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교육발전특구 1·2차 시범지역 선정 결과 발표
충남, 대상지역 15곳 중 최종 4곳(27%) 선정
타지역 과반 훌쩍…전남100%, 전북78.6%, 경북68.2%
충남도 “예비지정 탈락 논산·부여 이의신청 검토”
![[서울=뉴시스] 교육발전특구 1,2차 시범지역 선정결과 (그래픽=안지혜 기자) hokma@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4/07/31/NISI20240731_0001616625_web.jpg?rnd=20240731091850)
[서울=뉴시스] 교육발전특구 1,2차 시범지역 선정결과 (그래픽=안지혜 기자) hokma@newsis.com


[천안·아산=뉴시스]박우경 기자 = 교육 특례지정으로 인재 유출 막겠다는 정부의 ‘교육발전특구’ 선정에서 충남지역 지정율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충남도 등에 따르면 교육발전특구는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청·지역기업·학교 등이 협력해 교육 혁신, 지역인재 양성·정주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윤석열 정부의 교육정책이다.
교육발전특구 신청 단위는 1유형(기초지자체), 2유형(광역지자체), 3유형(광역지자체가 지정하는 기초지자체)으로 나뉜다.
정부는 수도권 접경지역과 인구감소지역에 한해 신청이 가능하도록 했다. 지역소멸이 우려되는 지역의 청년 인구 유출을 막기 위해서다.
문제는 충남도의 경우, 신청 가능 지역 수 대비 선정율이 다른 지역과 비교해 현저히 낮다는 점이다.
충남도에서 교육발전특구 지원이 가능했던 곳은 모두 15곳이다. 하지만 지난달 30일 정부가 발표한 교육발전특구 1·2차 시범지역 지정 결과, 충남에서 선정된 곳은 모두 4곳(27%)에 그쳤다.
서산·아산·공주·금산이 최종 선정됐으며 1차에서 예비지정됐던 부여·논산도 2차에서 끝내 탈락했다.
반면, 충북은 대상 지역 11곳 중에서 7곳(91%)이 최종 선정됐다. 3곳(청주·영동·증평)은 예비지정에 포함됐다.
이밖에도 과반수 이상 지정된 지역이 상당수를 차지했다. 전남은 지자체 22곳 중 17곳이 선정되고 5곳도 예비지정돼 사실상 100% 지정됐다. 아울러 ▲전북 78.6% ▲경남 77.8% ▲경북 68.2% ▲강원 61.1% 순으로 과반 넘게 선정됐다.
충남도는 교육발전특구 선정율이 저조한 원인에 대해 분석하고 3기 지정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입장이다.
충남도 관계자는 “충남도가 타 시군과 대비해 교육발전특구 선정율이 저조한 측면이 있다”며 “논산·부여의 경우, 컨설팅과 보완 등 도 차원에서 노력을 기울였는데도 선정되지 못한 부분이 납득가지 않아 이의신청을 검토중”이라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pacedust1@newsis.com
5일 충남도 등에 따르면 교육발전특구는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청·지역기업·학교 등이 협력해 교육 혁신, 지역인재 양성·정주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윤석열 정부의 교육정책이다.
교육발전특구 신청 단위는 1유형(기초지자체), 2유형(광역지자체), 3유형(광역지자체가 지정하는 기초지자체)으로 나뉜다.
정부는 수도권 접경지역과 인구감소지역에 한해 신청이 가능하도록 했다. 지역소멸이 우려되는 지역의 청년 인구 유출을 막기 위해서다.
문제는 충남도의 경우, 신청 가능 지역 수 대비 선정율이 다른 지역과 비교해 현저히 낮다는 점이다.
충남도에서 교육발전특구 지원이 가능했던 곳은 모두 15곳이다. 하지만 지난달 30일 정부가 발표한 교육발전특구 1·2차 시범지역 지정 결과, 충남에서 선정된 곳은 모두 4곳(27%)에 그쳤다.
서산·아산·공주·금산이 최종 선정됐으며 1차에서 예비지정됐던 부여·논산도 2차에서 끝내 탈락했다.
반면, 충북은 대상 지역 11곳 중에서 7곳(91%)이 최종 선정됐다. 3곳(청주·영동·증평)은 예비지정에 포함됐다.
이밖에도 과반수 이상 지정된 지역이 상당수를 차지했다. 전남은 지자체 22곳 중 17곳이 선정되고 5곳도 예비지정돼 사실상 100% 지정됐다. 아울러 ▲전북 78.6% ▲경남 77.8% ▲경북 68.2% ▲강원 61.1% 순으로 과반 넘게 선정됐다.
이시간 핫뉴스
충남도는 교육발전특구 선정율이 저조한 원인에 대해 분석하고 3기 지정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입장이다.
충남도 관계자는 “충남도가 타 시군과 대비해 교육발전특구 선정율이 저조한 측면이 있다”며 “논산·부여의 경우, 컨설팅과 보완 등 도 차원에서 노력을 기울였는데도 선정되지 못한 부분이 납득가지 않아 이의신청을 검토중”이라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pacedust1@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