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윤, 21~26일 사우디·카타르 국빈 방문…이재용 등 경제사절단 동행(종합)

기사등록 2023/10/19 16:07:58

한국 대통령 첫 국빈방문

정상회담-오찬 등 공식 국빈 일정 수행

투자 포럼·기술 파트너십 경제 일정도

경제사절단 200명…삼성·현대차·두산 등

[서울=뉴시스] 전신 기자 =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이 1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사우디아라비아·카타르 순방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3.10.19. photo1006@newsis.com
[서울=뉴시스] 전신 기자 =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이 1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사우디아라비아·카타르 순방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3.10.19.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박미영 김승민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은 오는 21부터 26일까지 4박6일간 사우디아라비아와 카타르를 국빈 방문한다.

두 나라 모두 한국 대통령으로선 첫 국빈 방문이다. 이번 순방에는 200여명의 경제사절단이 동행한다.

김태효 국가안보실장과 최상목 경제수석은 19일 용산 청사에서 윤 대통령 중동지역 순방 일정과 의의를 브리핑했다.

김 차장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부인 김건희 여사와 21~24일 사우디 리야드를 방문한다.

윤 대통령은 현지시간 21일 저녁 사우디 리야드에 도착해 하루를 묵고 22일 국빈 방문 공식 일정을 시작한다. 국빈 공식일정은 환영식,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와의 회담, 오찬 순서로 진행된다.

이어 이날 저녁에는 양국 경제인들이 함께하는 '한-사우디 투자포럼'에 참석해 축사를 한다.

23일에는 사우디 왕립대학을 방문해 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연하고, 이어 왕립과학기술원을 찾아 양국 과학자들이 참여하는 '한-사우디 미래기술 파트너십 포럼'에서 양국간 미래지향적 기술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할 예정이다.

24일에는 '사막의 다보스포럼'이라 불리는 '미래투자 이니셔티브 포럼'에 주빈으로 참석한다. 사회자와의 1대1 대담을 하고 한국과 중동지역간 협력관계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논의한다.

윤 대통령은 이 일정을 끝으로 사우디 순방을 마치고 24일 오후 카타르 도하로 이동해 카타르 국빈 방문을 시작한다.

도하에 도착 직후 '도하 국제원예박람회'에 마련된 한국관을 방문해 우수한 스마트 농업기술을 보여주고 있는 기업인들과 청년들을 격려한다.

25일에는 공식 환영식, 타밈 빈 하마드 알 타니 국왕과의 한-카타르 정상회담, 오찬으로 진행되는 공식 국빈일정을 구행한다.

이어 양국 기업인 300여명이 참석하는 '한-카타르 비즈니스 포럼'에 참석한다.

카타르 마지막 일정으로 에듀케이션 시티를 방문해 청년리더들과 대화의 시간을 갖고 25일 늦은 오후 귀국길에 올라 26일 오전 서울 공항에 도착할 예정이다.

우리의 중동지역 주요 교역국인 사우디와 카타르 국빈 방문은 기존 협력 관계를 내실화하고  수소, IT, 자동차, 조선, 재생에너지, 문화, 엔터테인먼트 등 미래산업 분야를 아우르는 새로운 분야의 협력을 모색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대통령실은 기대하고 있다.

김태효 안보실 1차장은 "사우디와 카타르는 우리의 중동지역 주요 교역국이자 정치경제의 핵심 플레이어로  이들 국가와의 우호 협력은 경제와 안보에 매우 중요하다"며 "순방 통해 사우디 카타르와 기존 협력관계를 내실화하고 새로운 분야 협력을 모색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윤 대통령 순방에는 사우디에 130명, 카타르에 59명의 경제사절단이 동행한다. 수출 주역인 중소, 중견기업이 전체의 70%다.

사우디 순방에는 이재용 삼성전자회장, 정의선 현대차 회장, 김동관 한화부회장, 허태수 GS회장, 정기선 HD현대 사장, 박지원 두산에너빌리티 회장 등 주요그룹 대표들이 참여한다. 

윤 대통령은 순방기간 동안 경제사절단을 별도로 만나 격려하는 자리도 가질 예정이다.

최상목 경제수석은 "이번 사우디, 카타르 순방은 경제적 측면에서 중동과의 협력관계 재설정, 인프라 협력의 고도화, 에너지 안보 강화 등의 경제적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동안 중동으로부터 안정적 에너지 공급과 건설 프로젝트 참여는 우리의 고도 성장과 산업화의 초석이 됐다"며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공격적으로 사업 다각화 전략을 추구하는 중동과 탈탄소를 기반으로 하는 '중동 2.0'으로 새로운 협력 관계 설정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국빈 방문을 계기로  에너지, 건설 등 전통적 협력분야와 함께 전기차, 조선, 스마트팜, 문화컨텐츠 등 다양한 분야로 중동국가 협력지평 넓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순방을 계기로 도로, 항만 등 사회기반시설 위주의 인프라 협력을 향후 석유, 화학, 해수담수화 설비, 원전, 미래스마트 신도시 등으로의 고도화를 추진하게 될 전망이다.

아울러 우크라이나 전쟁에 이어 이스라엘-하마스 분쟁으로 인해 국제유가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윤 대통령의 이번 순방을 계기로 사우디, 카타르와 안정적 원유, 가스 공급 방안을 논의하고 시장 안정을 위한 적극적인 역할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최 수석은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윤, 21~26일 사우디·카타르 국빈 방문…이재용 등 경제사절단 동행(종합)

기사등록 2023/10/19 16:07:58 최초수정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

기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