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 질환자에게는 조상의 지혜, 독 될 수도
"과도한 칼륨·인 축적으로 식이관리 필요"
[서울=뉴시스] 백영미 기자 = 새해 첫 보름달이 뜨는 음력 1월15일은 우리나라 고유 명절인 정월대보름이다. 부럼을 깨물어 액운을 쫓고 오곡밥, 약밥, 묵은 나물을 먹으며 한 해의 건강과 풍년을 기원하는 조상의 지혜가 담겼다.
정월대보름에는 찹쌀, 차조, 붉은 팥, 찰수수, 검은콩 등 5가지 곡식을 섞어 지은 오곡밥을 먹는다. 잡곡밥은 식이섬유를 비롯해 칼륨이나 인 등의 영양소가 풍부해 흰쌀밥보다 건강에 더 좋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신장(콩팥) 건강에 문제가 있다면 단백질이나 인, 칼륨 같은 영양소를 제한적으로 섭취해야 해 오곡밥보다 흰쌀밥을 먹는 것이 좋다. 오곡밥과 곁들이는 나물 역시 가급적 싱겁게 간을 하는 것이 건강에 유익하다.
콩과 팥을 닮았다고 해 이름 붙여진 콩팥은 개인별로 차이가 있지만 본인의 주먹 정도 크기로 무게도 개당 300g 정도에 불과하지만 혈액 속 노폐물을 걸러서 소변으로 배출시켜 주는 등 생명 유지에 필요한 다양한 역할을 한다.
콩팥 질환은 크게 급성 콩팥 손상과 만성 콩팥병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만성 콩팥병 환자가 크게 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15년 만성 콩팥병으로 진료받은 환자는 약 17만 명(17만 576명)에서, 2020년 약 25만 명(25만 9116명)으로 급증했다. 만성 콩팥병은 보통 3개월 이상 콩팥이 지속적으로 손상되거나 콩팥의 기능이 50% 이하로 떨어진 상태를 말한다.
이지은 인천힘찬종합병원 신장내과 과장은 “나이가 들수록 콩팥은 노화가 시작되며 조금씩 쪼그라들면서 크기도 작아지고 표면이 울퉁불퉁해지고 딱딱해지면서 기능이 떨어질 수 있다”면서 “콩팥은 대부분 혈관으로 이뤄져 있어 고혈압으로 혈관이 손상되면 콩팥에 이상이 생길 수 있고, 당뇨병으로 혈당이 높아지면 콩팥에 손상이 갈 수 있다"고 말했다. 고혈압과 당뇨병은 전체 만성 콩팥병의 50% 가량을 차지한다.
만성 콩팥병은 콩팥 기능이 70% 이상 감소하기 전까지 별다른 증상이 없어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기 쉽다. 하지만 밤에 소변을 자주 보는 경우, 소변에 거품이 잘 생기는 경우 콩팥에 문제가 있다고 의심하고 검사를 받아보는 게 좋다. 40대 이후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과 같은 위험인자를 가진 경우 혈액 검사나 소변 검사가 권장된다.
흰쌀밥보다 잡곡밥이 건강에 더 좋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콩팥 기능이 저하된 경우 단백질이나 인, 칼륨 같은 영양소를 제한적으로 섭취해야 해 흰쌀밥을 먹는 것이 좋다.
이 과장은 “콩팥 기능이 저하되면 체내에서 쓰이고 남은 칼륨과 인을 소변을 통해 배출하지 못해 체내에 축적된다”면서 “신장이 안 좋은 경우 칼슘과 인 성분을 조절하는 약제를 처방하거나 단백질이나 나트륨, 칼륨, 인 성분의 영양소를 제한하는 식이요법을 중요시 한다”고 말했다.
칼륨이 많은 시금치, 토마토 같은 채소와 과일은 삶거나 데쳐서 칼륨 성분이 빠져나간 후 먹어야 한다. 잡곡밥이나 곰탕처럼 뼈를 우린 국물, 유제품, 견과류, 카페인 식품에는 인이 많이 함유돼 있어 주의해야 한다. 단백질을 제한하는 식단은 자칫 영양결핍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주치의와 상의해 식단을 결정하면 된다.
만성 콩팥병 환자는 나트륨과 당분을 가급적 적게 섭취하는 것도 중요하다. 일반인과 비슷한 양의 소금을 섭취하면 혈압이 상승하고 몸이 부어 콩팥이 더 빨리 나빠질 수 있다. 질병관리청이 지난해 12월 공개한 2020년 국민 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하루 나트륨을 권장량(2300mg) 이하로 섭취하는 비율은 국민의 33.1%에 불과했다. 국민 10명 중 약 7명이 권장량보다 많은 나트륨을 섭취하고 있는 셈이다.
오곡밥과 곁들이는 나물 요리 역시 조리 특성상 소금, 간장, 고추장, 된장 등 염분이 많이 들어간다. 가급적 싱겁게 간을 하고 적정량의 식초나 고춧가루, 마늘 등으로 맛을 내는 것이 좋다. 나물 요리의 재료가 되는 채소 속 칼륨도 조심해야 한다. 버섯, 호박, 시금치 등보다 상대적으로 칼륨 함량이 적은 가지, 당근, 배추, 콩나물, 오이, 깻잎 등으로 대체하는 것이 좋다. 칼륨은 수용성 물질이기 때문에 요리할 때 잘게 썰어 물에 2시간 정도 담갔다 사용하거나 끓는 물에 데친 후 여러 번 헹궈서 조리하면 섭취량을 줄일 수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정월대보름에는 찹쌀, 차조, 붉은 팥, 찰수수, 검은콩 등 5가지 곡식을 섞어 지은 오곡밥을 먹는다. 잡곡밥은 식이섬유를 비롯해 칼륨이나 인 등의 영양소가 풍부해 흰쌀밥보다 건강에 더 좋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신장(콩팥) 건강에 문제가 있다면 단백질이나 인, 칼륨 같은 영양소를 제한적으로 섭취해야 해 오곡밥보다 흰쌀밥을 먹는 것이 좋다. 오곡밥과 곁들이는 나물 역시 가급적 싱겁게 간을 하는 것이 건강에 유익하다.
콩팥 기능 저하돼도 증상 없어 주의해야
콩팥 질환은 크게 급성 콩팥 손상과 만성 콩팥병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만성 콩팥병 환자가 크게 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15년 만성 콩팥병으로 진료받은 환자는 약 17만 명(17만 576명)에서, 2020년 약 25만 명(25만 9116명)으로 급증했다. 만성 콩팥병은 보통 3개월 이상 콩팥이 지속적으로 손상되거나 콩팥의 기능이 50% 이하로 떨어진 상태를 말한다.
이지은 인천힘찬종합병원 신장내과 과장은 “나이가 들수록 콩팥은 노화가 시작되며 조금씩 쪼그라들면서 크기도 작아지고 표면이 울퉁불퉁해지고 딱딱해지면서 기능이 떨어질 수 있다”면서 “콩팥은 대부분 혈관으로 이뤄져 있어 고혈압으로 혈관이 손상되면 콩팥에 이상이 생길 수 있고, 당뇨병으로 혈당이 높아지면 콩팥에 손상이 갈 수 있다"고 말했다. 고혈압과 당뇨병은 전체 만성 콩팥병의 50% 가량을 차지한다.
만성 콩팥병은 콩팥 기능이 70% 이상 감소하기 전까지 별다른 증상이 없어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기 쉽다. 하지만 밤에 소변을 자주 보는 경우, 소변에 거품이 잘 생기는 경우 콩팥에 문제가 있다고 의심하고 검사를 받아보는 게 좋다. 40대 이후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과 같은 위험인자를 가진 경우 혈액 검사나 소변 검사가 권장된다.
신장 질환자라면 오곡밥보다 흰쌀밥 좋아
이 과장은 “콩팥 기능이 저하되면 체내에서 쓰이고 남은 칼륨과 인을 소변을 통해 배출하지 못해 체내에 축적된다”면서 “신장이 안 좋은 경우 칼슘과 인 성분을 조절하는 약제를 처방하거나 단백질이나 나트륨, 칼륨, 인 성분의 영양소를 제한하는 식이요법을 중요시 한다”고 말했다.
칼륨이 많은 시금치, 토마토 같은 채소와 과일은 삶거나 데쳐서 칼륨 성분이 빠져나간 후 먹어야 한다. 잡곡밥이나 곰탕처럼 뼈를 우린 국물, 유제품, 견과류, 카페인 식품에는 인이 많이 함유돼 있어 주의해야 한다. 단백질을 제한하는 식단은 자칫 영양결핍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주치의와 상의해 식단을 결정하면 된다.
나물 속 염분 주의해야…10명 중 7명 나트륨 과다섭취
오곡밥과 곁들이는 나물 요리 역시 조리 특성상 소금, 간장, 고추장, 된장 등 염분이 많이 들어간다. 가급적 싱겁게 간을 하고 적정량의 식초나 고춧가루, 마늘 등으로 맛을 내는 것이 좋다. 나물 요리의 재료가 되는 채소 속 칼륨도 조심해야 한다. 버섯, 호박, 시금치 등보다 상대적으로 칼륨 함량이 적은 가지, 당근, 배추, 콩나물, 오이, 깻잎 등으로 대체하는 것이 좋다. 칼륨은 수용성 물질이기 때문에 요리할 때 잘게 썰어 물에 2시간 정도 담갔다 사용하거나 끓는 물에 데친 후 여러 번 헹궈서 조리하면 섭취량을 줄일 수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