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北인공위성 발사 예고에 日정부 "중대도발 행위, 중단 요구"

기사등록 2024/05/27 15:13:01

최종수정 2024/05/27 16:38:53

"위성 발사라도 안보리 결의 위반"

"방위성·자위대, 필요 태세 구축"

[도쿄=AP/뉴시스]북한이 한중일 정상회의를 앞두고 27일 새벽 인공위성 발사를 예고한 데 대해 일본 정부는 외교 경로를 통해 중단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관방장관이 지난 1월 10일 도쿄 총리 관저에서 정례 기자회견을 가지고 있는 모습. 2024.05.27.
[도쿄=AP/뉴시스]북한이 한중일 정상회의를 앞두고 27일 새벽 인공위성 발사를 예고한 데 대해 일본 정부는 외교 경로를 통해 중단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관방장관이 지난 1월 10일 도쿄 총리 관저에서 정례 기자회견을 가지고 있는 모습. 2024.05.27.

[서울=뉴시스] 김예진 기자 = 북한이 한중일 정상회의를 앞두고 인공위성 발사를 예고한 데 대해 일본 정부는 27일 외교 경로를 통해 중단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일본 공영 NHK 등에 따르면 하야시 요시마사(林芳正) 관방장관은 이날 오전 정례 기자회견에서 북한의 인공위성 발사 통보에 대해 "이미 예고 기간에 돌입했다"며 "방위성·자위대는 방위상으로부터 파괴조치 명령을 바탕으로 한 필요한 태세를 구축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이날 북한은 일본 해상보안청에 "27일 오전 0시부터 다음 달 4일 오전 0시 사이에 인공위성을 발사할 것"이라고 통보했다.

파괴조치 명령은 탄도미사일 등이 일본 영역으로 날아와 영토·영해에 낙하하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방위상이 자위대에게 내리는 요격 명령이다.

하야시 관방장관은 "지금까지 탄도미사일 등 거듭된 발사도 포함해 일련의 북한의 행동은 지역 및 국제사회 평화와 안전을 위협하는 것이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탄도미사일 기술을 사용한 발사를 강행하는 것은 우리나라 안보에 대한 중대한 도발 행위"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위성 발사가 목적이라 하더라도 (북한의 위성 발사는) 관련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의 명백한 위반이다"고 짚었다.

특히 하야시 관방장관은 "(중국) 베이징 대사관 경로를 통해 북한 측에게 중지를 요구했다"고 밝혔다.

또한 "미국, 한국 등과 긴밀하게 협력하며 국민의 생명·재산을 지키기 위해 정보 수집·분석 및 경계·감시에 전력을 다 하겠다"고 강조했다.

일본 방위성은 북한 탄도미사일이나 위성이 일본 영토에 낙하할 가능성에 대비해 자위대 요격 미사일 부대 등을 배치하고 있다.

동중국해 등 일본 근해에는 탄도미사일 등을 추적할 수 있는 고성능 레이더와 요격미사일 SM3를 탑재한 이지스함이 24시간 태세로 전개됐다.

또한 지상배치형 요격미사일 PAC3이 오키나와현 본섬인 나하(那覇)시와 이시가키지마(石垣島)·미야코지마(宮古島)·요나구니지마(与那国島)에 배치돼 있다.

오키나와현은 다마키 데니(玉城デニー) 지사를 본부장으로 하는 위기관리 대책 본부를 설치했다.

일본 정부는 북한이 발사를 예고한 인공위성이 자국 상공을 통과할 경우 '전국순시경보시스템(J얼럿)' 등을 통해 관련 정보를 발신할 예정이다.

일본 정부는 J얼럿을 통해 "미사일 발사. 미사일 발사. 북한에서 미사일이 발사된 것으로 보입니다. 건물 내부 또는 지하로 피난해 주세요" 등 메시지를 보낼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北인공위성 발사 예고에 日정부 "중대도발 행위, 중단 요구"

기사등록 2024/05/27 15:13:01 최초수정 2024/05/27 16:38:53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

기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