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시진핑, 푸틴과 협력 감추려 '피스메이커' 가장"
[워싱턴=뉴시스]김난영 특파원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러시아 방문 및 중·러 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국 정계에서 경계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중국의 우크라이나 '평화 중재' 역할에 회의적 시각이 나온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19일(현지시간)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2차대전 이후 미국과 많은 동맹·파트너가 구축한 규칙에 기반한 질서에 혼란을 주려는 게 중국과 러시아의 국가안보 전략"이라고 지적했다.
시 주석은 20일부터 22일까지 2박3일간 러시아를 국빈 방문하며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다. 3연임 확정 이후 첫 공식 외교 일정으로, 지난해 2월 양국 간 '한계 없는 파트너십'을 공언한 이후 1년1개월가 지난 시점이다.
중국 외교부는 이번 시 주석의 러시아 방문을 '평화의 여정'이라고 표현하며 우크라이나 전쟁 해결에 건설적 역할을 하리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미국을 비롯한 서방은 그간 중국이 러시아를 지원할 가능성을 경계해 왔다.
일단 중국과 러시아 모두 기존의 국제 질서를 좋아하지 않는다는 게 커비 조정관의 지적이다. 커비 조정관은 "그들은 세계적으로 게임의 규칙을 다시 쓰고자 한다"라며 "그들은 서로의 관계와 협력을 강화해 왔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중국은 푸틴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하지 않았다"라고 지적한 뒤 "중국은 러시아의 석유와 에너지 자원을 여전히 구매한다"라고 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서방의 잘못이라는 데에도 중국이 동의한다는 설명이다.
커비 조정관은 아울러 시 주석과 푸틴 대통령 회담과 관련, "일종의 휴전 촉구가 나오더라도 받아들일 수 없을 것"이라며 "(양국 회담에서 나오는 휴전은) 지금까지 러시아의 점령을 재가하자는 내용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 모든 것이 푸틴에게 시간을 더 주려는 것"이라며 "우리는 시 주석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통화해 대화하기를 바란다. 중국은 우크라이나의 관점도 들어봐야 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 시절 허버트 맥매스터 전 국가안보보좌관도 이날 CBS '페이스 더 네이션' 인터뷰에서 "거의 10년 전 시진핑은 모스크바를 처음 방문했고, (양국 간) 특별한 우정을 선언했다"라고 지적했다.
맥매스터 전 보좌관은 이어 "그때 이후 그들(시진핑·푸틴)은 계속해서 관계를 증진해 왔다"라고 했다. 또 "지난해 베이징올림픽 직전, 2월24일 우크라이나 재침공 직전 그들은 한계가 없는 파트너십을 공언했다"라고도 되짚었다.
맥매스터 전 보좌관은 이와 함께 "그(시 주석)는 미국 정부와 탐사 언론이 '중국이 푸틴에게 무기와 탄약, 모든 다른 지원을 제공한다'라고 보고하는 시점에 모스크바를 방문한다"라며 중국의 경제적 지원도 거론했다.
또 "향후 며칠, 몇 주가 지날수록 중국이 (러시아를) 지원한다는 점점 더 많은 증거를 볼 것"이라며 "중국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인을 죽이는 일을 돕고 있다", "중국은 (러시아와의) 거래에 열려 있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맥매스터 전 보좌관은 이런 취지로 시 주석과 푸틴 대통령을 "세계 문명에 진정한 위협"으로 규정했다. 또 푸틴 대통령의 크름반도·마리우폴 방문 등 행보를 거론, "이는 시진핑이 푸틴을 방문하기 전날 밤에 이뤄졌다"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미국 언론 뉴욕타임스(NYT)는 이날 "중국 당국자들은 시 주석이 평화적 임무로 러시아를 방문한다고 말한다"라며 "하지만 미국과 유럽 당국자들은 시 주석이 푸틴 대통령에게 힘을 실어줄 목적이라고 본다"라고 분석했다.
NYT는 해당 기사에서 "미국 정보 당국은 (우크라이나) 전쟁 기간에 러시아가 많은 국가로부터 고립됐지만, 중국과의 관계는 깊어졌다고 결론을 내렸다"라며 "양국은 연합군사훈련을 계속한다"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중국은 러시아와 함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를 꾸준히 비난했다"라며 "중국은 여전히 침공 자금 마련에 도움이 되는 러시아 석유의 최대 구매자다. 중국 당국자들은 침공을 한 번도 비난하지 않았다"라고 덧붙였다.
NYT는 또 "일부 분석가들은 시 주석이 국제형사재판소(ICC)에 공식 기소된 푸틴과의 파트너십 강화 노력을 감추기 위해 러시아 방문 목적이 전쟁 종식이라고 주장하며 '피스메이커'라는 구실을 삼았다고 본다"라고도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19일(현지시간)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2차대전 이후 미국과 많은 동맹·파트너가 구축한 규칙에 기반한 질서에 혼란을 주려는 게 중국과 러시아의 국가안보 전략"이라고 지적했다.
시 주석은 20일부터 22일까지 2박3일간 러시아를 국빈 방문하며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다. 3연임 확정 이후 첫 공식 외교 일정으로, 지난해 2월 양국 간 '한계 없는 파트너십'을 공언한 이후 1년1개월가 지난 시점이다.
중국 외교부는 이번 시 주석의 러시아 방문을 '평화의 여정'이라고 표현하며 우크라이나 전쟁 해결에 건설적 역할을 하리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미국을 비롯한 서방은 그간 중국이 러시아를 지원할 가능성을 경계해 왔다.
일단 중국과 러시아 모두 기존의 국제 질서를 좋아하지 않는다는 게 커비 조정관의 지적이다. 커비 조정관은 "그들은 세계적으로 게임의 규칙을 다시 쓰고자 한다"라며 "그들은 서로의 관계와 협력을 강화해 왔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중국은 푸틴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하지 않았다"라고 지적한 뒤 "중국은 러시아의 석유와 에너지 자원을 여전히 구매한다"라고 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서방의 잘못이라는 데에도 중국이 동의한다는 설명이다.
커비 조정관은 아울러 시 주석과 푸틴 대통령 회담과 관련, "일종의 휴전 촉구가 나오더라도 받아들일 수 없을 것"이라며 "(양국 회담에서 나오는 휴전은) 지금까지 러시아의 점령을 재가하자는 내용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 모든 것이 푸틴에게 시간을 더 주려는 것"이라며 "우리는 시 주석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통화해 대화하기를 바란다. 중국은 우크라이나의 관점도 들어봐야 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 시절 허버트 맥매스터 전 국가안보보좌관도 이날 CBS '페이스 더 네이션' 인터뷰에서 "거의 10년 전 시진핑은 모스크바를 처음 방문했고, (양국 간) 특별한 우정을 선언했다"라고 지적했다.
맥매스터 전 보좌관은 이어 "그때 이후 그들(시진핑·푸틴)은 계속해서 관계를 증진해 왔다"라고 했다. 또 "지난해 베이징올림픽 직전, 2월24일 우크라이나 재침공 직전 그들은 한계가 없는 파트너십을 공언했다"라고도 되짚었다.
맥매스터 전 보좌관은 이와 함께 "그(시 주석)는 미국 정부와 탐사 언론이 '중국이 푸틴에게 무기와 탄약, 모든 다른 지원을 제공한다'라고 보고하는 시점에 모스크바를 방문한다"라며 중국의 경제적 지원도 거론했다.
또 "향후 며칠, 몇 주가 지날수록 중국이 (러시아를) 지원한다는 점점 더 많은 증거를 볼 것"이라며 "중국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인을 죽이는 일을 돕고 있다", "중국은 (러시아와의) 거래에 열려 있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맥매스터 전 보좌관은 이런 취지로 시 주석과 푸틴 대통령을 "세계 문명에 진정한 위협"으로 규정했다. 또 푸틴 대통령의 크름반도·마리우폴 방문 등 행보를 거론, "이는 시진핑이 푸틴을 방문하기 전날 밤에 이뤄졌다"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미국 언론 뉴욕타임스(NYT)는 이날 "중국 당국자들은 시 주석이 평화적 임무로 러시아를 방문한다고 말한다"라며 "하지만 미국과 유럽 당국자들은 시 주석이 푸틴 대통령에게 힘을 실어줄 목적이라고 본다"라고 분석했다.
NYT는 해당 기사에서 "미국 정보 당국은 (우크라이나) 전쟁 기간에 러시아가 많은 국가로부터 고립됐지만, 중국과의 관계는 깊어졌다고 결론을 내렸다"라며 "양국은 연합군사훈련을 계속한다"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중국은 러시아와 함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를 꾸준히 비난했다"라며 "중국은 여전히 침공 자금 마련에 도움이 되는 러시아 석유의 최대 구매자다. 중국 당국자들은 침공을 한 번도 비난하지 않았다"라고 덧붙였다.
NYT는 또 "일부 분석가들은 시 주석이 국제형사재판소(ICC)에 공식 기소된 푸틴과의 파트너십 강화 노력을 감추기 위해 러시아 방문 목적이 전쟁 종식이라고 주장하며 '피스메이커'라는 구실을 삼았다고 본다"라고도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