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이인준 기자 = 산업계와 정부가 석유화학과 정유산업의 탈탄소 돌파구 모색을 위해 머리를 맞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1일 서울 중구 상의회관에서 산업통상자원부와 공동으로 제2차 '산업부문 탄소중립 정책협의회'를 개최했다.
석유화학과 정유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각각 4690만t(2위)과 1590만t(4위)으로 산업 부문의 24%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 수출 주력산업인 두 산업은 앞으로 주요국 탄소 규제에 포함될 전망이다. 최근 시행된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는 적용 분야를 유기화학, 플라스틱 등 석유화학제품과 원유정제로 확대 논의 중이다.
향후 도입 가능성이 높은 미국의 청정경쟁법(CCA) 역시 탄소 조정세 부과 대상으로 화학제품·화학비료, 석유 정제품, 에탄올 등 12개 품목을 포함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확실한 감축 기술 없어 탄소중립 달성에 난관이 예상된다.
이날 협의회에서 업계는 탄소 감축을 위해 CCUS(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 상용화, 재생에너지 도입 확대, 저탄소·고기능 소재 기술개발 지원 등 구체적인 정책과제를 제시했다.
정유업계는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가 산업의 구조적 한계와 기술적 어려움을 고려해 현실적인 목표가 돼야 한다며, 탄소 감축 기술의 상용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정부는 2035 NDC 수립 및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석유화학·정유 업계의 노력을 당부하며, 다배출업종의 탄소감축을 위한 제도적 지원과 무탄소 에너지 확대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석유화학과 정유산업은 탄소 감축이 구조적으로 매우 어려워 기업 혼자만으로는 극복할 수 없는 만큼, 민관이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산업계가 필요로 하는 제도적 지원을 적시에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대한상공회의소는 11일 서울 중구 상의회관에서 산업통상자원부와 공동으로 제2차 '산업부문 탄소중립 정책협의회'를 개최했다.
석유화학과 정유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각각 4690만t(2위)과 1590만t(4위)으로 산업 부문의 24%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 수출 주력산업인 두 산업은 앞으로 주요국 탄소 규제에 포함될 전망이다. 최근 시행된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는 적용 분야를 유기화학, 플라스틱 등 석유화학제품과 원유정제로 확대 논의 중이다.
향후 도입 가능성이 높은 미국의 청정경쟁법(CCA) 역시 탄소 조정세 부과 대상으로 화학제품·화학비료, 석유 정제품, 에탄올 등 12개 품목을 포함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확실한 감축 기술 없어 탄소중립 달성에 난관이 예상된다.
이날 협의회에서 업계는 탄소 감축을 위해 CCUS(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 상용화, 재생에너지 도입 확대, 저탄소·고기능 소재 기술개발 지원 등 구체적인 정책과제를 제시했다.
정유업계는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가 산업의 구조적 한계와 기술적 어려움을 고려해 현실적인 목표가 돼야 한다며, 탄소 감축 기술의 상용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정부는 2035 NDC 수립 및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석유화학·정유 업계의 노력을 당부하며, 다배출업종의 탄소감축을 위한 제도적 지원과 무탄소 에너지 확대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석유화학과 정유산업은 탄소 감축이 구조적으로 매우 어려워 기업 혼자만으로는 극복할 수 없는 만큼, 민관이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산업계가 필요로 하는 제도적 지원을 적시에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