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 1인 가구, 30년 후엔 51.6%…가구 수 2.6배↑
부부+자녀 가구, 30년 후 절반 뚝…연 6.2만 가구씩↓
44개월째 인구자연감소…"고령층 1인 가구 가속화"
[세종=뉴시스]임하은 기자 = 저출생과 고령화가 지속되면서 약 30년 후에는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41%를 1인 가구가 차지할 것으로 관측됐다. 늘어나는 1인 가구의 절반은 고령층일 것이라는 전망이다.
우리나라는 올해 상반기에만 5만명 넘는 인구가 자연감소했는데, 인구절벽에 따른 기형적인 가구구조가 현실화하는 모습이다.
통계청이 지난 12일 발표한 '장래가구추계:2022~2052년'에 따르면 2052년에는 가구 유형 중 1인 가구가 41.3%(962만 가구)로 가장 많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2022년 기준 가구유형을 보면 세 가구 중 한 가구가 1인 가구(739만가구·34.1%)로 가장 많다.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가구는 27.3%(590만 가구)이고, 부부로만 구성된 가구는 17.3%(374만 가구)로 집계됐다.
하지만 30년 후에는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가구는 17.4%(405만 가구)로 대폭 줄어든다. 부부 가구는 22.8%(532만 가구)로 비중이 늘어날 전망이다.
1인 가구와 부부 가구는 늘어나는 반면 부부+자녀 가구는 30년 후까지 연평균 6만2000가구씩 줄어든다.
문제는 2052년 1인 가구의 연령대별 비중이다. 30년 후 65세 이상 고령층 가구주의 비중은 1인 가구의 51.6%(496만 가구)로 절반을 넘어서게 된다. 2022년 고령층 1인 가구의 비중이 26.0%(192만 가구)인데, 30년 후에는 두 배가량 늘어나는 셈이다. 가구 수로만 보면 2.6배 증가한다.
고령층 중에서도 80세 이상이 1인 가구 연령층 중 23.8%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고령층 1인 가구의 증가세는 코로나19를 거치면서 더 가속화됐다. 통계청 관계자는 "코로나 이후 시점부터 1인 가구가 급격하게 늘었는데, 그 영향이 이어지고 있다"며 "코로나 때 요양병원 등 집단시설로 갔다가 나오면서 1인 가구가 남아있는 경향이 지속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통계청이 지난달 작성한 '6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상반기까지 총 5만2032명의 인구가 자연 감소했다. 인구가 자연적으로 줄어드는 현상은 2019년 11월부터 3년 8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출생아 수가 늘어나는 속도보다 사망자 증가세가 커 고령층 인구가 기형적으로 늘어나면서 인구구조가 항아리형에서 역피라미드형으로 바뀌고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1인 가구 비중이 급속하게 최근 들어서 높아져 가고 있다. 고령화가 지속되면서 1인 가구가 늘어나고, 인구 구조의 영향으로 인구가 감소하면서 젊은층 1인 가구는 줄어들 전망"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