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정부, 광역응급상황실 4→6곳 확대…상황의사 수당 60만원으로 인상

기사등록 2024/05/10 11:44:27

최종수정 2024/05/10 14:02:52

복지부,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

광역응급의료상황실, 7월 수도권·경상권 각각 1곳 추가

의대 교수, 병원장 허가시 광역응급의료상황실도 겸직

[서울=뉴시스] 배훈식 기자 = 박민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총괄조정관이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의사 집단행동 중대본 회의 결과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4.05.10. dahora83@newsis.com
[서울=뉴시스] 배훈식 기자 = 박민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총괄조정관이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의사 집단행동 중대본 회의 결과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4.05.10. [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 박영주 구무서 기자 = 정부가 권역별 응급환자의 전원을 지원하는 '광역응급의료상황실'을 7월까지 두 곳 확대해 총 6곳을 운영하기로 했다. 의대교수의 광역응급의료상황실 겸직 근무도 활성화한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은 1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을 열고 "광역응급의료상황실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광역응급의료상황실은 수도권, 충청권, 경상권, 전라권 등 4개 권역별 응급환자의 원활한 전원을 위해 24시간 운영하는 컨트롤타워다. 현재 상황실별로 지역 실정을 잘 아는 상황 의사 1명과 상황 요원 2~4명이 한 조로 교대 근무 중이다.

응급환자의 병원 간 전원 지원 요청을 받을 경우 광역응급의료상황실 상황의사가 환자의 중증도와 권역 내 병원별 역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적정 병원으로 연계하는 시스템이다.

정부는 현재 4곳에서 운영 중인 광역응급의료상황실을 인구가 많은 수도권과 경상권에 7월 중 각각 1곳씩 추가 개소해 총 6곳을 운영할 계획이다.

상황 의사 근무수당은 12시간당 현행 45만원에서 60만원으로 대폭 인상한다. 상황요원도 추가 채용해 수도권의 경우 현행 20명에서 30명으로 1.5배, 비수도권은 15명에서 30명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응급상황이 발생한 초기부터 중증·응급 환자를 적정 병원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119구급상황관리센터와 광역응급의료상황실 간 협력도 강화한다.

중증응급환자 이송이 지연되는 경우 구급상황관리센터에서 광역응급의료상황실에 공동 대응을 요청한다. 요청을 받은 광역응급의료상황실에서는 환자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공유받아 환자가 적정 병원에서 치료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수용 병원 선정이 완료되면 해당 병원 정보도 양 기관이 즉시 공유하도록 할 계획이다.

또 복지부와 소방청은 협의를 통해 기관 간 공동 대응 프로토콜을 마련했으며 이달 중 조속히 현장에 적용할 방침이다.

의대 교수의 광역응급의료상황실 겸직근무도 활성화한다. 정부는 지난 2일과 3일 40개 의과대학과 병원협회에 협조요청 공문을 발송했으며 교원 및 교원 외 의대교수가 상황실 겸직 근무를 신청할 경우 대학 총장과 병원장의 허가로 겸직 근무가 가능하도록 조치했다.

각 응급의료자원 정보가 표출되는 중앙응급의료센터의 종합상황판도 알기 쉽고 실시간 수준으로 현행화되도록 개선한다.

박민수 차관은 "광역응급의료상황실 기능 강화 방안이 조속한 시일 내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도록 인력 채용 및 교육, 시설·장비 구축 등의 준비 절차를 신속히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정부, 광역응급상황실 4→6곳 확대…상황의사 수당 60만원으로 인상

기사등록 2024/05/10 11:44:27 최초수정 2024/05/10 14:02:52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

기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