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신한 아이디어 가진 누구나 원하는 서비스 자유롭게 구현"
"티맥스 슈퍼앱, 기업·개인 통합한 노코딩 플랫폼으로 발전시켜 경쟁력 확보"
"마치 오피스 프로그램 사용하듯 간단하게 드래그앤드롭 방식으로 원하는 서비스 화면을 기획, 배치, 배포"

티맥스클라우드 공상휘 대표이사가 슈퍼위크 2022 기자간담회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사진=티맥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오동현 기자 = 티맥스가 누구나 쉽게 원하는 서비스를 개발해 사용할 수 있는 플랫폼 '슈퍼앱'을 연내 출시한다. 지난해 사모펀드 스카이레이크에 인수된 후 사명에서 '소프트'를 뗀 티맥스가 선보이는 야심 찬 사업이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앱) 개발을 위해 지난 12년간 5000억 원가량이 투입된 것으로 전해졌다.
티맥스는 6일 오전 서울 코엑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노코드 플랫폼 '슈퍼앱'의 출시 계획을 발표했다. '슈퍼앱'은 티맥스가 창립 후 25년간 축적한 데이터베이스(DB), 운영체제(OS), 오피스 등 소프트웨어(SW) 원천기술과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메타버스 등 새로운 혁신 기술을 총망라한 기술의 집약체라고 강조했다.
'노코드'란 별도의 코딩 없이 음성이나 클릭 등 직관적인 명령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술을 뜻한다. 티맥스의 노코드 플랫폼 '슈퍼앱'은 다양한 개별 서비스를 하나의 앱에서 통합 제공하는 단순한 방식을 넘어, 참신한 아이디어를 가진 누구나 원하는 서비스를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는 앱이자 플랫폼이다. 전문 개발자가 아닌, 코딩을 모르는 이용자도 스스로 앱을 개발할 수 있다.
공상휘 티맥스클라우드 대표는 "슈퍼앱에서는 이용자가 자신의 편의에 맞게 앱을 스스로 수정하고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며 "이용자들이 벤더(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가 정해놓은 틀에 국한되지 않고 자유로운 맞춤제작을 하도록 설계했다"고 밝혔다. 이용자들이 이른바 '프로슈머'(생산과 소비를 동시에 하는 경제 주체)가 되길 바란다는 취지다.
프로슈머 트렌드를 겨냥한 앱이다보니 이용자들이 앱을 개발할 수 있는 범위도 다양하다. 눈에 보이는 영역인 프론트엔드 기능뿐 아니라 앱의 내부에서 작동하는 앱인 백엔드 영역까지도 이용자가 직접 설계해 만들 수 있다고 티맥스 측은 설명했다.
데이터 통합 능력 또한 슈퍼앱의 또 다른 특징이다. 티맥스 측은 "슈퍼앱은 데이터 가상화를 통해 서버 내에 산재한 데이터를 통합해 관리하는 기술을 갖췄다"고 말했다. 데이터 가상화는 데이터를 서버에서 옮기지 않고도 임시 주소에 저장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 때문에 별도의 서버 유지보수 작업 없이도 데이터를 한 주소에 통합할 수 있다.
티맥스 측은 슈퍼앱의 비용 절감 능력을 토대로 기업의 수요를 늘릴 것으로 보인다. 김민석 티맥스메타버스 대표는 "소프트웨어 시장은 연간 7% 성장하는 반면 관리 비용은 15%씩 증가하고 있다"며 "슈퍼앱은 더이상 선택이 아닌 한국 산업이 발전할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풀어야 할 숙제"라고 말했다.
기업을 겨냥했단 점에서 해외 노코드 프로그램과의 차별성도 돋보인다. 공상휘 대표는 "마이크로소프트(MS)의 '파워앱'이나 아마존의 '퍼니 코드'도 1인 코딩을 가능하게 하나 UI 개선에 그치는 수준"이라며 "기업에 활용되거나 공유할 수 없는 구조"라고 했다. 이어 "티맥스의 슈퍼앱은 기업과 개인을 통합한 노코딩 플랫폼으로 발전시켜 경쟁력을 확보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공상휘 대표는 "슈퍼앱이 활용된다면 한국 경제인구의 4분의 1을 차지하고 있는 소상공인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라며 "내년 초에 출시 예정인 슈퍼앱 기능 중 '마이숍'을 이용해 소상공인 자신의 매장을 디지털 홈페이지처럼 소개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티맥스는 올해 말 '슈퍼오피스'를 시작으로 내년 초까지 '슈퍼앱'의 기능들을 시중에 공개할 예정이다. 또한 기존 티맥스의 주 공급처인 기업과 기관을 벗어나 개인 이용자에게도 적극 소프트웨어를 공급하는 B2C(기업과 소비자간 거래) 판매 전략도 구사할 예정이다.
김민석 대표는 "과거 글로벌 패권 경쟁의 중심이 유형적인 자원이었다면 현재 패권 경쟁의 핵심은 소프트웨어 기술이 될 것"이라며 "티맥스는 한국이 '슈퍼앱 강국'으로 거듭나 세계 경제를 선도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티맥스는 6일 오전 서울 코엑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노코드 플랫폼 '슈퍼앱'의 출시 계획을 발표했다. '슈퍼앱'은 티맥스가 창립 후 25년간 축적한 데이터베이스(DB), 운영체제(OS), 오피스 등 소프트웨어(SW) 원천기술과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메타버스 등 새로운 혁신 기술을 총망라한 기술의 집약체라고 강조했다.
'노코드'란 별도의 코딩 없이 음성이나 클릭 등 직관적인 명령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술을 뜻한다. 티맥스의 노코드 플랫폼 '슈퍼앱'은 다양한 개별 서비스를 하나의 앱에서 통합 제공하는 단순한 방식을 넘어, 참신한 아이디어를 가진 누구나 원하는 서비스를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는 앱이자 플랫폼이다. 전문 개발자가 아닌, 코딩을 모르는 이용자도 스스로 앱을 개발할 수 있다.
공상휘 티맥스클라우드 대표는 "슈퍼앱에서는 이용자가 자신의 편의에 맞게 앱을 스스로 수정하고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며 "이용자들이 벤더(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가 정해놓은 틀에 국한되지 않고 자유로운 맞춤제작을 하도록 설계했다"고 밝혔다. 이용자들이 이른바 '프로슈머'(생산과 소비를 동시에 하는 경제 주체)가 되길 바란다는 취지다.
프로슈머 트렌드를 겨냥한 앱이다보니 이용자들이 앱을 개발할 수 있는 범위도 다양하다. 눈에 보이는 영역인 프론트엔드 기능뿐 아니라 앱의 내부에서 작동하는 앱인 백엔드 영역까지도 이용자가 직접 설계해 만들 수 있다고 티맥스 측은 설명했다.
데이터 통합 능력 또한 슈퍼앱의 또 다른 특징이다. 티맥스 측은 "슈퍼앱은 데이터 가상화를 통해 서버 내에 산재한 데이터를 통합해 관리하는 기술을 갖췄다"고 말했다. 데이터 가상화는 데이터를 서버에서 옮기지 않고도 임시 주소에 저장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 때문에 별도의 서버 유지보수 작업 없이도 데이터를 한 주소에 통합할 수 있다.
티맥스 측은 슈퍼앱의 비용 절감 능력을 토대로 기업의 수요를 늘릴 것으로 보인다. 김민석 티맥스메타버스 대표는 "소프트웨어 시장은 연간 7% 성장하는 반면 관리 비용은 15%씩 증가하고 있다"며 "슈퍼앱은 더이상 선택이 아닌 한국 산업이 발전할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풀어야 할 숙제"라고 말했다.
기업을 겨냥했단 점에서 해외 노코드 프로그램과의 차별성도 돋보인다. 공상휘 대표는 "마이크로소프트(MS)의 '파워앱'이나 아마존의 '퍼니 코드'도 1인 코딩을 가능하게 하나 UI 개선에 그치는 수준"이라며 "기업에 활용되거나 공유할 수 없는 구조"라고 했다. 이어 "티맥스의 슈퍼앱은 기업과 개인을 통합한 노코딩 플랫폼으로 발전시켜 경쟁력을 확보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공상휘 대표는 "슈퍼앱이 활용된다면 한국 경제인구의 4분의 1을 차지하고 있는 소상공인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라며 "내년 초에 출시 예정인 슈퍼앱 기능 중 '마이숍'을 이용해 소상공인 자신의 매장을 디지털 홈페이지처럼 소개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티맥스는 올해 말 '슈퍼오피스'를 시작으로 내년 초까지 '슈퍼앱'의 기능들을 시중에 공개할 예정이다. 또한 기존 티맥스의 주 공급처인 기업과 기관을 벗어나 개인 이용자에게도 적극 소프트웨어를 공급하는 B2C(기업과 소비자간 거래) 판매 전략도 구사할 예정이다.
김민석 대표는 "과거 글로벌 패권 경쟁의 중심이 유형적인 자원이었다면 현재 패권 경쟁의 핵심은 소프트웨어 기술이 될 것"이라며 "티맥스는 한국이 '슈퍼앱 강국'으로 거듭나 세계 경제를 선도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티맥스메타버스 김민석 대표이사가 슈퍼위크 2022 기자간담회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티맥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개발자 시대 닫는다…누구나 쉽게 서비스 개발"
티맥스 슈퍼앱의 '슈퍼앱 스튜디오(SuperApp Studio)'를 사용하면 고품질의 경쟁력 있는 앱을 쉽고 빠르게 개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개발 지식이 없는 기업과 개인 사용자도 슈퍼앱을 통해 노코드를 기반으로 직접 원하는 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
'슈퍼 UX(Super UX)'는 노코드 슈퍼앱 스튜디오의 핵심이다. 슈퍼 UX는 AI∙메타버스∙오피스∙커머스 등 IT 및 각 도메인의 모든 영역과 관련된 기술을 사용자가 손쉽게 활용할 수 있게 가시적인 컴포넌트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마치 오피스 프로그램을 사용하듯이 간단하게 드래그앤드롭 방식으로 원하는 서비스 화면을 기획, 배치, 배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신규 서비스 개발뿐 아니라 슈퍼앱 스튜디오를 통해 배포된 기존 서비스를 원하는 대로 최적화해 재배포할 수 있다. 슈퍼앱에 축적된 수많은 데이터를 다양한 형태와 방식으로 즉각적으로 쉽게 활용할 수도 있다. 슈퍼앱은 특정 운영체제, 디바이스, 앱 마켓 등 어느 곳에도 종속되지 않는 모든 환경에서 운영된다.
이를 두고 티맥스는 개발자들의 저항도 있을 것이라 전망했다. 공상휘 대표는 "사실 개발이라는 것이 개발자 중심적이다. 티맥스가 개발자에 의존하지 않는 환경을 만들겠다는 것에 대해 불편할 수도 있을 것"이라며 "이런 부정적인 생각이 없어지려면 긴 시간이 걸릴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시간 핫뉴스
이어 "과거에도 새로운 시스템에 대한 저항이 많았다. 프레임워크나 플랫폼 기술도 기업이나 개발자, 개개인에게 어려움이 있었지만 적응이 되면서, 본질적인 비즈니스에 집중할 수 있도록 티맥스가 기술을 계속 제공해왔다. 프레임워크도 20년이 지나면서 지금은 완전히 표준화가 됐다. (슈퍼앱에 대해서도) 개발자들 마다 긍정적인 시각과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공 대표는 "최근 업계는 대형 SI 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들은 성장 동력을 많이 상실했다"며 "클라우드 엔지니어 풀은 많이 부족하다. 티맥스는 기존에 여러 중소 규모의 SI업체들과 협업해서 저희 생태계를 함께 만들어보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odong85@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