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신약 ‘플라스미드’ 연구하는 K바이오는 어디?

기사등록 2022/10/13 14:44:08

애스톤사이언스, 에스엘백시젠, 헬릭스미스 등 개발

진원생명과학, 이연제약 등은 위탁생산 사업 진행

left swipright swip
【서울=뉴시스】황재희 기자 = 국내 바이오텍들이 차세대 신약으로 꼽히는 유전자치료제에 사용되는 플라스미드 DNA 기반 치료제 연구개발·생산에 뛰어들고 있다.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애스톤사이언스, 에스엘백시젠, 헬릭스미스, 제넥신 등 바이오기업들은 플라스미드 DNA를 바탕으로 항암백신·치료제 등을 개발하고 있다.


플라스미드는 염색체 DNA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작은 고리형 DNA로, mRNA(메신저 리보핵산) 백신, DNA 백신, 유전자 가위, CAR-T(키메라항원수용체T), AAV(아데노 바이러스)치료제 등 생산에 쓰이는 원료물질이다.

세포·유전자치료제는 보통 미생물의 원형(플라스미드) DNA에 치료용 유전자를 끼워 넣은 형태다. 대장균 안에서 증식하는 플라스미드 DNA에 유전자를 끼워 넣어 배양한 뒤 플라스미드를 꺼내 유전자를 추출하는 형태다.

애스톤사이언스는 플라스미드 DNA를 기반으로 한 암 치료 백신 ‘AST-301’을 개발하고 있다. 암 치료 백신이란 이미 병력이 있는 암 환자의 재발 방지뿐 아니라 조기암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면역항암제 일종이다. 암세포가 갖는 종양특이항원을 환자 체내에 투여함으로써 생체 면역 체계를 활성화하는 기전으로, 기존 항암 치료제 대비 부작용이 매우 적어 성장 가능성이 높은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에스톤사이언스는 지난 8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AST-301 임상 2상 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 임상 1상에서는 HER2 발현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10년 이상 추적 관찰을 한 결과, AST-301의 안전성과 면역원성 및 생존률을 확인했다.

에스엘백시젠도 항암 DNA 치료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암 특이적 항원 유전자를 포함하는 플라스미드 DNA 백신의 최적화 기술과 T 세포 아주반트 기술 및 OrbiJector 약물 전달기술 등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 6월 전립선암 치료제인 ‘SL-T10’에 대한 임상1상 시험계획(IND)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다.

헬릭스미스는 플라스미드 DNA 치료제 ‘엔젠시스’를 개발하고 있다. 루게릭병으로 불리는 근위축성 측삭경화증(2상)과 당뇨병성 신경병증(3상), 샤르코마리투스병(1·2a상) 등을 적응증으로 연구 중이다.


진원생명과학과 이연제약 등은 플라스미드 DNA를 위탁 생산(CMO)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최근 코로나19 mRNA 백신을 비롯한 mRNA 기반 의약품이 주목받으면서 플라스미드DNA 수요가 전 세계적으로 늘고 있다.

진원생명과학은 자회사 VGXI를 통해 플라스미드 DNA CDMO 사업을 하고 있다. VGXI는 최근 미국 텍사스주 콘로시 데이슨 테크놀로지 파크(Deison Technology Park)에 신규공장 준공식을 개최했다.

진원생명과학 관계자는 “신규공장은 10ℓ(리터)에서 1500ℓ까지 총 3000ℓ를 초과하는 발효 용량 능력을 통해 대규모의 고품질 플라스미드 DNA 위탁개발생산 사업 수행이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이연제약은 충주 바이오 공장에서 플라스미드 DNA의 원료(DS)와 완제(DP)를 생산한다. 완제의 경우 플라스미드 DNA 원액을 주사제에 충전해 공급하는 형태다. 이연제약은 올해 4월 이노퓨틱스와 플라스미드 DNA 원료·완제 공급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한편 국내 대기업들도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 사업에 뛰어든 상태다.



차바이오텍은 세포·유전자치료제와 mRNA, 바이럴벡터, 플라스미드 DNA를 한 건물에서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CDMO 시설인 ‘CGB’를 설립키로 했으며, 삼성바이오로직스도 mRNA, 플라스미드 DNA, 세포·유전자 치료제 등을 모두 한 공장에서 생산할 수 있는 ‘멀티 모달’ 공장 신설을 고려하고 있다.

SK는 지난해 3월 프랑스 세포·유전자 치료제 CDMO 이포스케시(Yposkesi)를 인수하고, 올해 1월에는 미국 CGT CDMO인 CBM의 2대 주주로 올라섰다. CBM은 특히 세포·유전자 치료제의 핵심 원료인 플라스미드 DNA 디자인·생산부터 바이러스 벡터 생산, 세포주 생산, 세포 처리, 분석 시험 및 최종 완제품에 이르는 전 과정에 핵심 R&D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hjhee@newsis.com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차세대 신약 ‘플라스미드’ 연구하는 K바이오는 어디?

기사등록 2022/10/13 14:44:08 최초수정

많이 본 기사

newsis_c
newsis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