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류인선 기자 =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차세대 전지의 일종인 '전고체 배터리'를 놓고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가 맞대결을 벌인다.
LG에너지솔루션은 "누구보다 빨리 상용화하겠다"고 밝혔고, 삼성SDI는 "3년 후 양산하겠다"는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했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는 23일 서울 강남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제1회 '배터리데이 2024'를 개최했다. 첫날 연사로는 정근창 LG에너지솔루션 부사장과 고주영 삼성SDI 부사장 등이 참석했다.
전고체 전지는 양극과 음극 사이 액체 전해질을 고체로 대체한다. 이에 따라 화재 및 폭발 위험도가 크게 낮아지고, 에너지 밀도는 2배 가까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리튬을 사용하는 이차전지의 단점인 저온 시 배터리 성능 저하도 크게 개선된다.
정 부사장은 "파우치셀 적층 설비를 활용하면 누구보다 빨리 상업화하고, 스케일업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자동차, 선박 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며 "적절하게 출시 시점과 용도를 정하겠다"고 밝혔다.
정 부사장은 LG에너지솔루션의 전고체 전지 핵심 기술로 안전성, 고온 내구성, 고용량을 꼽았다. 정 부사장은 "이 전고체 전지는 리터 당 600~850와트시로 고용량"이라며 "저항은 줄이고 수명은 늘릴 것"이라고 제시했다.
반면 삼성SDI 고 부사장은 고체 전해질을 탑재한 삼성SDI의 올 솔리드 배터리에 관해 "2027년 양산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삼성SDI는 이미 지난해 말과 올 초 샘플도 공개했다. 이에 현재 고객사가 이 배터리 사용 평가와 피드백을 제공하고 있는데 긍정적인 반응인 것으로 알려졌다.
고 부사장은 "올 솔리드 배터리가 슈퍼 프리미엄 제품에 적용된 후 생산 능력이 향상되면 가격을 다운시킬 수 있다"며 "프리미엄 라인에서 엔트리 라인까지 다양하게 적용한다는 전략"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2029년에는 배터리 수명이 20년까지 늘어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LG에너지솔루션은 "누구보다 빨리 상용화하겠다"고 밝혔고, 삼성SDI는 "3년 후 양산하겠다"는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했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는 23일 서울 강남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제1회 '배터리데이 2024'를 개최했다. 첫날 연사로는 정근창 LG에너지솔루션 부사장과 고주영 삼성SDI 부사장 등이 참석했다.
LG엔솔 vs 삼성SDI, 전고체 배터리 경쟁
정 부사장은 "파우치셀 적층 설비를 활용하면 누구보다 빨리 상업화하고, 스케일업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자동차, 선박 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며 "적절하게 출시 시점과 용도를 정하겠다"고 밝혔다.
정 부사장은 LG에너지솔루션의 전고체 전지 핵심 기술로 안전성, 고온 내구성, 고용량을 꼽았다. 정 부사장은 "이 전고체 전지는 리터 당 600~850와트시로 고용량"이라며 "저항은 줄이고 수명은 늘릴 것"이라고 제시했다.
반면 삼성SDI 고 부사장은 고체 전해질을 탑재한 삼성SDI의 올 솔리드 배터리에 관해 "2027년 양산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삼성SDI는 이미 지난해 말과 올 초 샘플도 공개했다. 이에 현재 고객사가 이 배터리 사용 평가와 피드백을 제공하고 있는데 긍정적인 반응인 것으로 알려졌다.
고 부사장은 "올 솔리드 배터리가 슈퍼 프리미엄 제품에 적용된 후 생산 능력이 향상되면 가격을 다운시킬 수 있다"며 "프리미엄 라인에서 엔트리 라인까지 다양하게 적용한다는 전략"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2029년에는 배터리 수명이 20년까지 늘어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46파이 양산화도 코앞…"다양한 사이즈 공급"
고 부사장은 "지금까지 21파이로 주로 대응했지만, 최근 화두가 되는 46파이 라지 셀도 올해 양산 준비가 완료되고 있다"며 "고객에 따라 양산 시점을 조율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21파이에서 46파이가 되면서 다양한 사이즈 제품을 공급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46파이(지름 46㎜) 시리즈 배터리는 기존 원통형 배터리(지름 21㎜·높이70㎜ 일명 2170 배터리) 대비 에너지 용량은 5배, 출력은 6배 이상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는 차세대 전지다.
이와 함께 양사는 모두 리튬메탈 전지와 리튬-황 전지 등 차세대 배터리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정 부사장은 "차세대 배터리 양산은 2030년 이전에 가능하다"고 말했다. 반면 고 부사장은 "전기차 침투율 향상을 위해 차세대 배터리로 가야한다"며 원론적 입장을 내놓았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