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정옥주 기자 = 지난 2월 출시돼 그야말로 '대란'이 일었던 청년희망적금이 올 하반기 다시 등장할 지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2월 금융위원회는 만기까지 납입하는 경우 시중이자에 더해 최대 36만원의 저축장려금과 이자소득세 면제 등을 지원하는 '청년희망적금'을 출시했다. 이는 금리 혜택이 최고 연 10.49%에 달하는 것으로, 파격적인 혜택에 당초 예상인 38만명의 무려 8배에 가까운 286만8000명의 가입자가 몰렸다.
높은 관심만큼 잡음도 끊이지 않았는데, 특히 지난해 소득이 없는 취업준비생이나 소득이 증빙되지 않는 사회초년생 등의 가입이 불가능해 불만이 속출했었다.
청년희망적금의 가입 기준이 지난해 연간 총급여 3600만원 이하로 정해져, 직전 과세기간(2021년 1~12월)의 소득이 확정되기 이전까지 전전년도(2020년 1~12월) 소득으로 개인소득 요건과 가입가능 여부를 판단했기 때문이다. 직전년도 과세기간의 소득은 오는 7월께 확정되기 때문에, 지난해부터 소득이 발생한 가입희망자는 7월 이후에나 가입할 수 있다.
가입기준을 놓고 불만이 커지자 금융당국은 신청이 불가능했던 지난해 신규 취업자들이 가입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지난해 소득이 확정되는 오는 7∼8월 이후 가입을 재개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이에 금융당국도 현재 청년희망적금의 하반기 출시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청년희망적금 재개 여부에 대해서는 아직 확정된 것이 없다"며 "현재 관계부처와 논의 중에 있다"고 말했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만약 정부가 청년희망적금의 재가입을 결정한다면, 지난해 소득이 확정된 후 전산 작업 등 준비 기간을 거쳐 이르면 9~10월께 나올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다만 새 정부의 주요 국정과제 중 하나인 '청년도약계좌' 역시 내년 출시를 앞두고 있어, 전 정부의 청년희망적금이 재출시될 가능성은 낮아진 것이 아니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정부가 내년 출시할 예정인 청년도약계좌는 기존에 나온 청년 자산 형성 상품들과 새롭게 나올 장기자산계좌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크게 문재인 정부의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이번에 새롭게 내놓는 '청년장기자산계좌' 등으로 나뉜다.
이 가운데 청년장기자산계좌는 최대 10년 동안 소득에 따라 매월 30만~60만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10만~40만원의 장려금을 얹어줘 '1억원'을 만들 수 있는 상품이다. 연 소득이 4600만원을 넘으면 정부지원금 대신 비과세 및 소득공제 혜택이 주어진다.
이러한 파격적인 혜택으로 인해 출시 전부터 뜨거운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더욱이 정부는 최대한 많은 청년이 가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기존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들의 '갈아타기'도 허용한단 방침이어, 가입대상과 혜택을 더 늘린 청년장기자산계좌가 나오면 '청년희망적금'을 뛰어넘는 인기몰이를 할 것이란 예상이 나오고 있다.
실제 아직 구체적인 출시 시기나 조건 등이 정해지지 않았음에도 '청도계'(청년도약계좌 줄임말)라는 온라인 커뮤니티까지 개설, 가입자가 7000명을 넘어서고 있다.
이 때문에 금융권 안팎에서는 벌써부터 재원 마련과 은행권 비용 부담 등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크다. 앞서 청년희망적금의 경우 가입자가 급증하며 예산이 당초 456억원에서 1조원 안팎으로 훌쩍 뛰어오른 전례가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소득이 있는 만 19~34세는 지난해 7월 기준 630만명에 달한다. 이들이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해 매월 10만원씩만 장려금을 받는다 해도 1년 예산은 7조원을 훌쩍 뛰어넘는다.
반면 일각에서는 청년도약계좌가 10년이라는 긴 만기기간을 유지해야 오롯이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청년희망적금'때와 같은 '열풍'이 재연되진 않을 것이란 의견도 있다. 은행권에 따르면 통상 사회초년생은 결혼자금, 주택구입 등으로 급전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 중도해지율이 높은 편이다. 서민진흥원 등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청년희망적금을 유지하고 있는 가입자 수는 284만4000명으로, 한 달간 2만4000명 정도가 중도 이탈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청년희망적금과 관련해 추가로 논의하고 있는 것은 아직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아무래도 전 정권이 만든 상품을 굳이 재정에 부담을 주고 은행들의 반발을 사면서까지 무리하게 추진하지는 않을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은행권 관계자는 "은행 입장선 역마진 상품이나 다름없는 청년희망적금에 가입자들이 급격히 몰려 많은 부담을 지게 됐는데, 내년 청년도약계좌까지 떠안아야 하는 상황"이라며 "이런 가운데 청년희망적금 시즌2까지 보태진다면 우려스러울 수 밖에 없는 만큼, 청년도약계좌와의 교통정리가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2월 금융위원회는 만기까지 납입하는 경우 시중이자에 더해 최대 36만원의 저축장려금과 이자소득세 면제 등을 지원하는 '청년희망적금'을 출시했다. 이는 금리 혜택이 최고 연 10.49%에 달하는 것으로, 파격적인 혜택에 당초 예상인 38만명의 무려 8배에 가까운 286만8000명의 가입자가 몰렸다.
높은 관심만큼 잡음도 끊이지 않았는데, 특히 지난해 소득이 없는 취업준비생이나 소득이 증빙되지 않는 사회초년생 등의 가입이 불가능해 불만이 속출했었다.
청년희망적금의 가입 기준이 지난해 연간 총급여 3600만원 이하로 정해져, 직전 과세기간(2021년 1~12월)의 소득이 확정되기 이전까지 전전년도(2020년 1~12월) 소득으로 개인소득 요건과 가입가능 여부를 판단했기 때문이다. 직전년도 과세기간의 소득은 오는 7월께 확정되기 때문에, 지난해부터 소득이 발생한 가입희망자는 7월 이후에나 가입할 수 있다.
가입기준을 놓고 불만이 커지자 금융당국은 신청이 불가능했던 지난해 신규 취업자들이 가입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지난해 소득이 확정되는 오는 7∼8월 이후 가입을 재개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이에 금융당국도 현재 청년희망적금의 하반기 출시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청년희망적금 재개 여부에 대해서는 아직 확정된 것이 없다"며 "현재 관계부처와 논의 중에 있다"고 말했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만약 정부가 청년희망적금의 재가입을 결정한다면, 지난해 소득이 확정된 후 전산 작업 등 준비 기간을 거쳐 이르면 9~10월께 나올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다만 새 정부의 주요 국정과제 중 하나인 '청년도약계좌' 역시 내년 출시를 앞두고 있어, 전 정부의 청년희망적금이 재출시될 가능성은 낮아진 것이 아니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정부가 내년 출시할 예정인 청년도약계좌는 기존에 나온 청년 자산 형성 상품들과 새롭게 나올 장기자산계좌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크게 문재인 정부의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이번에 새롭게 내놓는 '청년장기자산계좌' 등으로 나뉜다.
이 가운데 청년장기자산계좌는 최대 10년 동안 소득에 따라 매월 30만~60만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10만~40만원의 장려금을 얹어줘 '1억원'을 만들 수 있는 상품이다. 연 소득이 4600만원을 넘으면 정부지원금 대신 비과세 및 소득공제 혜택이 주어진다.
이러한 파격적인 혜택으로 인해 출시 전부터 뜨거운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더욱이 정부는 최대한 많은 청년이 가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기존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들의 '갈아타기'도 허용한단 방침이어, 가입대상과 혜택을 더 늘린 청년장기자산계좌가 나오면 '청년희망적금'을 뛰어넘는 인기몰이를 할 것이란 예상이 나오고 있다.
실제 아직 구체적인 출시 시기나 조건 등이 정해지지 않았음에도 '청도계'(청년도약계좌 줄임말)라는 온라인 커뮤니티까지 개설, 가입자가 7000명을 넘어서고 있다.
이 때문에 금융권 안팎에서는 벌써부터 재원 마련과 은행권 비용 부담 등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크다. 앞서 청년희망적금의 경우 가입자가 급증하며 예산이 당초 456억원에서 1조원 안팎으로 훌쩍 뛰어오른 전례가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소득이 있는 만 19~34세는 지난해 7월 기준 630만명에 달한다. 이들이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해 매월 10만원씩만 장려금을 받는다 해도 1년 예산은 7조원을 훌쩍 뛰어넘는다.
반면 일각에서는 청년도약계좌가 10년이라는 긴 만기기간을 유지해야 오롯이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청년희망적금'때와 같은 '열풍'이 재연되진 않을 것이란 의견도 있다. 은행권에 따르면 통상 사회초년생은 결혼자금, 주택구입 등으로 급전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 중도해지율이 높은 편이다. 서민진흥원 등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청년희망적금을 유지하고 있는 가입자 수는 284만4000명으로, 한 달간 2만4000명 정도가 중도 이탈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청년희망적금과 관련해 추가로 논의하고 있는 것은 아직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아무래도 전 정권이 만든 상품을 굳이 재정에 부담을 주고 은행들의 반발을 사면서까지 무리하게 추진하지는 않을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은행권 관계자는 "은행 입장선 역마진 상품이나 다름없는 청년희망적금에 가입자들이 급격히 몰려 많은 부담을 지게 됐는데, 내년 청년도약계좌까지 떠안아야 하는 상황"이라며 "이런 가운데 청년희망적금 시즌2까지 보태진다면 우려스러울 수 밖에 없는 만큼, 청년도약계좌와의 교통정리가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