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북한인권 국제대화' 행사 참석
"김정은, 북 외무성 대책 건건이 보고 지시"
![[서울=뉴시스] 조성봉 기자 = 리일규 전 쿠바 주재 북한 대사관 정무참사가 8월2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북한 그리고 통일 포럼 : 북한 경제와 대외관계 평가’ 세미나에서 ‘3대 세습과 고립 외교’를 주제로 발제를 하고 있다. 2024.10.28. suncho21@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4/08/26/NISI20240826_0020498066_web.jpg?rnd=20240826150222)
[서울=뉴시스] 조성봉 기자 = 리일규 전 쿠바 주재 북한 대사관 정무참사가 8월2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북한 그리고 통일 포럼 : 북한 경제와 대외관계 평가’ 세미나에서 ‘3대 세습과 고립 외교’를 주제로 발제를 하고 있다. 2024.10.28. suncho21@newsis.com


[서울=뉴시스] 남빛나라 기자 = 지난해 탈북한 이일규 전 주 쿠바 북한대사관 참사관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국제사회의 북한인권 논의를 저지하기 위해 재외공관에 내린 지침들을 28일(현지시각) 공개했다.
이 전 참사는 통일부와 비정부기구(NGO) 휴먼아시아가 이날 스위스 제네바에서 연 '2024 북한인권 국제대화' 행사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북한 외무성 전문(외교부 본부와 해외공관이 주고받는 문서)들을 공개했다.
그는 "북한을 떠나올 때 2016년~2023년 북한 외무성과 해외공관들이 주고받은 전보 내용을 다 가져왔다"며 "전문을 보면 김정은이가 얼마나 인권문제에 큰 관심을 갖고 있는지, 북한 외무성 실무급이 만들어서 올려 보내는 대책안, 전술안을 얼마나 건건이 보고 지시하는지 알 수 있다"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김정은은 제31차 유엔 인권이사회를 앞둔 2016년 2월11일 "(회의장에서) '우리는 반대한다' 한 마디만 던지고 빠지라"고 지시했다. 당시 고위급 회기 기조연설에서 리수용 북한 외무상은 앞으로 유엔 인권이사회에 참가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김정은은 "국제사회가 일치한 합의로 대북인권 결의안을 채택했다는 모양새가 좋지 않다"며 "중국, 러시아, 쿠바, 시리아, 이란, 베트남, 벨라루스 등 어디가 됐든 인권문제로 (서방의) 공격을 받는 나라들을 규합해서 대북인권 결의안이 부당하다고 규탄하는 연설을 하게끔 하라"고 지시했다고 한다.
김정은의 국제형사재판소(ICC) 제소 방안에도 예민하게 반응했다.
이 전 참사는 김정은이 본인을 ICC에 회부하자는 주장과 관련해 "말레이시아·뉴질랜드 정부에 북한 외무성 명의로 규탄성명을 보내란 지시를 직접적으로 한 내용도 전보에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만큼 김정은이 국제사회의 북한인권 공세에 아파하고 겉으론 태연하고 있지만 저지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외교관들이 많이 탈북하면 북한 정권에 분명히 큰 부담이 된다"며 "북한 외교관들이 북한 당국으로부터 받은 지시를 상세하게 폭로하는 것 자체가 북한이 취약한 인권상황을 가리기 위해서 짜 놨던, 얼마 되지 않는 전략들이 폭로되는 꼴"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uth@newsis.com
이 전 참사는 통일부와 비정부기구(NGO) 휴먼아시아가 이날 스위스 제네바에서 연 '2024 북한인권 국제대화' 행사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북한 외무성 전문(외교부 본부와 해외공관이 주고받는 문서)들을 공개했다.
그는 "북한을 떠나올 때 2016년~2023년 북한 외무성과 해외공관들이 주고받은 전보 내용을 다 가져왔다"며 "전문을 보면 김정은이가 얼마나 인권문제에 큰 관심을 갖고 있는지, 북한 외무성 실무급이 만들어서 올려 보내는 대책안, 전술안을 얼마나 건건이 보고 지시하는지 알 수 있다"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김정은은 제31차 유엔 인권이사회를 앞둔 2016년 2월11일 "(회의장에서) '우리는 반대한다' 한 마디만 던지고 빠지라"고 지시했다. 당시 고위급 회기 기조연설에서 리수용 북한 외무상은 앞으로 유엔 인권이사회에 참가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김정은은 "국제사회가 일치한 합의로 대북인권 결의안을 채택했다는 모양새가 좋지 않다"며 "중국, 러시아, 쿠바, 시리아, 이란, 베트남, 벨라루스 등 어디가 됐든 인권문제로 (서방의) 공격을 받는 나라들을 규합해서 대북인권 결의안이 부당하다고 규탄하는 연설을 하게끔 하라"고 지시했다고 한다.
김정은의 국제형사재판소(ICC) 제소 방안에도 예민하게 반응했다.
이 전 참사는 김정은이 본인을 ICC에 회부하자는 주장과 관련해 "말레이시아·뉴질랜드 정부에 북한 외무성 명의로 규탄성명을 보내란 지시를 직접적으로 한 내용도 전보에 있다"고 말했다.
이시간 핫뉴스
그는 "그만큼 김정은이 국제사회의 북한인권 공세에 아파하고 겉으론 태연하고 있지만 저지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외교관들이 많이 탈북하면 북한 정권에 분명히 큰 부담이 된다"며 "북한 외교관들이 북한 당국으로부터 받은 지시를 상세하게 폭로하는 것 자체가 북한이 취약한 인권상황을 가리기 위해서 짜 놨던, 얼마 되지 않는 전략들이 폭로되는 꼴"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uth@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