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8년 설치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상징
1003대 브라운관 모니터로 쌓은 거대한 '비디오 탑'
30년간 수리 반복하다 2018년 가동 중단
2019년부터 보존 복원 3개년 계획...기본적 과정 마쳐
[서울=뉴시스] 박현주 미술전문 기자 = 백남준 '다다익선'은 다시 화려하게 부활할 수 있을까? 국립현대미술관 과천의 상징으로 30년전 옛 영광을 재현할지 주목되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MMCA, 관장 윤범모)은 백남준의 '다다익선'의 기본적인 보존·복원 과정을 마치고 6개월 동안 시험 운전을 실시한다.
가동시간별 작품 노후화 정도 등을 면밀히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다익선'의 수명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중장기 운영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비디오 아트 아버지' 백남준(1932~2006)이 제작한 '다다익선'은 1988년 서울올림픽 등 국가적 행사와 맞물려 국립현대미술관 과천의 건축 특성에 맞게 기획·제작된 상징적 작품이다.
총 1003대의 브라운관(CRT) 모니터로 쌓은 거대한 '비디오 탑'이다. 백남준 작품 중 최대 규모로 지난 2003년 모니터를 전면 교체하는 등 약 30년 동안 수리를 반복해오다 2018년 2월 전면적인 보존·복원을 위해 가동을 중단했다.
6개월간 시험 운전...2주간 오후 2~4시 가동
이번 시험 운전은 6개월간 총 3차례 진행하며, 1차는 3월 18일까지 평일에 실시한다. 먼저 오는 28일까지는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2시간 동안 가동하며, 이후 2주 단위로 2시간씩 점차 확대해 3월 7일부터 3월 18일까지는 8시간 가동한다. 2~3차 시험 운전 일정은 추후 공개될 예정이다.
백남준 '다다익선' 보존 복원은 어떻게 진행했나
지금까지 전체(1003대) 브라운관(CRT) 모니터 및 전원부 등에 대한 정밀진단을 실시한 후 중고를 수급하여 수리·교체했다. 2020~2021년 총 1003대 중 손상 CRT 모니터 735대를 수리했고, 더이상 사용이 어려운 브라운관 모니터는 기술 검토를 거쳐 모니터의 외형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평면 디스플레이(LCD)로 제작·교체했다. 디스플레이(LCD)로 교체는 상단 6인치 및 10인치 총 268대다. 냉각시설 등 작품의 보존환경을 개선하고, 작품에 사용된 8가지의 영상도 디지털로 변환·복원하여 영구적인 보존을 도모했다는게 국립현대미술관의 설명이다.
현재 '다다익선'은 설치한 후 30년 이상 경과함에 따라 관련 기자재의 생산이 중단되고 중고품도 소진되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은 '다다익선'의 원형을 최대한 유지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 및 관계 기관과 협력하여 양질의 중고품을 수급, 진단, 수리, 사용하고 있으나, 수리에 사용된 중고품도 생산된지 적게는 수년, 많게는 십 수 년이 지나 언제든 수명을 다할 수 있는 상황이다. 국립현대미술관은 '다다익선'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보존·복원 작업 외에도 향후 일 가동시간 조정 등을 검토할 계획이다.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은 “국립현대미술관은 백남준 작가의 대표 작품인 '다다익선'의 소장기관으로서 사명감과 책임감을 갖고 여러 전문가, 기관과 협력하여 3개년 보존·복원을 착실히 마무리하겠다"며 "특히 올해가 백남준 작가의 탄생 90주년인 만큼 현장을 방문하신 관람객 등 국민 여러분께도 '다다익선'에 따뜻한 관심과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