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핵화 논의한 4년 전과 다를 전망
미국 비난하며 군사협력 명분 만들 듯
"해상연합훈련, 어떤 형태로든 등장"
[서울=뉴시스] 남빛나라 기자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조만간 마주 앉을 것으로 관측된다. 두 정상은 한반도 비핵화 문제를 집중 논의했던 4년 전과 달리 상호 군사협력을 최우선 의제로 다룰 전망이다.
11일 북한과 러시아는 정상회담에 대해 함구하고 있어 개최 여부, 개최 시 일자 및 장소 등 모든 것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하지만 미국 정부가 이례적으로 정상회담 개최 관련 보도를 사실상 확인해줬고, 현지에서 보안 움직임 강화 등 정상회담을 준비 중인 정황이 외신에 속속 포착되고 있다.
예상대로 10~13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리는 동방경제포럼(EEF)을 기점으로 북러 정상회담이 개최된다면 2019년 4월25일 이후 4년여 만이다.
4년 전 정상회담에서 양측은 북한이 원하는 '단계적·동시적' 비핵화와 관련한 공감대를 재확인했다.
회담 두달 전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결렬이란 굴욕을 맛 본 김 위원장으로선 푸틴 대통령 입에서 '북한 체제 보장'을 끌어내는 게 중요했다. 당시 푸틴 대통령은 회담 후 기자회견에서 북한에 안전보장을 제공해야 한다고 말하며 화답해줬다. 북미 대화 노력을 지지하는 입장도 밝혔다.
이젠 상황이 달라졌다. 동진해오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확장에 맞서기 위해 지난해 2월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는 전쟁이 길어지면서 재래식 무기 부족으로 허덕이고 있다.
북한은 올해 2차례나 군사정찰위성 발사에 실패했다. 김 위원장이 6일 공언한 핵추진잠수함 건조 계획은 북한 자력으로는 실현이 무리라는 게 중론이다.
국제사회는 북한이 우크라이나 전쟁 투입용 포탄, 대전차 미사일을 제공하면 러시아가 군사정찰위성, 핵추진잠수함 등과 관련한 첨단기술을 넘기는 구도를 그리고 있다.
이에 따라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은 세계 질서가 불안정해진 원인을 미국으로 돌리면서 이를 군사협력 명분으로 삼을 것으로 관측된다. 북한은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부 장관의 7월 방북을 기점으로 두 나라 간 '전략전술적 협동과 협조'를 강조함으로써 반미 연합전선을 펼치기 위한 군사협력 의지를 드러내 왔다. 이런 의지가 포괄적인 메시지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정상들의 입에서 세부적인 이야기가 나올진 알 수 없지만 향후 이어질 후속·실무 협상에서 구체적인 논의가 진전될 것으로 점쳐진다.
북러 해상연합훈련이 논의될 가능성도 있다. 김 위원장은 최근 해군 현대화를 역설한 바 있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서로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단 사실을 외부적으로 과시하는 게 양측 모두의 이해관계에 맞는 시점"이라며 "북러 간 해상연합훈련에 관련된 것들이 어떤 용어로 등장할진 예측하기 어렵지만 직접 거론되거나 최소한 암시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외 북한의 고질적인 석유, 가스 등 에너지와 식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원이 의제로 오를 수 있다.
일각에선 북한 의용군의 러시아 파견설을 제기하고 있다. 다만 이는 사실상 대규모 파병으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에 현실화 할 지 미지수다. 파병은 국제적 사안으로,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담 이후 한미일 공조가 강화된 상황과 더불어 우크라이나전 책임론에서 자유로울 수 없단 점에서 정치적 부담이 크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