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3년09월27일 14:42 뉴시스 프라임뉴스 서비스에 먼저 공개된 콘텐츠입니다
[편집자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지난해 10월 27일 '부'자를 떼고 '회장' 직에 오른지 만 1년이 됩니다. 회장 승진 1주년을 맞아 이재용 회장이 이끄는 삼성이 어떻게 달라졌고, 앞으로 어떻게 삼성을 이끌지 진단해봅니다.
[서울=뉴시스]이인준 기자 = 이재용 회장 취임 1주년을 맞아 삼성 계열사들의 구심점 역할을 할 콘트롤타워 부활 가능성이 제기된다.
최근 삼성전자를 비롯한 주요 계열사의 실적에 경고음이 켜지며 곳곳에서 "삼성처럼 큰 조직에 콘트롤타워가 없으니 효율성과 통일성 측면에서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다"는 주장에 무게가 실린다.
만약 삼성 콘트롤타워가 부활한다면, 삼성 계열사간 사업 협력과 중복 사업 조정 같은 비효율 제거에 긍정적이라는 목소리가 들린다. 단 과거 삼성 '미래전략실'처럼 콘트롤타워가 총수 일가의 지배력 강화에 이용되는 일이 없도록 견제 장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3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은 공식적으로 '그룹'이라는 명칭을 쓰지 않고 계열사 자율경영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그룹 콘트롤타워 역할을 하던 옛 '미래전략실'은 2017년 2월 해체됐다.
이후 삼성전자(사업지원TF), 삼성생명(금융경쟁력제고TF), 삼성물산(EPC경쟁력강화TF) 등 3개사가 각각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계열사들을 관리하고 있다.
이 TF 체제 출범으로 삼성은 계열사별 자율경영을 통한 권한과 책임 조율이 가능했다. 하지만 TF가 과거 미래전략실처럼 강한 실행력이 있는 조직이 아니기 때문에 삼성 전체를 이끌 큰 그림을 그리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가 많았다.
특히 주력 계열사인 삼성전자가 반도체 사업 부진으로 큰 위기에 봉착하자, 경기 침체 속에서 꾸준한 현금창출이 가능한 미래 먹거리를 찾아야 한다는 지적이 안팎에서 제기된다. 콘트롤타워가 부활한다면 이처럼 대형 M&A(인수합병) 또는 대규모 시설투자 등 삼성의 미래 준비에도 가속도가 붙을 수 있다.
그러나 우려의 목소리는 여전히 제기된다. 콘트롤타워가 생기면 권한은 막강한데, 주주 승인 등 별다른 통제 수단이 없어 책임은 지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대표적이다.
삼성이 콘트롤타워를 부활할 경우 과도한 지배력 분산과 권한 및 책임 일치, 준법 경영 등을 통해 주주 설득이 선행되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이 회장의 사내이사 복귀 문제도 실현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 회장은 현재 삼성전자의 비등기이사이기 때문에 이사회에 참여하지 않고, 회사 경영 및 권리 행사에서 법적인 권리와 의무가 없다. 일부에선 이런 이 회장의 권한과 책임을 일치시키기 위해 이 회장이 이사회 일원으로서 활동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만일 콘트롤타워가 마련된다면 삼성의 지배구조 개편에도 어떤 역할을 할지 주목된다.
삼성전자는 '오너가→삼성물산→삼성생명→삼성전자'로 소유 구조가 이어지는데, 이재용 회장에서 삼성전자로 이어지는 연결 고리는 상대적으로 약하다는 평이다.
정치권을 중심으로 '금산분리' 원칙에 따라 삼성생명이 보유한 삼성전자 지분을 매각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오는 가운데, 아직 삼성 지배구조는 뾰족한 해법이 없는 상황이다.
콘트롤타워가 부활한다면 삼성 인사 구도에도 대변화가 나올 수 있다.
지난해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은 취임 첫 사장단 인사를 통해 성과주의를 기반으로 연공 서열이나 성별에 구애 받지 않고 새로운 지휘부를 발탁했다. 특히 사장 이상의 승진 폭이 최근 5년 새 가장 컸고, 여성 사장도 배출했다. 삼성 안팎에선 당시 인사에 대해 300조원 이상 사상 최대 매출 달성에 따른 보상으로 해석한다.
반면 올해는 이와 상황이 전혀 다르다. 삼성전자의 실적 부진이 연말까지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삼성은 올해는 승진 인사를 최대한 자제할 것으로 보인다. 결국 또다시 삼성 콘트롤타워 부활이 그룹 인사의 최대 변수가 될 것이라는 관측은 흔들림이 없다.
◎공감언론 뉴시스 ijoinon@newsis.com
최근 삼성전자를 비롯한 주요 계열사의 실적에 경고음이 켜지며 곳곳에서 "삼성처럼 큰 조직에 콘트롤타워가 없으니 효율성과 통일성 측면에서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다"는 주장에 무게가 실린다.
만약 삼성 콘트롤타워가 부활한다면, 삼성 계열사간 사업 협력과 중복 사업 조정 같은 비효율 제거에 긍정적이라는 목소리가 들린다. 단 과거 삼성 '미래전략실'처럼 콘트롤타워가 총수 일가의 지배력 강화에 이용되는 일이 없도록 견제 장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3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은 공식적으로 '그룹'이라는 명칭을 쓰지 않고 계열사 자율경영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그룹 콘트롤타워 역할을 하던 옛 '미래전략실'은 2017년 2월 해체됐다.
이후 삼성전자(사업지원TF), 삼성생명(금융경쟁력제고TF), 삼성물산(EPC경쟁력강화TF) 등 3개사가 각각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계열사들을 관리하고 있다.
이 TF 체제 출범으로 삼성은 계열사별 자율경영을 통한 권한과 책임 조율이 가능했다. 하지만 TF가 과거 미래전략실처럼 강한 실행력이 있는 조직이 아니기 때문에 삼성 전체를 이끌 큰 그림을 그리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가 많았다.
특히 주력 계열사인 삼성전자가 반도체 사업 부진으로 큰 위기에 봉착하자, 경기 침체 속에서 꾸준한 현금창출이 가능한 미래 먹거리를 찾아야 한다는 지적이 안팎에서 제기된다. 콘트롤타워가 부활한다면 이처럼 대형 M&A(인수합병) 또는 대규모 시설투자 등 삼성의 미래 준비에도 가속도가 붙을 수 있다.
그러나 우려의 목소리는 여전히 제기된다. 콘트롤타워가 생기면 권한은 막강한데, 주주 승인 등 별다른 통제 수단이 없어 책임은 지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대표적이다.
삼성이 콘트롤타워를 부활할 경우 과도한 지배력 분산과 권한 및 책임 일치, 준법 경영 등을 통해 주주 설득이 선행되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이 회장의 사내이사 복귀 문제도 실현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 회장은 현재 삼성전자의 비등기이사이기 때문에 이사회에 참여하지 않고, 회사 경영 및 권리 행사에서 법적인 권리와 의무가 없다. 일부에선 이런 이 회장의 권한과 책임을 일치시키기 위해 이 회장이 이사회 일원으로서 활동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콘트롤타워 부활…지배구조 개편도 속도 낼 듯
삼성전자는 '오너가→삼성물산→삼성생명→삼성전자'로 소유 구조가 이어지는데, 이재용 회장에서 삼성전자로 이어지는 연결 고리는 상대적으로 약하다는 평이다.
정치권을 중심으로 '금산분리' 원칙에 따라 삼성생명이 보유한 삼성전자 지분을 매각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오는 가운데, 아직 삼성 지배구조는 뾰족한 해법이 없는 상황이다.
콘트롤타워가 부활한다면 삼성 인사 구도에도 대변화가 나올 수 있다.
이시간 핫뉴스
지난해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은 취임 첫 사장단 인사를 통해 성과주의를 기반으로 연공 서열이나 성별에 구애 받지 않고 새로운 지휘부를 발탁했다. 특히 사장 이상의 승진 폭이 최근 5년 새 가장 컸고, 여성 사장도 배출했다. 삼성 안팎에선 당시 인사에 대해 300조원 이상 사상 최대 매출 달성에 따른 보상으로 해석한다.
반면 올해는 이와 상황이 전혀 다르다. 삼성전자의 실적 부진이 연말까지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삼성은 올해는 승진 인사를 최대한 자제할 것으로 보인다. 결국 또다시 삼성 콘트롤타워 부활이 그룹 인사의 최대 변수가 될 것이라는 관측은 흔들림이 없다.
◎공감언론 뉴시스 ijoinon@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