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강진아 기자 = 국립극단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공동 제작한 정진새 작·연출가의 신작 '극동 시베리아 순례길'이 다음달 초연한다.
오는 10월20일부터 23일까지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예술극장 극장1, 11월2일부터 27일까지 서울 국립극단 백성희장민호극장에서 올린다.
작·연출을 맡은 정진새는 2021년 백상예술대상 젊은연극상을 수상하며 한국 연극계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이번 공연에선 여행을 주제로 현실의 재구성을 통해 사회적 이슈를 톺아보는 그만의 시선을 보여준다. 2020년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스토리공모전과 희곡개발사업을 통해 개발된 희곡이다.
작품은 '2020년이 지난 이후'라는 시간적 배경을 지녔다. 소수의 등장인물과 많은 여백으로 간결하면서도 관객의 상상력을 기반으로 한다. 무대에 등장하는 인물은 오호츠크 해상 기후탐사선에 근무하는 기후연구원 AA(에이에이), BB(비비) 그리고 산티아고 순례길의 반대 방향인 극동 시베리아 방향으로 무한히 걷는 '그' 총 3명이다.
위성을 통해 '그'의 행로를 지켜보는 AA와 BB의 대화로 이뤄진다. 현실과 똑같이 짜인 온라인 게임 상에서 모두가 걸어가는 산티아고 순례길의 출발점에서 오호츠크해 방향을 향해 반대로 걷는 '그'는 전 세계인의 주목을 한 몸에 받는다. 저마다 그가 걷는 이유를 추측하고, 급기야 그 코스를 구현한 '시베리아 순례길'이 온라인 게임 상에 생겨난다. 현실과 가상이 뒤섞인 세계에서 그가 북동쪽으로 계속 걷는 이유가 마지막에 발견된다.
정진새 작·연출가는 "실재의 기반이 무너지는 기후위기와 온라인 시대에 인간은 무엇을 할 수 있을지, 그 좌절과 허망의 분위기를 그려 보았다. 점멸하는 세계를 감각하는 연극으로, 깜박임 속에서 두 연구원은 시시콜콜한 이야기를 이어간다. 마치 '고도를 기다리며'의 고고와 디디처럼, 지난 시대의 부조리극과 비슷한 풍경을 다시 한 번 재현하려 했다"고 의도를 전했다.
11월6일 서울 공연 종료 후에는 정진새 작·연출, 이은정, 정슬기 배우가 참여하는 예술가와의 대화가 마련돼 있다. 이 작품은 국립극단 영상화 사업의 일환으로 2023년 국립극단 '온라인 극장'을 통해서도 만날 수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오는 10월20일부터 23일까지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예술극장 극장1, 11월2일부터 27일까지 서울 국립극단 백성희장민호극장에서 올린다.
작·연출을 맡은 정진새는 2021년 백상예술대상 젊은연극상을 수상하며 한국 연극계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이번 공연에선 여행을 주제로 현실의 재구성을 통해 사회적 이슈를 톺아보는 그만의 시선을 보여준다. 2020년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스토리공모전과 희곡개발사업을 통해 개발된 희곡이다.
작품은 '2020년이 지난 이후'라는 시간적 배경을 지녔다. 소수의 등장인물과 많은 여백으로 간결하면서도 관객의 상상력을 기반으로 한다. 무대에 등장하는 인물은 오호츠크 해상 기후탐사선에 근무하는 기후연구원 AA(에이에이), BB(비비) 그리고 산티아고 순례길의 반대 방향인 극동 시베리아 방향으로 무한히 걷는 '그' 총 3명이다.
위성을 통해 '그'의 행로를 지켜보는 AA와 BB의 대화로 이뤄진다. 현실과 똑같이 짜인 온라인 게임 상에서 모두가 걸어가는 산티아고 순례길의 출발점에서 오호츠크해 방향을 향해 반대로 걷는 '그'는 전 세계인의 주목을 한 몸에 받는다. 저마다 그가 걷는 이유를 추측하고, 급기야 그 코스를 구현한 '시베리아 순례길'이 온라인 게임 상에 생겨난다. 현실과 가상이 뒤섞인 세계에서 그가 북동쪽으로 계속 걷는 이유가 마지막에 발견된다.
정진새 작·연출가는 "실재의 기반이 무너지는 기후위기와 온라인 시대에 인간은 무엇을 할 수 있을지, 그 좌절과 허망의 분위기를 그려 보았다. 점멸하는 세계를 감각하는 연극으로, 깜박임 속에서 두 연구원은 시시콜콜한 이야기를 이어간다. 마치 '고도를 기다리며'의 고고와 디디처럼, 지난 시대의 부조리극과 비슷한 풍경을 다시 한 번 재현하려 했다"고 의도를 전했다.
11월6일 서울 공연 종료 후에는 정진새 작·연출, 이은정, 정슬기 배우가 참여하는 예술가와의 대화가 마련돼 있다. 이 작품은 국립극단 영상화 사업의 일환으로 2023년 국립극단 '온라인 극장'을 통해서도 만날 수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