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노조연맹, 교사 대상 실태조사 발표
"보호자가 교권침해·악성민원" 응답 50%
아이 폭행에 "선생님이 엄해서 그런 것"
'분리지도·치료' 제도 정비 목소리 높아
[서울=뉴시스]정유선 기자 = 주의력결핍행동 과잉행동장애(ADHD), 반항장애 등을 겪는 '정서행동 위기학생'으로 인해 수업을 방해 받은 적이 있는 교사가 90%를 넘는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교사노조연맹은 지난 19일부터 23일까지 전국 유·초·중등·특수교육 교원 199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심리·정서·행동 위기학생에 대한 학교 현장 실태 조사'를 26일 발표했다.
'정서행동 위기학생'은 ADHD·반항장애·품행장애·틱장애·스트레스 등 심리 또는 정신건강 등의 문제로 정상적인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말한다.
설문 응답자 중 97.4%(1940명)는 최근 3년 내 정서행동 위기학생을 지도해 본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정서행동 위기학생으로 인해 수업 진행이 불가능할 정도로 방해 받은 경험이 있다고 답한 교사는 93.5%(1841명)에 달했다.
수업 방해 외에도 생활지도 불응, 타인과의 갈등, 욕설 및 폭행 등이 관련 어려움으로 꼽혔다.
교사들 중 79.8%(1590명)는 정서행동 위기학생으로 인해 교권침해를 겪었다고 응답했다.
정서행동 위기학생의 보호자에 의해 교권침해 또는 악성민원을 경험했다고 답한 교사도 50.8%(1012명)로 절반을 넘었다.
학생의 정서 위기로 인한 문제 상황을 교사가 지도를 잘못해 생긴 일로 몰아가거나, 이를 이용해 아동학대 신고까지 하는 경우 등이 사례로 제시됐다.
한 초등학교 교사는 주관식 응답에서 1학년 남학생이 교실에서 발을 굴러 소음을 내거나 교사를 때리는 등 문제 행동을 보여 보호자들과 만났으나, '(폭력을 제지하기 위해 손을 잡은 것을 두고) 선생님이 손을 잡은 게 자극이 돼서 그런 게 아닐까 생각했다', '유치원 선생님처럼 친절하지 않고 딱딱하고 엄하게 대해 아이가 적응이 잘 안돼서 그랬을 수 있다'는 식의 말을 들었다고 밝혔다.
이 교사는 "머리카락도 뜯겼고, 손목 통증으로 병원 진료와 주사치료까지 병행했다"며 "정신과 상담 및 약물치료까지 받던 중 견딜 수 없는 상태가 와서 중간에 담임직을 내려놓고 계획에 없던 육아 휴직을 하게 됐다"고 토로했다.
대다수 교사들은 정서행동 위기학생의 어려움은 교육과 지도로 해결 가능한 범위가 아니라고 봤다.
해당 문제를 학교 내에서 교육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고 답한 교사는 97.5%(1925명), 의료 차원의 진단·치료·상담이 필요하다고 답한 교사는 99%(1972명)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보호자에게 전문적인 진단·치료·상담을 권유한다고 답한 교사는 61%(1214명)로 그보다 적었다.
교사들은 진단 및 치료가 강제가 아니며 학생·보호자와 관계가 악화하거나 민원·아동학대 신고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어 권유에 쉽사리 나서지 못한다고 답했다.
정서행동 위기학생 문제행동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는 해당 학생들의 분리지도가 가능한 법제도 정비(74.6%, 1486명)와 진단·치료·상담 등 지원을 위한 법제도 정비(67.9%, 1353명) 등이 필요하다고 봤다.
교사노조연맹은 "정서 위기학생을 전문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제도가 미흡하며, 선별된 학생을 상담 및 치료할 수 있는 외부기관 확충 및 연계도 소홀하다"며 "교육부와 국회는 학생의 학습권과 교사의 교육할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교사노조연맹은 지난 19일부터 23일까지 전국 유·초·중등·특수교육 교원 199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심리·정서·행동 위기학생에 대한 학교 현장 실태 조사'를 26일 발표했다.
'정서행동 위기학생'은 ADHD·반항장애·품행장애·틱장애·스트레스 등 심리 또는 정신건강 등의 문제로 정상적인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말한다.
설문 응답자 중 97.4%(1940명)는 최근 3년 내 정서행동 위기학생을 지도해 본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정서행동 위기학생으로 인해 수업 진행이 불가능할 정도로 방해 받은 경험이 있다고 답한 교사는 93.5%(1841명)에 달했다.
수업 방해 외에도 생활지도 불응, 타인과의 갈등, 욕설 및 폭행 등이 관련 어려움으로 꼽혔다.
교사들 중 79.8%(1590명)는 정서행동 위기학생으로 인해 교권침해를 겪었다고 응답했다.
정서행동 위기학생의 보호자에 의해 교권침해 또는 악성민원을 경험했다고 답한 교사도 50.8%(1012명)로 절반을 넘었다.
학생의 정서 위기로 인한 문제 상황을 교사가 지도를 잘못해 생긴 일로 몰아가거나, 이를 이용해 아동학대 신고까지 하는 경우 등이 사례로 제시됐다.
한 초등학교 교사는 주관식 응답에서 1학년 남학생이 교실에서 발을 굴러 소음을 내거나 교사를 때리는 등 문제 행동을 보여 보호자들과 만났으나, '(폭력을 제지하기 위해 손을 잡은 것을 두고) 선생님이 손을 잡은 게 자극이 돼서 그런 게 아닐까 생각했다', '유치원 선생님처럼 친절하지 않고 딱딱하고 엄하게 대해 아이가 적응이 잘 안돼서 그랬을 수 있다'는 식의 말을 들었다고 밝혔다.
이 교사는 "머리카락도 뜯겼고, 손목 통증으로 병원 진료와 주사치료까지 병행했다"며 "정신과 상담 및 약물치료까지 받던 중 견딜 수 없는 상태가 와서 중간에 담임직을 내려놓고 계획에 없던 육아 휴직을 하게 됐다"고 토로했다.
대다수 교사들은 정서행동 위기학생의 어려움은 교육과 지도로 해결 가능한 범위가 아니라고 봤다.
해당 문제를 학교 내에서 교육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고 답한 교사는 97.5%(1925명), 의료 차원의 진단·치료·상담이 필요하다고 답한 교사는 99%(1972명)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보호자에게 전문적인 진단·치료·상담을 권유한다고 답한 교사는 61%(1214명)로 그보다 적었다.
교사들은 진단 및 치료가 강제가 아니며 학생·보호자와 관계가 악화하거나 민원·아동학대 신고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어 권유에 쉽사리 나서지 못한다고 답했다.
정서행동 위기학생 문제행동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는 해당 학생들의 분리지도가 가능한 법제도 정비(74.6%, 1486명)와 진단·치료·상담 등 지원을 위한 법제도 정비(67.9%, 1353명) 등이 필요하다고 봤다.
교사노조연맹은 "정서 위기학생을 전문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제도가 미흡하며, 선별된 학생을 상담 및 치료할 수 있는 외부기관 확충 및 연계도 소홀하다"며 "교육부와 국회는 학생의 학습권과 교사의 교육할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