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교수들 의료공백 대응에 연구 여력 없어
강선우 의원 "피해는 국민·국가에 되돌아올 것"
![[대구=뉴시스] 이무열 기자 = 의정 갈등이 계속되고 있는 지난 6월 26일 대구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강의실이 텅 비어있다.경북대 의대는 지난 4월 수업을 재개하기로 했으나 학생들이 복귀하지 않아 비대면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2024.06.26. lmy@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4/06/26/NISI20240626_0020393815_web.jpg?rnd=20240626135115)
[대구=뉴시스] 이무열 기자 = 의정 갈등이 계속되고 있는 지난 6월 26일 대구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강의실이 텅 비어있다.경북대 의대는 지난 4월 수업을 재개하기로 했으나 학생들이 복귀하지 않아 비대면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2024.06.26. lmy@newsis.com


[서울=뉴시스]송종호 기자 = 의대 증원으로 촉발된 의정갈등 장기화되면서 의학계 연구 실적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도울 전공의들이 임상 현장을 대거 이탈한 상황에서 의대 교수들이 의료 공백을 메우느라 연구까지 할 여력이 부족했던 것으로 보인다.
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대한내과학회의 올해 추계학술대회에 제출된 논문 초록 수는 101개로 지난해 학술대회(748개)보다 86.5% 급감했다.
다른 필수의료 과목 학회들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대한신경과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 초록 수는 지난해 527개에서 올해 267개로 절반이 줄었고 같은 기간 대한산부인과학회 45.4%, 대한심장혈관흉부외과학회는 20.3% 감소했다.
논문 감소 원인으로는 전공의들이 병원을 떠난 뒤 의대 교수들이 격무에 대응하느라 연구에 매진할 시간이 부족했던 데 있다. 이로 인해 해당 분야 발전이 더뎌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논문을 통한 연구는 의학 발전의 초석으로 꼽힌다. 일례로 과거에는 폐암 수술을 할 때 갈비뼈 사이를 절개했다. 하지만 연구를 통해 흉강경 방식으로 수술하는 것이 더 안전하고 부작용이 적다고 밝혀졌다. 현재는 흉강경 수술이 보편화했다.
의료계는 논문 감소는 의학 발전의 기회 저해를 의미한다며, 결국 피해는 국민과 국가가 받을 것으로 우려했다.
강선우 의원은 "의료 대란이 교육과 연구 분야 등 의료계의 모든 곳을 멍들게 하고 있다"며 "정부가 열린 자세로 사태 수습에 나서지 않는 한 한번 뒤처지기 시작한 연구를 따라잡기 어렵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과 국가에 되돌아올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ng@newsis.com
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대한내과학회의 올해 추계학술대회에 제출된 논문 초록 수는 101개로 지난해 학술대회(748개)보다 86.5% 급감했다.
다른 필수의료 과목 학회들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대한신경과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 초록 수는 지난해 527개에서 올해 267개로 절반이 줄었고 같은 기간 대한산부인과학회 45.4%, 대한심장혈관흉부외과학회는 20.3% 감소했다.
논문 감소 원인으로는 전공의들이 병원을 떠난 뒤 의대 교수들이 격무에 대응하느라 연구에 매진할 시간이 부족했던 데 있다. 이로 인해 해당 분야 발전이 더뎌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논문을 통한 연구는 의학 발전의 초석으로 꼽힌다. 일례로 과거에는 폐암 수술을 할 때 갈비뼈 사이를 절개했다. 하지만 연구를 통해 흉강경 방식으로 수술하는 것이 더 안전하고 부작용이 적다고 밝혀졌다. 현재는 흉강경 수술이 보편화했다.
의료계는 논문 감소는 의학 발전의 기회 저해를 의미한다며, 결국 피해는 국민과 국가가 받을 것으로 우려했다.
이시간 핫뉴스
강선우 의원은 "의료 대란이 교육과 연구 분야 등 의료계의 모든 곳을 멍들게 하고 있다"며 "정부가 열린 자세로 사태 수습에 나서지 않는 한 한번 뒤처지기 시작한 연구를 따라잡기 어렵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과 국가에 되돌아올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ng@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