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익봉 특전사회 총재, 대국민 선언식 인삿말
"질서 유지에 학살 포함되나" 지역 사회 '부글부글'
[광주=뉴시스]이영주 기자 = 최익봉 (사)대한민국 특전사 동지회 총재가 5·18 민주화운동 일부 단체(부상자회·공로자회)와 함께 연 '포용과 화해 감사 대국민 공동 선언식' 행사에서 발언한 일부 내용이 논란이다.
5·18 당시 광주에 투입된 계엄군이 '질서 유지의 임무'를 맡았다고 발언, 광주 시민들을 상대로 벌인 학살 행위를 왜곡하고 숨겼다.
지역 사회는 '질서 유지에 양민 학살도 포함된 것이냐'며 즉각 사과를 촉구했다.
부상자회와 공로자회, 특전사회는 19일 오전 광주 서구 5·18기념문화센터에서 대국민 선언식 행사를 열었다.
행사에 참여한 각 단체장들은 저마다 인삿말을 통해 계엄군에 대한 포용과 화해, 대동 정신 재현을 강조했다.
그러나 최 총재가 '계엄군의 당시 광주 투입은 질서 유지 임무 차원'이라는 취지의 인삿말을 낭독하면서 논란이 불거졌다.
최 총재는 인삿말을 통해 "상관의 명에 따라 광주에 파견돼 질서 유지의 임무를 맡았던 군 선배들의 헌신에 경의를 표한다"며 "질서 회복의 임무를 수행한 특전사 선배들의 노고와 희생은 왜곡되거나 과소평가돼선 안된다"고 밝혔다.
상관의 명에 어쩔 수 없이 따랐다는 취지를 부연하는 과정이었지만 5·18 민주화운동을 질서 유지가 필요했던 상황으로 여겨온 일부 극우 보수 단체의 시각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일부 극우 보수 단체는 현재까지도 5·18민주화운동을 '폭동'으로 표현하면서 왜곡·폄훼하고 있다.
사전적 의미의 폭동은 '다수의 사람들이 특정한 권위, 재산, 사람에 대하여 폭력 행위를 일으켜 사회의 안녕과 질서를 어지럽게 하는 일을 의미한다'고 서술돼있다.
특전사회 총재가 5·18민주화운동을 질서 유지가 필요했던 폭동과 소요 사태로 바라보고 있다는 지적이다.
대국민 선언식 당시 이들이 약속한 내용과도 상반된다.
이들은 이날 진행된 대국민 선언식을 통해 5·18을 '광주·전남 시·도민이 민주주의의 본질과 정체성이 극한의 위기에 직면한 상황을 목도하고 분연히 일어나 항거한 민주화운동'이라고 정의했다.
지역 사회는 5월 단체와 특전사회 사이의 43년 동안 벌어진 시각 차이가 좁혀지지 않은 채 행사가 열렸다고 지적했다.
광주 시민에 자행된 학살 행위도 질서 유지 과정에 포함된 것이냐고도 반문했다.
류봉식 진보연대 상임대표는 "전두환 신군부 일당이 계엄군을 질서 유지 명목으로 광주에 보냈다고 하더라도 실제 이들이 벌인 행위는 군홧발과 곤봉으로 시민들을 살해한 행위"라며 "지금도 이를 질서 유지라고 표현한다는 것은 아직까지도 선배들이 저지른 범죄 행위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라고 규탄했다.
김순 광주전남추모연대 집행위원장도 "특전사 예비역들은 '질서 유지'라는 단어로 5·18을 바라보고 있는 시선을 극명하게 보여줬다"라며 "질서 유지라는 공적 임무에 시민 학살도 포함된 것인가. 질서 유지를 위해 왔다는 3·7·11공수가 광주에서 어떤 질서 유지를 했는지부터 분명하게 밝히고 즉각 사과하라"고 꼬집었다.
행사에 반대해온 한 부상자회 회원은 "단체 사이 5·18을 바라보는 입장 차이도 좁히지 못한채 졸속으로 열린 행사"라고 일축했다.
5·18 당시 광주에 투입된 계엄군이 '질서 유지의 임무'를 맡았다고 발언, 광주 시민들을 상대로 벌인 학살 행위를 왜곡하고 숨겼다.
지역 사회는 '질서 유지에 양민 학살도 포함된 것이냐'며 즉각 사과를 촉구했다.
부상자회와 공로자회, 특전사회는 19일 오전 광주 서구 5·18기념문화센터에서 대국민 선언식 행사를 열었다.
행사에 참여한 각 단체장들은 저마다 인삿말을 통해 계엄군에 대한 포용과 화해, 대동 정신 재현을 강조했다.
그러나 최 총재가 '계엄군의 당시 광주 투입은 질서 유지 임무 차원'이라는 취지의 인삿말을 낭독하면서 논란이 불거졌다.
최 총재는 인삿말을 통해 "상관의 명에 따라 광주에 파견돼 질서 유지의 임무를 맡았던 군 선배들의 헌신에 경의를 표한다"며 "질서 회복의 임무를 수행한 특전사 선배들의 노고와 희생은 왜곡되거나 과소평가돼선 안된다"고 밝혔다.
상관의 명에 어쩔 수 없이 따랐다는 취지를 부연하는 과정이었지만 5·18 민주화운동을 질서 유지가 필요했던 상황으로 여겨온 일부 극우 보수 단체의 시각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일부 극우 보수 단체는 현재까지도 5·18민주화운동을 '폭동'으로 표현하면서 왜곡·폄훼하고 있다.
사전적 의미의 폭동은 '다수의 사람들이 특정한 권위, 재산, 사람에 대하여 폭력 행위를 일으켜 사회의 안녕과 질서를 어지럽게 하는 일을 의미한다'고 서술돼있다.
특전사회 총재가 5·18민주화운동을 질서 유지가 필요했던 폭동과 소요 사태로 바라보고 있다는 지적이다.
대국민 선언식 당시 이들이 약속한 내용과도 상반된다.
이들은 이날 진행된 대국민 선언식을 통해 5·18을 '광주·전남 시·도민이 민주주의의 본질과 정체성이 극한의 위기에 직면한 상황을 목도하고 분연히 일어나 항거한 민주화운동'이라고 정의했다.
지역 사회는 5월 단체와 특전사회 사이의 43년 동안 벌어진 시각 차이가 좁혀지지 않은 채 행사가 열렸다고 지적했다.
광주 시민에 자행된 학살 행위도 질서 유지 과정에 포함된 것이냐고도 반문했다.
류봉식 진보연대 상임대표는 "전두환 신군부 일당이 계엄군을 질서 유지 명목으로 광주에 보냈다고 하더라도 실제 이들이 벌인 행위는 군홧발과 곤봉으로 시민들을 살해한 행위"라며 "지금도 이를 질서 유지라고 표현한다는 것은 아직까지도 선배들이 저지른 범죄 행위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라고 규탄했다.
김순 광주전남추모연대 집행위원장도 "특전사 예비역들은 '질서 유지'라는 단어로 5·18을 바라보고 있는 시선을 극명하게 보여줬다"라며 "질서 유지라는 공적 임무에 시민 학살도 포함된 것인가. 질서 유지를 위해 왔다는 3·7·11공수가 광주에서 어떤 질서 유지를 했는지부터 분명하게 밝히고 즉각 사과하라"고 꼬집었다.
행사에 반대해온 한 부상자회 회원은 "단체 사이 5·18을 바라보는 입장 차이도 좁히지 못한채 졸속으로 열린 행사"라고 일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