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브란스 내분비내과 이용호 교수팀
"고혈당 못지 않게 저혈당 관리해야"
[서울=뉴시스] 백영미 기자 = 당뇨병 환자가 중증 저혈당을 앓으면 치매는 물론 사망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이용호 교수와 계명대 대구동산병원 내분비내과 한유진 교수 연구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해 2009년 치매가 없는 40세 이상 2형 당뇨병(성인 당뇨병) 환자 2백만 여 명을 대상으로 2006~2009년 중증 저혈당 치료 횟수를 확인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고 11일 밝혔다.
저혈당은 혈중 포도당 농도가 낮아진 상태다. 대한당뇨병학회가 분류한 저혈당 단계 중 가장 위험한 수준인 중증 저혈당은 환자 스스로가 대처하기 힘든 저혈당 쇼크 상태로, 심하면 의식 소실과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연구팀 조사 결과 중증 저혈당으로 최소 1회 이상 치료받은 환자는 1만 4443명(0.7%)이었다. 연구팀은 2015년 12월까지 약 7년 간 추적 관찰 기간 동안 환자들이 치매를 앓는 경우를 조사한 결과, 중증 저혈당 치료 횟수가 많을수록 치매 위험이 증가했다. 치매 발생 위험은 중증 저혈당이 없는 환자와 비교했을 때 1회 치료군에서 1.5배, 2회 이상 치료군에서 1.8배 높았다.
치매 유형별로는 알츠하이머 위험도는 1회 치료군에서 1.5배, 2회 이상 치료군에서 1.9배, 혈관성 치매 위험도는 1회 치료군에서 1.5배, 2회 이상 치료군에서 1.4배 각각 상승했다. 연령대별로는 60세 미만군에서 3.1배, 60세 이상군에서 1.6배 증가했다.
연구팀은 2009년 치매가 있는 당뇨병 환자 중 2015년까지의 사망자를 확인했다. 사망자 수는 총 5만 1567명이었다. 사망 위험도는 중증 저혈당이 없는 환자 대비 1회 치료군에서 29%, 2회 치료군에서 35% 증가했다.
치매와 중증 저혈당에 따른 사망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중증 저혈당 치료와 치매 진단을 받은 당뇨병 환자의 사망 위험도는 두 질환이 없는 환자에 비해 5.1배 상승했다. 중증 저혈당이 없는 치매 환자의 사망 위험은 2배, 중증 저혈당 치료를 받았지만 치매가 없는 환자의 사망 위험은 4.3배 높았다.
이 교수는 “당뇨병 환자는 고혈당 조절 못지않게 저혈당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저혈당 고위험군에서 개별 환자에 맞춘 혈당 조절 목표를 설정해 당뇨병 합병증을 예방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혈당이 있는 당뇨병 환자는 규칙적으로 적정량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식사량과 시간이 자주 바뀌면 기초대사량이 낮아지고 과식하기 쉬워 혈당 조절이 어려워서다. 운동을 통해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수시로 스트레칭을 해 근육을 이완해주고 일상 생활 중 가볍게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가족이나 친구 등에게 저혈당의 증상과 대처방법을 미리 알려 응급상황에 대비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내분비학회 공식 학술지 '저널 오브 클리니컬 엔도크리놀로지 앤 메타볼리즘(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최신호에 실렸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이용호 교수와 계명대 대구동산병원 내분비내과 한유진 교수 연구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해 2009년 치매가 없는 40세 이상 2형 당뇨병(성인 당뇨병) 환자 2백만 여 명을 대상으로 2006~2009년 중증 저혈당 치료 횟수를 확인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고 11일 밝혔다.
저혈당은 혈중 포도당 농도가 낮아진 상태다. 대한당뇨병학회가 분류한 저혈당 단계 중 가장 위험한 수준인 중증 저혈당은 환자 스스로가 대처하기 힘든 저혈당 쇼크 상태로, 심하면 의식 소실과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연구팀 조사 결과 중증 저혈당으로 최소 1회 이상 치료받은 환자는 1만 4443명(0.7%)이었다. 연구팀은 2015년 12월까지 약 7년 간 추적 관찰 기간 동안 환자들이 치매를 앓는 경우를 조사한 결과, 중증 저혈당 치료 횟수가 많을수록 치매 위험이 증가했다. 치매 발생 위험은 중증 저혈당이 없는 환자와 비교했을 때 1회 치료군에서 1.5배, 2회 이상 치료군에서 1.8배 높았다.
치매 유형별로는 알츠하이머 위험도는 1회 치료군에서 1.5배, 2회 이상 치료군에서 1.9배, 혈관성 치매 위험도는 1회 치료군에서 1.5배, 2회 이상 치료군에서 1.4배 각각 상승했다. 연령대별로는 60세 미만군에서 3.1배, 60세 이상군에서 1.6배 증가했다.
연구팀은 2009년 치매가 있는 당뇨병 환자 중 2015년까지의 사망자를 확인했다. 사망자 수는 총 5만 1567명이었다. 사망 위험도는 중증 저혈당이 없는 환자 대비 1회 치료군에서 29%, 2회 치료군에서 35% 증가했다.
치매와 중증 저혈당에 따른 사망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중증 저혈당 치료와 치매 진단을 받은 당뇨병 환자의 사망 위험도는 두 질환이 없는 환자에 비해 5.1배 상승했다. 중증 저혈당이 없는 치매 환자의 사망 위험은 2배, 중증 저혈당 치료를 받았지만 치매가 없는 환자의 사망 위험은 4.3배 높았다.
이 교수는 “당뇨병 환자는 고혈당 조절 못지않게 저혈당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저혈당 고위험군에서 개별 환자에 맞춘 혈당 조절 목표를 설정해 당뇨병 합병증을 예방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혈당이 있는 당뇨병 환자는 규칙적으로 적정량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식사량과 시간이 자주 바뀌면 기초대사량이 낮아지고 과식하기 쉬워 혈당 조절이 어려워서다. 운동을 통해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수시로 스트레칭을 해 근육을 이완해주고 일상 생활 중 가볍게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가족이나 친구 등에게 저혈당의 증상과 대처방법을 미리 알려 응급상황에 대비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내분비학회 공식 학술지 '저널 오브 클리니컬 엔도크리놀로지 앤 메타볼리즘(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최신호에 실렸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