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개 공공 정보시스템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한다

기사등록 2024/04/10 12:00:00

대중 교통정보 등 21개 시스템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개별 장애가 전체로 전파되지 않아 중단없는 서비스 가능

[세종=뉴시스]세종시 정부세종2청사 행정안전부. 2019.09.03.
[세종=뉴시스]세종시 정부세종2청사 행정안전부. 2019.09.03.
left swipright swip
[서울=뉴시스]김혜경 기자 = 행정안전부는 공공부문 정보시스템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을 올해부터 본격 추진한다고 10일 밝혔다.

정부는 2021년부터 본격적으로 공공 시스템의 클라우드 전환을 추진했지만, 네이티브 방식이 적용되지 않아 사용자가 갑자기 몰리는 경우 접속이 지연되고, 일부 기능 장애가 전체 서비스 장애를 초래하는 등 시스템 안정성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공공부문 정보시스템의 중단없는 서비스를 제공을 위해 정보시스템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을 추진한다.

'클라우드 네이티브'란 클라우드의 단점을 보완하는 방식으로, 개별 서비스 장애가 전체 서비스로 전파되지 않는 등 ‘안정성’, ‘확장성’, ‘신속성’ 등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올해는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국가대중 교통정보, 정부 24 등 24시간 안정적인 디지털서비스 제공이 특별히 요구되는 21개 행정·공공기관의 정보시스템을 선정해 내년까지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을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기술적 난이도가 높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을 차질없이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컨설팅 사업을 올해 4월부터 11월까지 추진한다.

이를 통해 시스템별로 네이티브 전환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를 분석하고 목표 모델을 수립하는 등 전환에 필요한 모든 내용을 사전에 준비할 계획이다.



한편 작년 6월부터 추진 중인 온나라 지식 등 3개 시스템에 대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시범전환 사업도 올해 10월까지 마무리할 예정이다.


서보람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으로 국민에게 안정적이면서도 신속한 행정·공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을 통해 디지털플랫폼정부의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chkim@newsis.com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21개 공공 정보시스템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한다

기사등록 2024/04/10 12:00:00 최초수정

많이 본 기사

newsis_c
newsis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