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연이은 은행권 압박에…대출금리 내려가나

기사등록 2023/11/07 10:45:36

가계부채 억제 위해 대출문턱 높여오다 정책기조 반전

尹대통령 이어 금융당국 수장들도 비판 가세, 금리인상 속도 조절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6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한국공인회계사회에서 열린 '금융감독원장-회계법인 CEO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3.11.06. kgb@newsis.com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6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한국공인회계사회에서 열린 '금융감독원장-회계법인 CEO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3.11.06.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이정필 기자 = 윤석열 정부가 은행권을 향해 강한 비판을 이어가면서 업계가 대출금리 인상에 제동을 걸었다. 가계부채 증가세 억제를 위해 대출 문턱을 빠르게 높여왔지만, 달라진 정책 기조에 속도를 조절하며 눈치를 살피는 모습이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 코픽스)는 이날 연 4.58~~7.18%로 집계됐다. 주담대 고정금리(금융채 5년)는 4.21~6.47%로 나타났다. 6개월 변동 기준 전세대출은 4.68~6.68%, 신용대출은 4.16~6.87% 수준을 보인다.

그동안 은행들은 대출금리를 빠르게 올려왔다. 주담대를 위주로 가계부채 급증세가 이어지면서 당국이 이를 지적하자 대출 문턱을 높여왔다.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0월말 기준 686조119억원으로 집계됐다. 한 달간 3조6825억원 불어난 규모로 올해 들어 가장 큰 폭의 증가다. 가계대출 잔액은 올해 5월부터 증가세로 전환한 뒤 증가폭을 키우고 있다.

주담대는 가계대출 급증세를 견인하는 중이다. 5대 은행의 주담대 잔액은 521조2264억원으로 한 달간 3조3676억원 증가했다. 증가폭은 7월 1조4868억원, 8월 2조1122억원, 9월 2조8591억원에 이어 계속 커지는 상황이다. 신용대출도 1년11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5대 은행 신용대출 잔액은 107조9424억원으로 전월보다 6015억원 늘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은행들은 가계부채를 줄이기 위해 대출 금리를 높이고 심사를 강화해왔다. 하지만 최근 윤 대통령의 잇따른 질타에 속도를 조절하며 눈치를 살피는 모습이다. 금융당국 수장들도 가세해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최근 금리상승 과정에서 금융권 순익은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며 "이익의 원천이 소비자 편익 증대를 위한 혁신 노력의 결과라기보다는 단순히 금리상승에 따른 이자 수입 증가라는 점에서 국민들의 시선은 따가움도 있다. 은행 등 금융권의 역대급 이자수익은 국민들 입장에서는 역대급 부담 증대를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올해 은행권의 이자수익이 60조원으로 역대 최대 수준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3분기 영업이익을 비교해보면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자동차 등을 다 합친 것보다도 은행권 영업이익이 크다. 은행들이 여러 노력을 해온 것은 알지만 과연 반도체나 자동차만큼 다양한 혁신을 했기에 60조원의 이자수익을 거둔 것일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최근 신한은행은 1050억원, 하나은행은 1000억원 규모의 상생금융 방안을 발표했다. 국민은행과 우리은행, 농협은행도 조만간 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지난해 4분기 기준금리 인상과 레고랜드 사태 등으로 수신 조달비용이 늘고 대출금리가 올라갔다"며 "올해로 넘어오면서 '은행들만 돈 잔치를 하고 있다'는 지적에 금리를 내려오다가 가계부채 급증의 원인으로 지목되며 다시 높여왔다. 최근 대통령의 '고금리에 소상공인들이 종노릇을 한다'는 발언 등 또다시 달라진 정책 기조에 이자 부담을 낮추는 상생금융을 확대하며 맞춰나가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금융당국 연이은 은행권 압박에…대출금리 내려가나

기사등록 2023/11/07 10:45:36 최초수정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