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재선에 뛴 채권금리…대출이자 더 오르나

기사등록 2024/11/08 07:00:00

최종수정 2024/11/08 07:28:16

美국채→韓은행채 연동으로 주담대 등 추가 인상 가능성

업계 "단기적으로 더 오를 수 있어, 인하 속도는 더딜 것"

[웨스트팜비치=AP/뉴시스] 6일(현지시각) 미국 플로리다주 웨스트팜비치의 팜비치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의 대선 승리 연설에 참석한 이방카 트럼프(오른쪽 두번째부터)와 남편 재러드 쿠슈너. 2024.11.07.
[웨스트팜비치=AP/뉴시스] 6일(현지시각) 미국 플로리다주 웨스트팜비치의 팜비치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의 대선 승리 연설에 참석한 이방카 트럼프(오른쪽 두번째부터)와 남편 재러드 쿠슈너. 2024.11.07.

[서울=뉴시스] 이정필 기자 =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4년 만에 재집권에 성공하면서 재정 적자와 인플레이션 우려 확대로 미 국채 금리가 상승했다. 이는 우리나라 채권 금리에도 영향을 미치면서 단기적으로 은행 대출금리가 더 올라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공시된 국고채 5년물 금리는 미국 대선 결과가 나온 6일 3.020%로 집계됐다. 전날 2.972%에서 4.8bp(1bp=0.01%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국고채 10년물은 3.075%에서 3.137%로 6.2bp 올라갔다.

국고채 금리는 주택담보대출 등 여신 금리의 기준이 되는 금융채(은행채) 금리와 연동된다. 5년 만기 은행채(무보증·AAA) 금리는 5일 3.279%에서 6일 3.325%로 4.6bp 상승했다. 10년 만기 은행채는 3.639%에서 3.701%로 6.2bp 올랐다.

트럼프가 재당선되면서 채권 시장은 일제히 오름세를 나타냈다. 글로벌 벤치마크인 미 국채 10년물은 지난 6일 4.4%를 넘어서며 넉 달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트럼프가 정책 공약대로 법인세와 소득세 인하 등의 대규모 감세를 추진할 경우 국가 재정적자 부담이 커지고, 이에 국채 발행을 늘리면 채권 가격이 떨어지고 금리가 오르게 된다. 미 국채는 우리나라 국고채와 강한 동조화를 보이며 은행채와 연동된다.

국내 은행들은 10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이후에도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관리 강화 지침을 반영해 대출금리를 높여왔다. 여기에 시장금리가 현재 수준보다 올라가게 되면 이를 적용해 대출금리를 더 높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트럼프 당선으로 무역 관세 부과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 불법이민자 추방 공약에 따른 인건비 상승 압력이 더해지며 금리인하 속도는 더딜 것으로 예상된다"며 "연방기금금리(FFR) 기준 상반기말 4.5%, 내년 하반기 4.25% 수준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다른 은행 관계자는 "미국 물가 상승이 연준의 금리 인하를 제한할 수 있다"며 "트럼프의 금리 인하 선호와 정책 간 불일치로 인해 금리 방향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확대될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전망했다.

이어 "트럼프는 미국 민간소비 활성화를 위해 연준에 금리 인하를 압박할 수 있다"면서 "달러 약세를 선호한다는 점에서 중기적으로는 국고채 금리 하락과 약달러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유효하다"고 덧붙였다.

김상훈 KB증권 리서치본부장은 "시장에 '트럼프 승리는 금리 상승'이란 인식이 강하다"며 "관세 부과로 인한 물가 상승 우려에, 공화당이 의회 다수당을 확보해 감세에 따른 정부부채 증가 우려까지 반영되면서 10년물 금리는 4.6% 수준으로 상승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김 본부장은 "다만 2016년은 서프라이즈로 미 10년물 금리가 100bp 가까이 급등했지만, 현재는 이미 트럼프 당선을 반영하며 80bp 수준 상승했다"면서 "취임 후 트럼프의 관세 부과 영향은 물가 상승과 성장률 둔화에 영향을 끼치고, 반이민 정책은 잠재성장률을 낮출 수 있어 금리는 반락할 전망"이라고 부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트럼프 재선에 뛴 채권금리…대출이자 더 오르나

기사등록 2024/11/08 07:00:00 최초수정 2024/11/08 07:28:16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