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43주년] <상> 갈라선 5·18 광주…어떻게 벌어졌나

기사등록 2023/05/11 06:00:00

특전사회 등장으로 살얼음판 '대동세상'

저마다 주인의식 주장하며 갈등 3개월째

"공동선언 폐기"vs"성과 기대 초기 단계"

[광주=뉴시스] 김혜인 기자 = '5·18민주화운동 포용과 화해와 감사 대국민 공동선언식'이 열린 19일 오전 광주 서구 치평동 5·18기념문화센터 대동홀에서 선언 조인식이 열리고 있다. 왼쪽부터 최익봉 특전사동지회 총재, 황일봉 부상자회장, 정성국 공로자회장, 전상부 특전사동지회장. 2023.02.19. hyein0342@newsis.com
[광주=뉴시스] 김혜인 기자 = '5·18민주화운동 포용과 화해와 감사 대국민 공동선언식'이 열린 19일 오전 광주 서구 치평동 5·18기념문화센터 대동홀에서 선언 조인식이 열리고 있다. 왼쪽부터 최익봉 특전사동지회 총재, 황일봉 부상자회장, 정성국 공로자회장, 전상부 특전사동지회장. 2023.02.19. [email protected]
  
5·18 학살 현장에 투입된 계엄군(특전사)들이 43년 만에 '화해와 용서'를 들고 광주에 나타나면서 지역사회가 분열의 강을 건너고 있다. 이들을 불러들인 주체가 5·18 당시 피해를 입은 당사자들인 탓에 혼란은 더욱 크다. 무르익지 않은 사과 분위기와 진정성에 대한 의구심은 5·18을 코앞에 둔 현재까지 반목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훗날 역사에 기록될 5월을 맞아 갈등에 휩싸인 5·18 광주를 진단하고 나아갈 방향을 2차례에 걸쳐 제시한다.<편집자주>

[광주=뉴시스]이영주 기자 = 5·18 당시 신군부 세력의 헌정질서 파괴 범죄에 동원된 특전사들이 43년 만에 광주를 다시 찾으면서 지역 사회가 소용돌이치고 있다. 용서와 화해를 명분으로 광주를 찾은 이들의 경위가 갑작스럽고 동기가 매끄럽지 않은 탓에 불거진 갈등이 현재진행형이다.

11일 5·18단체와 시민단체 등에 따르면 지난 2월 19일 열린 5·18부상자회와 공로자회, (사)대한민국 특전사동지회의 '포용과 화해와 감사 대국민 공동선언' 이후 광주지역 사회가 반목을 거듭하고 있다.

5·18 당시 광주에 투입된 계엄군도 국가폭력의 피해자라고 주장하며 화해와 용서를 주도하겠다는 5·18 일부 단체와, 이들의 행보가 자칫 사과하지 않은 모든 계엄군에 면죄부를 줄 수 있다고 우려하는 시민 단체 사이의 대립 때문이다.

5·18 단체와 특전사회의 만남은 지난 1월 7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지역 한 국회의원의 소개로 부상자회 등과 일부 특전사회원들이 만나게 되면서 43년 동안 단절됐던 가교가 놓였다.

이를 시작으로 같은달 11일 특전사회가 부상자회 등에 감귤을 보내 화답한데 이어, 부상자회 등이 17일 서울 동작구 현충원을 찾아 '화해와 용서'를 바탕으로 정식 참배해 관계가 돈독해졌다.

이후 부상자회 등은 2월 19일 '포용과 화해와 감사 대국민 공동선언식'을 열어 특전사회와의 연대를 공식화했다. 당시 이들은 '5·18 피해 당사자와 계엄군 양측 모두가 불가피한 상황이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향후 행동강령으로 ▲5월 정신 상호 계승 협력 ▲국민 대통합 구현 ▲계엄군에 대한 용서와 화해·관련 법적 지원 ▲친선 교류 ▲국립5·18민주묘지, 국립현충원 참배 정례화를 선언했다. 행사에 앞서서는 지역 사회 여론을 의식한 듯 특전사회와 남몰래 민주묘지를 참배해 비판을 받았다.

황일봉 부상자회장은 "5·18 당시 투입된 계엄군들은 국가 명령을 수행한 가해자이면서 피해자이기도 하다"며 "5·18 당사자들이 계엄군을 대신한 특전사동지회와 허심탄회하게 만나 아픈 상처를 보듬어 진상규명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광주=뉴시스] 이영주 기자 = 광주 113개 시민 사회 단체가 19일 오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 민주의 문 앞에서 '오월 정신 지키기 범시민대회'를 열고 있다. 2023.02.19. leeyj2578@newsis.com
[광주=뉴시스] 이영주 기자 = 광주 113개 시민 사회 단체가 19일 오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 민주의 문 앞에서 '오월 정신 지키기 범시민대회'를 열고 있다. 2023.02.19. [email protected]


지역 사회는 부상자회 등이 대국민 공동선언식 행사를 예고하면서부터 즉각 반발에 나섰다. 지역 사회 숙의 없이 이뤄지는 행사인 데다 사과하지 않은 계엄군에 면죄부를 줄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이 과정에서 당초 대국민 공동선언식 행사에 함께하기로 했던 5·18유족회는 특전사회의 진상규명 약속 등이 보장되지 않았다며 참여 뜻을 철회하기도 했다. 그런데도 부상자회 등이 강행을 예고하자 시민 단체는 행사 당일 몸싸움까지 벌이며 개최를 막아섰다.

시민 단체들은 해당 행사를 '야합과 정치적 쇼'로 규정, 본격적인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190여 개 광주·전남 시민 단체는 2월 21일 대응 방안을 위한 협의체 구성에 뜻을 모아 이틀 뒤 오월정신 지키기 범시도민 대책위원회(대책위)를 공식 출범했다.

대책위는 특전사회가 진정한 사죄와 양심 고백 없이 '화합·화해를 자처'하며 군복을 입고 몰래 민주묘지를 기습 참배한 점, 권력 찬탈을 위한 시민 학살에 가담해 놓고 스스로를 피해자로 규정한 점 등으로 혼란·갈등을 키운 만큼 사죄를 먼저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대책위는 "5·18 단체와 특전사회가 발표한 대국민 선언문은 역사 왜곡 시도와 불의한 야합의 결과"라며 "집행부의 사과와 선언문 폐기가 동반돼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대국민 공동선언식' 행사 개최 전반과 이후 갈등 과정에서 두드러진 것은 5·18의 주인의식이다. 부상자회 등은 자신들이 '5·18 피해 직접 당사자'라며 진상규명 등 문제 해결의 주도권을 갖고 있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주인의식으로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부상자회 등은 자체 문제 해결을 강조하며 5·18 당시 투입된 계엄군을 공개석상에 올려 2차례 증언회를 열었으나 이렇다 할 새로운 사실을 캐내지 못했다.

대책위는 5월 정신을 대표하는 '대동세상' 구현을 위해 5·18이 특정 단체에 귀속돼선 안된다고 강조한다. 예로부터 함께 치러온 민간 중심 5·18기념행사의 모태가 '1980년 당시 하나 됐던 광주'라는 것을 감안했을 때 부상자회 등의 행동은 일탈이라는 것이다.

대책위의 의견을 받들어 올해 5·18민중항쟁 기념행사위원회는 부상자회 등을 행사 참여 단체에서 제명하기도 했다.

대책위 관계자는 "5월 단체와 특전사회는 서로의 정치적 이유를 목적으로 야합했다. 공동선언문 내용도 사죄와 광주의 미래보다 특전사와의 교류, 복지에 초점이 맞춰졌다"며 "선언문 폐기와 지역 사회를 향한 진정한 사죄가 동반되지 않을 경우 비판 입장을 무를 수 없다"고 했다.

이에 부상자회 관계자는 "특전사로부터 사죄받은 5·18 당사자들이 미진한 진상규명에 나서겠다는 뜻"이라며 "진상규명에 속도를 내지 못하는 것은 특전사회와의 공동조사가 초기단계이기 때문이다. 1년여 기간을 두고 보면 분명히 성과가 날 것"이라고 했다.

[광주=뉴시스] 이영주 기자 = 황일봉 5·18민주화운동부상자회장(사진 왼쪽)과 정성국 5·18민주화운동공로자회장이 23일 오전 광주 서구 5·18기념문화센터 내 부상자회 사무실에서 입장문을 낭독하고 있다. 2023.02.23. leeyj2578@newsis.com
[광주=뉴시스] 이영주 기자 = 황일봉 5·18민주화운동부상자회장(사진 왼쪽)과 정성국 5·18민주화운동공로자회장이 23일 오전 광주 서구 5·18기념문화센터 내 부상자회 사무실에서 입장문을 낭독하고 있다. 2023.02.23. [email protected]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5·18 43주년] <상> 갈라선 5·18 광주…어떻게 벌어졌나

기사등록 2023/05/11 06:00:00 최초수정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