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9일 ‘개발사업시행승인 변경(안)’ 열람 공고
화훼 박물관·전시관 삭제 가족호텔 255실 추가
풋볼파크·자연정원·어트랙션 시설 등도 들어서
사업비 3121억 추산…오는 2025년 말까지 추진
![[제주=뉴시스] 제주롯데리조트 개발사업 토지이용 계획도. 왼쪽이 기존(기정)이고 오른쪽이 변경이다. 관광숙박시설과 전문휴양시설 부분이 늘었고 편의시설 부분이 줄었다. (사진=제주도 열람 공고 발췌) 2022.11.09. 73jmlee@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2/11/09/NISI20221109_0001125520_web.jpg?rnd=20221109153647)
[제주=뉴시스] 제주롯데리조트 개발사업 토지이용 계획도. 왼쪽이 기존(기정)이고 오른쪽이 변경이다. 관광숙박시설과 전문휴양시설 부분이 늘었고 편의시설 부분이 줄었다. (사진=제주도 열람 공고 발췌) 2022.11.09. 73jmlee@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제주=뉴시스] 이정민 기자 = 제주 서귀포시 색달동 일대를 중심으로 한 제주롯데리조트 개발사업이 종전 계획에서 화훼 부분이 빠지고 숙박시설이 추가되는 방향으로 변경 추진된다.
제주특별자치도는 9일 '제주롯데리조트 개발사업시행승인 변경(안) 열람 공고'를 시행했다. 사업면적은 유원지 41만2920㎡이고 시행자는 (주)호텔롯데이다. 사업계획의 주요 변경 사유는 산록도로 위쪽 2차 사업 중단에 따른 사업계획 재검토 및 세부시설 계획 변경이다.
전반적인 토지이용계획을 보면 관광숙박시설이 기존 8만3842㎡에서 11만5432㎡로 3만1590㎡ 늘었다. 반면 휴양·문화시설은 3만3036㎡, 공공편익시설은 3438㎡ 줄었다. 녹지시설은 18만9836㎡에서 19만4720㎡로 4884㎡ 늘어난다.
변경된 시설을 보면 숙박시설이 기존 휴양콘도 73실에 가족호텔 255실이 추가됐다. 휴양콘도 73실은 현재 운영 중이다.
또 휴양문화시설도 달라졌다. 종전 계획된 화훼박물관과 화훼전시관, 육묘장이 빠진 대신 풋볼파크, 자연정원을 비롯해 짚라인 및 포레스트 어드벤처 등 어트랙션이 들어선다. 지역농축산물 판매시설도 있다.
이에 따른 총 사업비는 2078억원에서 1043억원이 늘어난 3121억원으로 추산됐다. 지난 2005년부터 시작된 사업시행기간은 올해 말까지에서 오는 2025년 말까지로 3년 연장됐다.
제주특별자치도는 9일 '제주롯데리조트 개발사업시행승인 변경(안) 열람 공고'를 시행했다. 사업면적은 유원지 41만2920㎡이고 시행자는 (주)호텔롯데이다. 사업계획의 주요 변경 사유는 산록도로 위쪽 2차 사업 중단에 따른 사업계획 재검토 및 세부시설 계획 변경이다.
전반적인 토지이용계획을 보면 관광숙박시설이 기존 8만3842㎡에서 11만5432㎡로 3만1590㎡ 늘었다. 반면 휴양·문화시설은 3만3036㎡, 공공편익시설은 3438㎡ 줄었다. 녹지시설은 18만9836㎡에서 19만4720㎡로 4884㎡ 늘어난다.
변경된 시설을 보면 숙박시설이 기존 휴양콘도 73실에 가족호텔 255실이 추가됐다. 휴양콘도 73실은 현재 운영 중이다.
또 휴양문화시설도 달라졌다. 종전 계획된 화훼박물관과 화훼전시관, 육묘장이 빠진 대신 풋볼파크, 자연정원을 비롯해 짚라인 및 포레스트 어드벤처 등 어트랙션이 들어선다. 지역농축산물 판매시설도 있다.
이에 따른 총 사업비는 2078억원에서 1043억원이 늘어난 3121억원으로 추산됐다. 지난 2005년부터 시작된 사업시행기간은 올해 말까지에서 오는 2025년 말까지로 3년 연장됐다.

【제주=뉴시스】강정만 기자 = 제주롯데리조트주식회사(대표 김창권)가 롯데 리조트 1단계 사업으로 1300억원을 투자해 조성, 오는 30일 오픈하는 휴양콘도미니엄 73실 전경. 제주롯데리조트 사업은 기존 롯데호텔과 스카이힐 골프장 등과 연계한 사계절 체류형 관광단지를 조성할 목적으로, 2005년 6월 개발사업 승인 후 몇차례 설계변경을 거쳐 2009년 5월 착공, 1단계 사업인 휴양콘도미니엄이 완공됐다. photo@newsis.com
도 관계자는 이와 관련 "화훼를 주 내용으로 한 산록도로 위 쪽 2차 사업 대상지가 10여년 전 국공유지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서 중단됐다"며 "기존에 개발된 산록도로 아래 쪽 1차 사업 대상지에 숙박시설을 추가하는 내용 등으로 사업계획이 변경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미 개발된 1단계(1차) 사업 부지를 대상으로 해 추가 훼손도 없을 것"이라며 "유원지 기능을 최대한 살리면서 사업이 진행될 것으로 본다"고 부연했다.
한편 이날 공고된 변경(안)의 열람 및 의견 제출 기간은 오는 29일까지다.
◎공감언론 뉴시스 73jmlee@newsis.com
이시간 핫뉴스
이 관계자는 "이미 개발된 1단계(1차) 사업 부지를 대상으로 해 추가 훼손도 없을 것"이라며 "유원지 기능을 최대한 살리면서 사업이 진행될 것으로 본다"고 부연했다.
한편 이날 공고된 변경(안)의 열람 및 의견 제출 기간은 오는 29일까지다.
◎공감언론 뉴시스 73jmlee@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