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정보원, 위기극복 일자리 사례 보고서
군산·광주 등 사례별 연구 통해 정책 대안 제시
[서울=뉴시스] 김진아 기자 = #. 조선과 자동차 산업의 쇠퇴로 지역위기에 봉착했던 전북 군산시는 전기자동차 관련 중소기업 클러스터를 통해 청년 일차리 창출을 시도하며 지역의 활력을 되찾았다. 군산형 상생일자리는 2024년까지 총 1624명의 고용 창출을 목표로 시작돼, 지난해 11월까지 명신, 에디슨모터스명, 코스텍 등의 기업에서 352명이 새롭게 채용되는 등 성과를 거뒀다.
한국고용정보원은 5일 이 같은 지방소멸의 위기를 극복한 지역 일자리 사례와 모델을 소개하는 연구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4차 산업혁명과 인구감소, 제조업 쇠퇴에 따라 지역 일자리가 줄고 청년 인구 유출이 가속화되는 등 지방소멸 위기가 심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사례별 연구를 통해 정책 대안을 도출하기 위해 마련됐다.
보고서는 주요 사례로 ▲러스트벨트형(군산형 상생일자리 사례) ▲대학 소멸 위기형(광주·전남 및 경남의 지역혁신플랫폼) ▲원도심쇠퇴형(부산 영도구 도시재생일자리) ▲풀뿌리공동체형(경북 의성군 이웃사촌시범마을)을 다뤘다.
러스트벨트형에서는 황규성 한신대 교수가 나서 주력 산업의 쇠락에 따른 일자리 위기에 대응한 군산형 상생일자리를 사례로 다뤘다.
황 교수는 군산형 상생일자리의 성공 요인으로 평균임, 다량의 일자리, 짧은 노동시간을 결합한 고용체계를 구축해 기업과 노동자 간 상생, 공단과 지역경제 상생을 도모한 데 있다고 평가했다.
대학소멸위기형에서는 서룡 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이 광주·전남 및 경남의 지역혁신플랫폼을 우수사례로 꼽아 분석했다.
지역혁신플랫폼은 지역대학이 컨소시엄을 구축해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지역 인재에게 일자리를, 중소기업에게는 연구개발(R&D) 협력을 통한 생산성 혁신과 인재를 공급하는 모델이다.
연구진은 지역 내 신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대학이 공동 융합교육과정을 개설해 기업 수요에 맞춘 커리큘럼을 혁신하는 등 청년층의 수도권 유출을 막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원도심 쇠퇴형 모델에서는 박선미 사회자본연구소 대표가 도시 재생과 일자리를 연계한 부산 영도구 사례를 다뤘다.
영도구는 대도시임에도 불구하고 오심 쇠퇴와 청년 인구 유출로 '지방소멸위험' 단계에 진입하면서, 전통 도시 재생사업과 달리 지역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뉴딜 사업을 추진했다.
영도구 남항동은 수리조선 혁신을 통해 차세대 일자리 생태계를 구축했으며, 봉래1동은 노포 창업 등 '대통전수방 프로젝트'라는 지역 전통산업 육성 방안을 통해 일자리 창출을 시도하고 있다.
풀뿌리공동체형 모델에서는 이상호 고용정보원 센터장이 경북 의성군 '이웃사촌시범마을' 사업을 사례로 꼽아 분석했다.
한때 지방소멸위험지수 1위를 기록했던 의성군은 2018년부터 경상북도와 함께 안계면 일대를 이웃사촌시범마을로 지정하고 사업을 시작했다.
이 사업은 외부로부터 청년 유입을 위해 일자리와 주거를 함께 제공하며, 주민이 이용하는 의료·교육·복지·문화를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간 일자리 창출, 주거단지 조성, 생활여건 개선, 마을공동체 강화, 청년 유입 5대 분야 40여개 사업을 시행한 결과, 지난 2년 반 동안 총 162명의 청년 인구가 유입되는 성과를 거뒀다.
보고서는 이 같은 사례를 바탕으로 지역 상황과 특성에 따라 다양한 일자리 모델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보고서는 "해당 사례들은 현재 진행형으로 사업의 성과를 섣불리 판단하기는 쉽지 않지만, 사업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문제와 한계도 적지 않다"며 "중요한 것은 개별 사례의 성과나 문제점을 과장하기보다 지역 간 격차를 완화하고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교훈을 얻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상호 센터장은 "정책 대안을 마련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일자리 창출"이라며 "지역 산업과 노동시장 환경에 맞는 일자리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지역 주도성을 강화하는 한편 산업과 복지, 교육이 연계된 일자리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