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대병원 재활의학과 최자영 교수와 양신승 교수.(사진=충남대학교병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뉴시스]김도현 기자 = 충남대병원은 재활의학과 최자영, 양신승 교수 연구팀의 논문이 미국 의사협회에서 발행하는 국제 의학 학술지인 ‘JAMA Network Open(IF: 13.8)’에 게재됐다고 1일 밝혔다.
연구팀은 ‘뇌성마비 아동에서 웨어러블 보행보조로봇의 보행 개선 효과’를 주제로 발표했으며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번 연구는 충남대병원을 비롯한 세브란스병원, 전남대병원, 용인세브란스병원, 서울재활병원이 참여한 다기관 전향적 무작위 배정 임상 시험 결과다.
기존 트레드밀 기반 보행 로봇은 고정된 경로를 따라 움직여 아동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어렵고 실제 지면 보행을 구현하는 데 제약이 있었다.
이에 연구진은 웨어러블 보행보조로봇인 ‘엔젤렉스 M20’을 이용해 실제 지면에서 로봇 보행 훈련 효과를 연구했다.
특히 뇌성마비 아동 90명을 두 그룹으로 나눠 6주 동안 주 3회 30분씩 ‘엔젤렉스’를 착용하고 훈련을 받은 로봇 보조 보행 훈련군과 같은 기간 동안 물리치료를 받은 대조군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로봇 보조 보행훈련군은 대조군에 비해 대운동 기능, 균형 조절 능력, 보행 패턴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최자영 교수는 “이번 연구는 웨어러블 보행보조로봇을 이용한 보행 재활치료가 기존 재활 치료보다 대운동 기능 및 보행 기능 향상 효과가 크다는 것을 보여줬다”며 “힘 제어 기반의 웨어러블 로봇을 이용한 지면 보행 훈련이 기존 트레드밀 기반 로봇보다 더 자연스럽고 여러 보행 훈련을 가능하게 해 기존 치료보다 우수한 보행 재활 효과를 보였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