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신입생 30%는 전공 선택의 자유 줘야"
"의대 쏠림 바람직하지 않아…경쟁 완화 기대"
"대학들 이공계 고사 걱정…무전공 확대될 것"
"의대증원 수도권대 '배제' 표현 적절치 않아"
"소규모 지역의대 우선 증원 필요성은 공감"
[서울=뉴시스]대담 김현섭 사회정책부장, 정리 김정현 기자 =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대학 학과 선택 없이 자율전공학부(무전공)로 입학한 학생들이 3학년이 되면 의과대학으로의 진학도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의대 정원 증원 규모가 결정되면 비수도권 소규모 의대를 우선해 배분하되 수도권 의대도 배제하지는 않겠다고 말했다. 의대 정원 배분 기준을 맡게 될 교육부 장관이 공식 석상에서 그 방향을 시사한 것은 처음이다.
이 부총리는 지난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뉴시스와 만나 "적어도 대학 신입생 30%는 최대한 전공 선택의 자유를 주고 의대 정원이 생기면 그것도 여기(자율전공)에 포함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부총리는 지난 5일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전체 대학에서 적어도 정원 30%는 벽을 허물고 학생들에게 전공 선택권을 줘야 한다"고 말한 바 있는데, 선택 가능한 전공의 범위를 의대까지 확대하는 것을 검토 중이라고 처음 밝힌 것이다.
지금도 대학에서 자율전공학부 또는 자유전공학부 등 '광역단위 모집'(무전공 선발)이 운영되고 있으나 3학년에 전공을 택할 때 의대는 갈 수 없었다. 보건의료계열이나 사범대 등 교원을 양성하는 학과도 마찬가지였다.
이 부총리는 "성적에 맞춰서 학과를 택하다 보니까 대학에 들어와서 '이게 아닌데' 해도 할 수 없이 전공을 갖고 사회에 나간다"며 "전공 불일치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통계를 봐도 굉장히 심각하다"고 말했다.
이어 "대학의 기능이라는 것은 전공을 선택하게 해 주고 사회에 내보내는 것인데 이렇게 못하는 배경은 대학이나 교수들의 이기주의와 기득권"이라며 "'학생들을 꼭 내 전공으로 갖고 있어야 하겠다'는 것인데 전공의 폭은 얼마든지 자유롭게 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부총리는 특정 전공 쏠림 현상도 사회 변화에 따른 학생들의 선택이므로 자연스러운 일이고 대학과 교수들이 감수해야 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인기 없는 학과와 수업에 대해서도 "강의를 새로운 수요에 맞춰 융합적으로 하면 얼마든지 (유지가) 가능하다"고 했다.
그러나 '의대 쏠림' 문제는 '광풍'이라는 평가가 나올 만큼 과도해 모든 학생이 의대 학부 입학만 바라볼 게 아니라 자율전공으로 입학할 경로를 마련하자는 취지다.
의대 정원 증원 규모가 결정되면 비수도권 소규모 의대를 우선해 배분하되 수도권 의대도 배제하지는 않겠다고 말했다. 의대 정원 배분 기준을 맡게 될 교육부 장관이 공식 석상에서 그 방향을 시사한 것은 처음이다.
이 부총리는 지난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뉴시스와 만나 "적어도 대학 신입생 30%는 최대한 전공 선택의 자유를 주고 의대 정원이 생기면 그것도 여기(자율전공)에 포함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부총리는 지난 5일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전체 대학에서 적어도 정원 30%는 벽을 허물고 학생들에게 전공 선택권을 줘야 한다"고 말한 바 있는데, 선택 가능한 전공의 범위를 의대까지 확대하는 것을 검토 중이라고 처음 밝힌 것이다.
지금도 대학에서 자율전공학부 또는 자유전공학부 등 '광역단위 모집'(무전공 선발)이 운영되고 있으나 3학년에 전공을 택할 때 의대는 갈 수 없었다. 보건의료계열이나 사범대 등 교원을 양성하는 학과도 마찬가지였다.
이 부총리는 "성적에 맞춰서 학과를 택하다 보니까 대학에 들어와서 '이게 아닌데' 해도 할 수 없이 전공을 갖고 사회에 나간다"며 "전공 불일치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통계를 봐도 굉장히 심각하다"고 말했다.
이어 "대학의 기능이라는 것은 전공을 선택하게 해 주고 사회에 내보내는 것인데 이렇게 못하는 배경은 대학이나 교수들의 이기주의와 기득권"이라며 "'학생들을 꼭 내 전공으로 갖고 있어야 하겠다'는 것인데 전공의 폭은 얼마든지 자유롭게 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부총리는 특정 전공 쏠림 현상도 사회 변화에 따른 학생들의 선택이므로 자연스러운 일이고 대학과 교수들이 감수해야 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인기 없는 학과와 수업에 대해서도 "강의를 새로운 수요에 맞춰 융합적으로 하면 얼마든지 (유지가) 가능하다"고 했다.
그러나 '의대 쏠림' 문제는 '광풍'이라는 평가가 나올 만큼 과도해 모든 학생이 의대 학부 입학만 바라볼 게 아니라 자율전공으로 입학할 경로를 마련하자는 취지다.
이 부총리는 "자율전공에서 2년을 가르치고 의대를 선택하게 하는 옵션(선택지)를 주면 우수한 아이들이 일단 (자율전공으로) 들어올 것"이라며 "모든 우수한 아이들이 다 의대로 쏠린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2년 후 (전공을) 선택하게 기회를 준다면 (의대)쏠림 현상도 조금 완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는 "이 방안에 긍정적인 총장들이 있었다"며 "의대 정원을 받더라도 이공계가 고사(말라 죽음)한다는 우려도 있는데 (자율전공으로 모집하면) 모든 입학생을 무전공으로 받겠다는 대학도 생길 수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이 부총리는 "이 아이디어는 바로 시행하는 게 사실 쉽지 않기 때문에 충분히 대학과 협의를 해야 한다"며 "대학들과 소통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모든 의과대학의 선발 방식을 바꾸겠다는 것이 아니라 증원된 정원 일부를 활용해 검토해 나가겠다는 입장이다.
이 부총리는 지역균형 차원에서 수도권 의대를 배제하고 지방의대를 중심으로 증원하자는 주장에 대해 묻자 "'배제'라는 표현은 적절하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그는 "우선적으로 지역 대학 중에서 의대 학생 수가 40명 이런 곳들이 있다"며 "그런 곳부터 빨리 늘려 달라는 데 충분히 국민적인 공감대가 있다고 생각하고 지역의 공공의료 서비스 차원에서도 필요하다"고 했다.
[email protected]
그는 "이 방안에 긍정적인 총장들이 있었다"며 "의대 정원을 받더라도 이공계가 고사(말라 죽음)한다는 우려도 있는데 (자율전공으로 모집하면) 모든 입학생을 무전공으로 받겠다는 대학도 생길 수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이 부총리는 "이 아이디어는 바로 시행하는 게 사실 쉽지 않기 때문에 충분히 대학과 협의를 해야 한다"며 "대학들과 소통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모든 의과대학의 선발 방식을 바꾸겠다는 것이 아니라 증원된 정원 일부를 활용해 검토해 나가겠다는 입장이다.
이 부총리는 지역균형 차원에서 수도권 의대를 배제하고 지방의대를 중심으로 증원하자는 주장에 대해 묻자 "'배제'라는 표현은 적절하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그는 "우선적으로 지역 대학 중에서 의대 학생 수가 40명 이런 곳들이 있다"며 "그런 곳부터 빨리 늘려 달라는 데 충분히 국민적인 공감대가 있다고 생각하고 지역의 공공의료 서비스 차원에서도 필요하다"고 했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