실 비용을 보전하기로 했다.
제주~칭다오 항로가 개설되면 중국에서는 건축자재, 페트병 원재료 등이 들어오고 나갈 때는 수산물, 용암수 등이 실릴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