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 총예산 1조817억, 운영비 6078억·시설비 4739억
운영비, 시설비 산출 시점 다르고 근거 자료도 상이
[광주=뉴시스] 송창헌 기자 = 2038 광주·대구 아시안게임(AG) 공동유치에 대한 찬반양론이 제기되는 가운데 총사업비 중 운영비와 시설비의 산출기준이 제각각이어서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25일 광주시에 따르면 광주전남연구원과 대구경북연구원이 공동수행한 ' '2038 하계아시안게임 광주·대구 공동유치 기반조사 및 경제 파급 효과 분석' 연구용역 결과, 2038년 아시안게임 총예산은 1조817억원으로 산출됐다.
이 중 운영비가 6078억원, 시설비가 4739억원에 이른다. 시설비는 다시 신·증축비 2831억원, 42개 경기장 개·보수비 1908억원을 나뉜다.
개최도시별로는 광주는 ▲운영비 3039억원 ▲신·증축비 1391억원 ▲개·보수비 859억원 대구는 ▲운영비 3039억원 ▲신·증축비 1440억원 ▲개·보수비 1049억원 등이다.
광주에서는 스포츠컴플렉스, 야구장, 사격장, 하키전용경기장 등 4개 시설은 신·증축, 염주체육관과 북구 국민체육센터, 여수 소호 요트경기장 등은 경기장 개·보수가 필요하고 여기에 훈련시설 21곳에 대한 개·보수도 필요할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농구, 배구, 배드민턴, 스쿼시의 경우 대부분 경기장 규격은 적합하나 좌석규모 또는 방송중계 공간 부재로 스포츠 컴플렉스 신설이 필요헐 것으로 조사됐다.
대구에서도 두류수영장의 경우 좌석만 1392석이 부족하고, 대덕승마장은 부대시설이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는 등 시설 미비로 인한 부적합 사례가 곳곳에서 확인된 가운데 실내체육관의 상당수 경기장이 좌석부족 현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용역보고서는 시설비 4739억원을 포함해 1조817억원의 비용이 최소한 필요할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 총사업비(결산 기준) 1조9158억원의 56.4%, 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 1조6768억원의 64.5%에 이르는 액수다.
그러나 이같은 비용 산출은 운영비의 경우 2038년 대회 개최시점을 기준으로 환산한 반면 시설비(건설비)는 용역이 진행된 2022년을 현재 시점으로 산출한 뒤 두 결과값을 합쳐 총예산으로 산출, 이를 최종 용역보고서에 명시했다.
산출근거도 운영비는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 운영비(5410억원)를, 시설 개·보수비는 2027년 충청권 하계유니버시아드 유치 타당성 조사 결과를 기준으로 각각 삼았다.
서로 다른 기준과 근거 탓에 총사업비가 자칫 '고무줄 예산'으로 인식될 수 있어 신뢰성 문제로 우려된다.
반면 일각에서는 광주시와 대구시가 대한체육회와 문화체육관광부, 기획재정부 심의와 사업비 협상에 대비해 시설비는 최소화시키고, 국비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운영비를 높이기 위한 일종의 '예산 전략'으로 보는 시각이 적잖다.
용역에 참여한 한 연구원은 "산출 기준과 근거를 통일되게 잡는 게 맞을 거 같긴 하지만 인천 아시안게임 당시 경기장 신축 등으로 빚이 눈덩이처럼 불어난 선례를 감안해 전략상, 또는 최근 국제스포츠 트렌드에 맞춰 시설비는 최소화한 측면이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용역 발주처인 광주시 관계자는 "산출 기준과 근거가 다른 부분에 대해선 연구진을 통해 파악 중"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