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인기 상임위원회 쏠림 현상 여전
법제운영위 추진…다른 광역의회선 문턱 못 넘어
[부산=뉴시스]원동화 기자 = 부산시의회가 오는 7월1일 제322회 임시회를 열고 제9대 시의회 후반기 의장단을 선출한다. 안성민 의장 연임이 확실시 되면서 상임위원회 구성이 주목된다.
25일 부산시의회에 따르면 지난 24일 오후 6시까지 시의원들의 선호 상임위 신청을 받은 결과 해양도시안전위원회, 행정문화위원회, 건설교통위원회, 교육위원회가 정원보다 많은 의원들이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획재경위원회, 복지복지환경위원회는 정원을 다 채우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성민 의장은 소수당인 민주당(3명)과 무소속 의원에게 먼저 선택권을 주겠다는 입장이다. 무소속 박철중(수영구1) 의원은 행정문화위, 민주당 서지연(비례) 의원은 건설교통위, 같은 당 반선호(비례) 의원은 기획재경위, 같은 당 전원석(사하구2)도 건설교통위를 1순위로 제출했다.
다만 민주당의 경우 서 의원과 전 의원이 같은 상임위를 원하는 만큼 조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의원들도 상임위원회가 결정되면 상임위원장 투표가 치열하게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전반기에서는 선수 순으로 위원장을 맡았지만, 일부 초선을 중심으로 상임위원장 도전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시의회는 후반기 상임위간 업무 조정 분장도 추진한다. 부산시의 조직 구조가 많이 달라지고 14년 만에 양대 부시장 체제가 개편되기 때문이다.
또 국회의 법제사법위원회와 비슷한 조례안 심사 기능을 담당할 상임위를 설치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속해서 조례 건수가 늘어서 ‘조례를 위한 조례’를 만든다는 비판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시의회 운영위원회가 가칭 '법제운영위원회'로 개편될 가능성이 크다. 앞서 윤일현(국민의힘·금정1) 의원이 '부산시의회 의원입법 정책의원 입법정책 수행의 효율성 제고 등에 관한 조례'를 대표 발의했다. 조례는 상임위 심사를 마친 조례안을 법제운영위가 체계와 자구에 대한 검토를 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당시 상임위에선 보류 결정을 내렸다.
안 의장은 후반기가 시작되면 공청회와 토론회를 열어 여러 의견을 청취할 생각이다.
앞서 이같은 내용은 제주특별자치도, 경기도 등 다른 광역의회에서 검토가 이뤄졌지만, 효율성 문제 등으로 무산된 바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25일 부산시의회에 따르면 지난 24일 오후 6시까지 시의원들의 선호 상임위 신청을 받은 결과 해양도시안전위원회, 행정문화위원회, 건설교통위원회, 교육위원회가 정원보다 많은 의원들이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획재경위원회, 복지복지환경위원회는 정원을 다 채우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성민 의장은 소수당인 민주당(3명)과 무소속 의원에게 먼저 선택권을 주겠다는 입장이다. 무소속 박철중(수영구1) 의원은 행정문화위, 민주당 서지연(비례) 의원은 건설교통위, 같은 당 반선호(비례) 의원은 기획재경위, 같은 당 전원석(사하구2)도 건설교통위를 1순위로 제출했다.
다만 민주당의 경우 서 의원과 전 의원이 같은 상임위를 원하는 만큼 조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의원들도 상임위원회가 결정되면 상임위원장 투표가 치열하게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전반기에서는 선수 순으로 위원장을 맡았지만, 일부 초선을 중심으로 상임위원장 도전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시의회는 후반기 상임위간 업무 조정 분장도 추진한다. 부산시의 조직 구조가 많이 달라지고 14년 만에 양대 부시장 체제가 개편되기 때문이다.
또 국회의 법제사법위원회와 비슷한 조례안 심사 기능을 담당할 상임위를 설치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속해서 조례 건수가 늘어서 ‘조례를 위한 조례’를 만든다는 비판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시의회 운영위원회가 가칭 '법제운영위원회'로 개편될 가능성이 크다. 앞서 윤일현(국민의힘·금정1) 의원이 '부산시의회 의원입법 정책의원 입법정책 수행의 효율성 제고 등에 관한 조례'를 대표 발의했다. 조례는 상임위 심사를 마친 조례안을 법제운영위가 체계와 자구에 대한 검토를 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당시 상임위에선 보류 결정을 내렸다.
안 의장은 후반기가 시작되면 공청회와 토론회를 열어 여러 의견을 청취할 생각이다.
앞서 이같은 내용은 제주특별자치도, 경기도 등 다른 광역의회에서 검토가 이뤄졌지만, 효율성 문제 등으로 무산된 바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