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악재에 여당 지지율, 민주당에 오차범위 밖 격차
주69시간제 국민 눈높이 맞추지 못한 점 인정…보완
굴욕 외교 논란에 상임위 등 통해 야당에 정면대결도
[서울=뉴시스] 정윤아 기자 = 여당인 국민의힘이 주69시간제와 한일정상회담 논란과 관련, 악화된 여론을 수습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22일 종합결과, 국민의힘은 주 최대 69시간 근로시간 개편안 및 한일 정상회담으로 인한 여론 악화에 휩싸였다. 당 지지율이 2주 연속 하락해 더불어민주당과의 격차가 오차범위 밖으로 벌어졌다.
국민의힘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여론의 반발을 수습하고 나섰다.
주 69시간제에 논란에 대해선 김기현 당대표와 주호영 원내대표는 주 69시간 취지를 각종 회의에서 설명하며 국민의 이해를 구하고 있다.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지난 15일 주 최대 69시간 근로시간 개편안에 관해 "사업 성격이나 규모, 하는 일의 종류에 따라 탄력성 없이 획일적으로 주 52시간으로 묶는 게 때로는 산업 현장에 맞지 않다는 현장 목소리들이 있다"면서도 "그렇다 하더라도 주 69시간은 너무 과도한 시간이라고 보여진다"고 밝혔다. 정책이 국민 눈높이에 맞추지 못했다는 점을 인정한 것이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마치 그게 52시간에서 69시간으로 늘리는 거로 알려져 있고, 개편의 장점이 제대로 안 알려져 있어서 좀더 진지하게 국민들에게 알리고 (여론을) 수렴하는 과정을 거칠 것"이라고 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간사인 임이자 의원은 17일 근로시간 유연화에 부정적인 'MZ노조' 등을 초청해 '근로시간 제도 개편 방향 토론회'를 개최했다.
노동전문가 출신인 임 의원은 MZ노조의 비판이 쏟아지자 "노동계에서 하는 얘기들을 잘 경청해 보완책을 만들어나가겠다"고 약속했다.
임이자 의원은 라디오에 출연해 개편안의 취지가 노동 환경의 개선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근로시간 산정 방식과 현장 적용이 매우 복잡해 취지가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고 노동계 등의 반발로 인해 '주 최대 69시간'만 돌출됐다는 것이다.
국민의힘 경제안정특별위원회도 지난 18일 날 '노동시장 이중구조 현황과 해소방안' 토론회를 개최했다.
주69시간 논란을 딛고 근본적인 노동시장 구조 개선을 추진하겠다는 취지다.
류성걸 특위위원장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원청기업과 하청기업간 이중구조를 거론하면서 "근본적이고 종합적인 대안이 제시돼야 한다"고 의지를 드러냈다.
국민의힘은 21일 열린 환노위 전체회의에서도 더불어민주당의 질타를 받아냈다.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은 이날 전체회의에서 주 최대 69시간 근로시간 개편안에 대해 고용노동부와 윤석열 대통령, 대통령실의 메시지 혼선을 집중적으로 질타했다.
정부가 자신하는 휴게시간 보장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개편안 백지화와 이정식 노동장관의 사과도 요구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주 69시간제 근로시간 개편이 불가피하다며 야당의 협조를 촉구했다.
앞서 고용부는 지난 6일 주 최대 12시간으로 정해진 연장근로 시간을 통합해 운영할 수 있는 개편 방안을 확정했는데, 근로자는 주 최대 69시간까지 일할 수 있게 된다.
비슷한 시기 정부의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제3자 변제 방침과 뒤이어 한일정상회담에 대한 더불어민주당의 '굴욕외교' 비판에 국민의힘은 각종 논평과 상임위 공방을 통해 맞서고 있다.
국민의힘은 일본 도쿄에서 열린 한일정상회담에 대해 높게 평가했다. 그러면서 한일정상회담을 비판하는 더불어민주당을 향해 "DJ가 하면 국익이고 윤석열 대통령이 하면 외교참사냐"고 비난했다.
일부 지역구 의원들은 지역구민들의 반발을 일대일로 만나 수습하고 있다.
국민의힘이 주69시간제와 한일외교 논란을 수습하기 위해 전방위적으로 나선 이유는 당장 발등에 떨어진 지지율 하락 때문이다.
총선을 1년 앞둔 시점에서 정부 정책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높다는 것은 위험신호다.
당장 여론이 출렁였다. 전국지표조사(NBS)가 지난 13~15일 조사한 결과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전주 대비 2%포인트 떨어진 35%를 기록했다.
한국갤럽에서 69시간제에 대해 지난 14~16일 조사한 결과 주 60시간제에 대해 반대 56%, 찬성 36%로 나와 반대가 20%포인트 높게 나왔다.
한국갤럽이 지난 8~9일 조사한 결과, 일제 강제 동원 피해 제3자 변제와 관련해 응답자의 59%는 '일본의 사과와 배상이 없어 반대한다'고 답했다. '한일관계와 국익을 위해 찬성한다'는 답은 35%에 그쳤다. 반대 의견이 찬성보다 24%포인트나 많았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22일 종합결과, 국민의힘은 주 최대 69시간 근로시간 개편안 및 한일 정상회담으로 인한 여론 악화에 휩싸였다. 당 지지율이 2주 연속 하락해 더불어민주당과의 격차가 오차범위 밖으로 벌어졌다.
국민의힘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여론의 반발을 수습하고 나섰다.
주 69시간제에 논란에 대해선 김기현 당대표와 주호영 원내대표는 주 69시간 취지를 각종 회의에서 설명하며 국민의 이해를 구하고 있다.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지난 15일 주 최대 69시간 근로시간 개편안에 관해 "사업 성격이나 규모, 하는 일의 종류에 따라 탄력성 없이 획일적으로 주 52시간으로 묶는 게 때로는 산업 현장에 맞지 않다는 현장 목소리들이 있다"면서도 "그렇다 하더라도 주 69시간은 너무 과도한 시간이라고 보여진다"고 밝혔다. 정책이 국민 눈높이에 맞추지 못했다는 점을 인정한 것이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마치 그게 52시간에서 69시간으로 늘리는 거로 알려져 있고, 개편의 장점이 제대로 안 알려져 있어서 좀더 진지하게 국민들에게 알리고 (여론을) 수렴하는 과정을 거칠 것"이라고 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간사인 임이자 의원은 17일 근로시간 유연화에 부정적인 'MZ노조' 등을 초청해 '근로시간 제도 개편 방향 토론회'를 개최했다.
노동전문가 출신인 임 의원은 MZ노조의 비판이 쏟아지자 "노동계에서 하는 얘기들을 잘 경청해 보완책을 만들어나가겠다"고 약속했다.
임이자 의원은 라디오에 출연해 개편안의 취지가 노동 환경의 개선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근로시간 산정 방식과 현장 적용이 매우 복잡해 취지가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고 노동계 등의 반발로 인해 '주 최대 69시간'만 돌출됐다는 것이다.
국민의힘 경제안정특별위원회도 지난 18일 날 '노동시장 이중구조 현황과 해소방안' 토론회를 개최했다.
주69시간 논란을 딛고 근본적인 노동시장 구조 개선을 추진하겠다는 취지다.
류성걸 특위위원장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원청기업과 하청기업간 이중구조를 거론하면서 "근본적이고 종합적인 대안이 제시돼야 한다"고 의지를 드러냈다.
국민의힘은 21일 열린 환노위 전체회의에서도 더불어민주당의 질타를 받아냈다.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은 이날 전체회의에서 주 최대 69시간 근로시간 개편안에 대해 고용노동부와 윤석열 대통령, 대통령실의 메시지 혼선을 집중적으로 질타했다.
정부가 자신하는 휴게시간 보장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개편안 백지화와 이정식 노동장관의 사과도 요구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주 69시간제 근로시간 개편이 불가피하다며 야당의 협조를 촉구했다.
앞서 고용부는 지난 6일 주 최대 12시간으로 정해진 연장근로 시간을 통합해 운영할 수 있는 개편 방안을 확정했는데, 근로자는 주 최대 69시간까지 일할 수 있게 된다.
비슷한 시기 정부의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제3자 변제 방침과 뒤이어 한일정상회담에 대한 더불어민주당의 '굴욕외교' 비판에 국민의힘은 각종 논평과 상임위 공방을 통해 맞서고 있다.
국민의힘은 일본 도쿄에서 열린 한일정상회담에 대해 높게 평가했다. 그러면서 한일정상회담을 비판하는 더불어민주당을 향해 "DJ가 하면 국익이고 윤석열 대통령이 하면 외교참사냐"고 비난했다.
일부 지역구 의원들은 지역구민들의 반발을 일대일로 만나 수습하고 있다.
국민의힘이 주69시간제와 한일외교 논란을 수습하기 위해 전방위적으로 나선 이유는 당장 발등에 떨어진 지지율 하락 때문이다.
총선을 1년 앞둔 시점에서 정부 정책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높다는 것은 위험신호다.
당장 여론이 출렁였다. 전국지표조사(NBS)가 지난 13~15일 조사한 결과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전주 대비 2%포인트 떨어진 35%를 기록했다.
한국갤럽에서 69시간제에 대해 지난 14~16일 조사한 결과 주 60시간제에 대해 반대 56%, 찬성 36%로 나와 반대가 20%포인트 높게 나왔다.
한국갤럽이 지난 8~9일 조사한 결과, 일제 강제 동원 피해 제3자 변제와 관련해 응답자의 59%는 '일본의 사과와 배상이 없어 반대한다'고 답했다. '한일관계와 국익을 위해 찬성한다'는 답은 35%에 그쳤다. 반대 의견이 찬성보다 24%포인트나 많았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