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개월 연속 10만명대 취업자수…내수 부진 고용에 영향
9월 폭염에 건설 일자리 감소…청년 취업자수 하락 지속
한우 사육마릿수 높은 사료가격에 3분기에도 하락 전망
[세종=뉴시스]김동현 기자 = 지난 7월과 8월 두 달 연속 10만명대에 머무른 취업자 수 증가폭이 반등했을 지 관심이다. 청년층 취업자 수가 감소하고 고령층 취업자가 증가하는 현상이 지속되는 만큼 3개월 연속 10만명대 취업자 수 증가폭을 기록할 가능성이 높다.
실업률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전체 지표의 개선세가 유지되고 있지만 청년층 고용률이 둔화되는 상황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청년층 고용률은 5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일 공산이 크다는 의견이다.
통계청은 오는 16일 '2024년 9월 고용동향'을 발표한다. 8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5월과 6월에 10만명 아래로 떨어졌던 취업자수는 7월 17만2000명, 8월 12만3000명을 기록하며 2달 연속 10만명대 수준을 기록했다.
지표상으론 2021년 3월 이후 42개월 연속 취업자 수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단시간 일자리가 200만개 이상 증가한데 반해 양질의 일자리가 줄면서 쉬는 청년이 증가하는 등 내수 부진이 고용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진단이다.
9월 취업자수 증가폭도 비슷한 추이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이다. 제조업·수출이 경기 회복을 주도하고 산업별로 온기가 확산되면서 취업자 수가 늘어나야 하는데 수출 증가세가 내수로 이어지지 않으며 고용의 질도 하락세가 예상된다.
9월 폭염까지 겹치며 취약계층 일자리인 건설 일자리가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건설업은 5월 4만7000명, 6월 6만6000명, 7월 8만1000명, 8월 8만4000명 등 4개월 연속 취업자수 감소 및 2013년 이후 최대폭 감소를 기록했다.
2022년 11월부터 22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청년 취업자 수도 양질의 일자리 부족으로 9월에도 감소가 유력하다. 8월 기준 '쉬었음'으로 분류된 청년은 46만명으로 지난 5월부터 4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중이다.
40대 취업자수가 8월 6만8000명 감소한 것도 문제다. 우리 경제의 허리로 분류되는 40대와 미래를 책임져줄 청년층 취업자 수 감소는 서민경제 악화로 이어지면서 내수 부진 장기화 등 우리 경제를 뒤흔드는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우려다.
18일엔 올해 3분기 가축동향조사 결과가 공개된다. 가축동향조사는 한·육우, 젖소, 돼지, 닭, 오리를 대상으로 매분기(3, 6, 9, 12월) 1일 자정 기준으로 가축의 가구(농장)수와 마릿수 조사를 실시한 결과다.
2분기 조사에선 한·육우 사육 마릿수가 전년동기대비 18만600마리(5%) 감소한 356만2000마리로 집계됐다. 사료 가격 급등으로 한우 1마리를 생산하는 비용이 늘어난 것이 사육량 감소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고기소용 배합사료 가격은 2021년 1㎏당 평균 462원에서 올해 상반기엔 1㎏당 평균 542원에 판매되고 있는 중이다. 2021년 평균 가격 대비 17.3% 오른 셈이다. 2020년 대비로는 31.5% 가격이 상승했다.
3분기 조사에서도 비슷한 흐름이 이어질 수 있다. 소비 감소로 한우 산지가격이 하락하고 있는 만큼 사육마릿수와 농장수도 감소할 수 있다는 의견이다. 반면 산란계와 육용계, 오리 등은 수요 증가로 사육 마릿수가 증가했을 공산이 크다.
같은 날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는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이 증인으로 출석한다. 이날 국감은 농협중앙회를 비롯해 농협경제지주, 농협금융지주 등을 대상으로 한다.
이날 국감에서는 농협중앙회가 농협금융지주와 농협경제주주 지분 100%를 소유하면서 지배력을 행사하고 있는 지배구조 등이 주요 안건으로 다뤄지며 중앙회와 지주사 간 인사교류 등이 도마에 오를 수 있다.
또 NH농협은행을 비롯해 지역농협 등 다수의 사업장에서 금융사고가 발생한 것에 대해서도 여야 의원들의 집중 포화가 이뤄질 수 있다는 전망이다. 지역농협에선 5년간 임직원 횡령 등으로 1114억 금융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일부 의원들은 올해 1월 실시된 중앙회장 선거를 조명할 가능성도 높다. 강 회장은 선거 당시 상임조합장 연임 제한 폐지, 조합장 직무정지제도 최소화 등 조합장의 임기를 보장하는 공약을 내걸었는데 선심성 공약이라는 지적도 적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