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레드' 분풀이 찾나…동물·알바생 대상 분노장애 범죄 잇달아

기사등록 2022/02/16 07:00:00

최종수정 2022/02/16 07:33:41

우울감 '코로나 블루' 넘어 분노 단계

"코로나 오래가 막가파식 감정 자극"

"주변의 약한 사람·존재에 분노 투사"

"분노조절 폭력 이력 땐 적극 치료를"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한국동물보호연합 등 동물단체 회원들이 지난 14일 서울 마포경찰서 앞에서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산 채로 길고양이를 불태우는 등 동물학대를 저지른 사람들에 대한 강력처벌 촉구를 하고 있다.2022.02.14. 20hwan@newsis.com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한국동물보호연합 등 동물단체 회원들이 지난 14일 서울 마포경찰서 앞에서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산 채로 길고양이를 불태우는 등 동물학대를 저지른 사람들에 대한 강력처벌 촉구를 하고 있다.2022.02.14.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이소현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1년 이상 지속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우울감과 불안감을 느끼는 '코로나 블루'를 넘어 분노를 참을 수 없게 되는 '코로나 레드'의 증상을 호소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고립감과 건강·생계에 대한 불안감 등이 누적되며 어느 순간 분노를 주체할 수 없을 정도의 정신 상태를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평소 독선적인 사고를 갖고 있거나 편협한 고정관념을 갖고 있던 사람은 심할 경우 타인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상황에 이르기도 한다.

16일 뉴시스 취재를 종합하면, '코로나 레드'는 최근 잇따른 동물 학대 범죄와 노인, 알바생 등 약자를 범행 대상으로 한 폭력 사건의 원인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백종우 경희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재난 직후에는 불안이 높다가 뒤로 갈수록 우울과 분노가 증가한다"면서 "공공장소에서의 일탈이라든지 사회적 약자에 표출되는 것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이해국 가톨릭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코로나가 오래가면서 공격성과 '막하고 싶은' 본능적 욕구들이 계속 누적된 결과"라며 "초기에는 내부를 향하던 우울감이 누적되면 분노가 돼 외부를 향하는데, 주로 가까이에 있는 약한 사람 또는 약한 존재에 투사된다"고 했다.

이 교수는 "분노는 불특정 다수 내지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사람한테도 나타날 수 있다. 가령 사회적 관계에서 '내가 물건을 사는 사람이다'라고 하면 작은 단서를 가지고도 공격성을 표출하는 것"이라며 "이 경우 반사회적이고 예방이 안 돼 더 위험하다. 사회적으로 안정성이 없어질 때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짚었다.

[서울 뉴시스]손님이 편의점 아르바이트생에게 우유를 던지는 모습. 사진 온라인 커뮤니티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 뉴시스]손님이 편의점 아르바이트생에게 우유를 던지는 모습. 사진 온라인 커뮤니티 *재판매 및 DB 금지
전문가들은 코로나가 3년을 넘긴 시점에서 분노 수위를 되짚어 보고 필요한 경우 해소 또는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 교수는 "정신적으로 건강한 사람이든 아니든지 간에 전체적으로 많이 억눌려 있다"며 "결국 아프지 않기 위해서 참는건데 (코로나가) 너무 오래 가니까 막가파식 감정이 자극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집 근처에서 거리두기를 유지하면서라도 억눌린 걸 해소하고 스트레스를 풀 수 있어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공원 등 인프라 자원이 부족해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심리적 고통에 특히 취약하다. 놀이·여가·문화·운동·여행 등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 길을 뚫어줘야 한다"고 했다.

홍진표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도 "코로나로 인해서 감정 조절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꽤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며 "분노 조절 문제 때문에 폭력을 행사한 적이 있을 정도가 되면 적극적인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코로나 레드' 분풀이 찾나…동물·알바생 대상 분노장애 범죄 잇달아

기사등록 2022/02/16 07:00:00 최초수정 2022/02/16 07:33:41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