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름 10m 운석 서울 도심에 추락한다면…"

기사등록 2023/10/31 17:39:22

최종수정 2023/10/31 17:41:00

정부, 자연우주물체 추락 대비 안전한국훈련…범부처 협력체계 점검

10m 운석 떨어져도 도시급 피해…지구 위협 거대 소행성 152개 추정

韓 올해 1월 '위성 추락 대응' 실전 겪어…"운석 충돌 초동대응 강화"

[대전=뉴시스]최은정 천문연 우주위험감시센터 우주위험연구실장이 우주위험감시센터 내에 마련된 소행성 궤도 감시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윤현성 기자)
[대전=뉴시스]최은정 천문연 우주위험감시센터 우주위험연구실장이 우주위험감시센터 내에 마련된 소행성 궤도 감시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윤현성 기자)
[대전=뉴시스]윤현성 기자 = "천문연구원 내 세종홀 정문에 소행성이 추락했습니다. 방사선 등 위험 가능성이 있으니 접근을 자제해주시기 바랍니다."

31일 대전 한국천문연구원 내에서 진행된 '2023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우리나라에 소행성과 같은 자연우주물체가 추락했을 때를 가정해 펼쳐졌다. 진짜 운석이 떨어진 것처럼 짙은 연기가 뿜어졌고, 소방대원들의 화재 진화 작업도 실제처럼 이뤄졌다.

운석과 같은 자연우주물체는 지난 2016년부터 화재, 지진, 태풍 등 흔히 생각하는 자연재해들과 똑같이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서 위기대응 방안 등을 규정하고 있다. 우주 관측 기술이 발달하면서 과거에는 예측할 수 없었던 소행성, 유성체 등의 움직임을 미리 계산하고 대응할 수 있게 되면서다. 해당 법령에 따른 우주물체 추락 대응 훈련도 매년 진행되고 있다.
[대전=뉴시스]31일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자연우주물체 추락에 대비한 '2023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윤현성 기자)
[대전=뉴시스]31일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자연우주물체 추락에 대비한 '2023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윤현성 기자)

10m 운석 추락 시 1개 도시급 피해…우주물체 추락 대응 해법은 '사전 회피' 뿐

그렇다면 이날 훈련처럼 실제로 우리나라에 지름 10m 수준의 소행성이 떨어진다면 어떻게 될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우주에서 떨어지는 소행성을 요격하는 등 지상의 피해를 아예 막는 기술은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서울과 같은 도심 한복판에 소행성이 떨어질 경우 물적 피해는 사실상 막을 수가 없는 셈이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천문연, 행정안전부 등 관계 정부부처들은 운석 충돌을 사전 예상함으로써 인명 피해를 막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번 시나리오 대상인 10m급 소행성의 경우에도 단 하나만 충돌해도 도시 하나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수준이다. 지름 10m 운석이 온전하게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대기권 진입 과정에서 소실되더라도 도시 전체에 피해를 줄 수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운석 추락 과정 등에서 나타나는 충격파로 건물 유리창 등이 모두 깨지거나, 강한 진동으로 행인들을 넘어뜨리는 등의 피해가 예상된다. 100m 크기의 소행성은 국가급 피해를 야기할 수도 있다.

실제로 10~20m 크기의 소행성이 2013년 러시아 첼랴빈스크에 충돌하며 인명, 재산 피해를 일으킨 바 있다. 사망자는 없었으나 약 1600명이 부상을 입고, 6000여채의 건물이 파손됐다.
[첼랴빈스크=AP/뉴시스]러시아 첼랴빈스크 지역의 한 고속도로 상공에 15일 운석이 통과하면서 밝은 섬광이 나타났다. 이날 운석이 첼랴빈스크 상공을 통과하면서 폭발, 건물 유리창들이 깨지면서 400명이 넘는 사람들이 부상을 당했다.
[첼랴빈스크=AP/뉴시스]러시아 첼랴빈스크 지역의 한 고속도로 상공에 15일 운석이 통과하면서 밝은 섬광이 나타났다. 이날 운석이 첼랴빈스크 상공을 통과하면서 폭발, 건물 유리창들이 깨지면서 400명이 넘는 사람들이 부상을 당했다.
이런 피해를 막기 위해 우주물체 추락 대응 훈련에서는 지구 충돌 징후 발견, 유성 폭발, 잔해 낙하로 인한 복합 피해 등의 상황을 가정했다.

운석 피해 방지를 위해 가장 중요한 전제는 소행성을 계속해서 추적·관측하며 궤도를 계산하고, 이를 토대로 충돌 시점과 지역을 미리 파악하는 것이다. 사전 예측을 통해 피해 예상 지역의 시민들을 미리 대피시키는 등 빠른 초동 대처에 나서는 것이 핵심이다.

실제로 과기정통부는 천문연을 중심으로 국제 협력을 진행하며 지구 위협 소행성을 계속해서 추적하고 있다. 관련 기술의 최고 선도자인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주도로 '국제 소행성 경보 네트워크(IAWN)'라는 감시망을 운용하며 세계 각국이 함께 운석 충돌에 대응하는 식이다.

현재 지구 근처를 맴도는 소행성은 약 3만3000개에 달한다. 이 가운데 지구를 위협할 정도로 가까우면서 크기가 1㎞ 이상인 소행성은 152개, 140m 이상인 소행성은 2300여개로 추정되고 있다.

우주선 잔해 등 인공우주물체도 지속 감시…"궤도 파악해 추락 시점·위치 찾는다"

이날 훈련은 자연우주물체인 운석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나, 최근 많은 문제를 낳고 있는 우주선 잔해 추락 등 인공우주물체 재해도 똑같은 방식으로 대응하게 된다. 모든 우주물체 추락은 피하는 것 말고는 답이 없기 때문이다. 더욱이 자연우주물체와 비교하면 인공우주물체는 궤도 추적이나 회피가 비교적 쉬운 편에 속한다.

인공우주물체 추락은 3년 전 매달 30여개 수준이었던 것이 현재는 매달 150여개로 폭증한 상황이다. 31일 오늘도 12개의 인공우주물체가 추락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대부분의 인공우주물체는 크기가 작아 대기권에서 불타 없어지는 경우가 많으나 일부 크고 무거운 물체는 운석처럼 지상에 추락해 피해를 입히는 경우가 있다.
[대전=뉴시스]한국천문연구원 우주위험감시센터 내에 구비된 지구 주변 인공우주물체 잔해 감시 시스템. (사진=윤현성 기자)
[대전=뉴시스]한국천문연구원 우주위험감시센터 내에 구비된 지구 주변 인공우주물체 잔해 감시 시스템. (사진=윤현성 기자)
실제로 우리나라도 인공우주물체 추락 대응 실전을 이미 겪은 바 있다. 올해 1월 미국 지구관측위성 'ERBS'의 추락 예상 범위에 한반도가 들어갔던 것. 이같은 천문연의 분석 이후 정부는 경계 경보 발령과 함께 우주위험대책본부를 꾸려 대응에 나섰다.

당시 과기정통부는 전국민에 안전안내문자를 발송해 주의사항을 전파하고, 긴급상황회의를 개최해 위성의 추락 직전까지 추락상황 감시를 이어갔다. 충돌 예상 시간 내 약 1시간에 걸쳐 전국 공항 항공기의 이륙을 중단하고 해상에 있는 선박들에게도 위성 추락 위험성을 공유했다.

ERBS 위성이 알래스카 베링해 부근에 최종 추락하며 별다른 피해 없이 상황이 종료됐으나, 올해 초의 이 사건은 우리나라의 우주재난 대응 능력을 점검하고 경험치를 높이는 기회가 됐다. 이날 진행된 대응 훈련의 경우에도 우주위험대책 관련 부처·기관과 지자체가 모여 대응매뉴얼을 다시 한번 점검하고 신속한 협력 체계를 살피는 데 초점을 뒀다.

최은정 천문연 우주위험감시센터 우주위험연구실장은 "우주물체 추락은 자연물체든 인공물체든 피하는 것 외엔 아직 별다른 대책이 없다. 지속적인 관측을 통해 소행성 등의 궤도를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며 "또한 우주물체는 기본적으로 1개 국가의 감시만으로는 대응이 불가한 만큼 국제협력도 계속해서 이뤄지고 있다. 이날 진행된 안전한국훈련도 향후 자연·인공우주물체 추락 대응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선학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자연우주물체의 추락·충돌은 상황의 조기파악을 통한 예보가 중요한 만큼 이번 훈련을 통해 초동대응 능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며 "우주위험대책 관련 부처·기관 및 지자체는 이번에 개정된 재난대응 매뉴얼을 중심으로 다시 점검하고, 훈련에 적극 참여해 상황 발생 시 국민을 보호할 수 있도록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 강화에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지름 10m 운석 서울 도심에 추락한다면…"

기사등록 2023/10/31 17:39:22 최초수정 2023/10/31 17:41:00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