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 "전파력 높아 검사체계 유지 어려워"
신속항원 '양성'→PCR검사 원칙 유지할 듯
정확도 낮아 위양성 등 방역 혼란 우려도
"집단감염 위험 시설, 학교 등 보조 가능"
[서울·세종=뉴시스]이연희 구무서 김남희 기자 = 전파력이 높은 오미크론 변이가 1~2월 중 우세종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자 방역당국이 검사량 폭증에 대비해 신속항원검사를 병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신속항원검사는 30분 만에 결과가 나온다는 장점이 있지만 기존 유전자증폭(PCR) 검사에 비해 정확성이 떨어진다. 감염병 전문가 사이에서는 위양성·위음성으로 인한 방역 혼란을 방지하기 위한 보완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4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등에 따르면 방역 당국은 다음주 중에는 신속항원검사를 비롯한 코로나19 검사 다양화 방안을 발표할 방침이다.
고재영 방대본 위기소통팀장은 "오미크론이 우세종이 되는 상황을 예측해 개편하고자 한다"며 "해외처럼 오미크론 변이의 전파력이 빨라 많은 확진자가 발생할 가능성을 예측해 검사 방법 등 체계 개편 필요성이 있어 논의 중이다. 다음주 중에는 검사체계를 정리해서 밝힐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상원 방대본 역학조사분석단장도 전날 정례브리핑에서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화가 된다면 감염 예방에 대한 기본적인 패러다임이 바뀌지 않을까 싶다"며 "중증으로 이환될 가능성이 있는 접촉자들을 먼저 찾아내는 것이 진단과 역학조사의 첫 번째 우선순위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오미크론 변이는) 전파력이 높아 조금 더 많은 환자가 발생할 수 있고, 검사체계를 유지하는 것은 현재의 시스템만으로는 어려운 게 사실"이라며 "방역 당국의 목표는 검사를 다양화해서 많은 사람들의 검사를 충족하는 방향을 정해 의료체계 내로 편입시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찍이 미국은 확진자가 급증하자 신속항원검사 자가진단키트 5억개를 전국에 배포해 등교 등에 활용했으나, 방역 당국은 자가진단키트를 정식 검사로 활용하기 어렵다는 뜻을 고수해왔다. PCR 검사보다 정확도가 떨어져 위양성, 위음성 가능성이 높고 이 경우 역학조사 등 방역에 혼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10월에는 양성을 양성으로 판별하는 민감도가 95.3%, 음성을 음성으로 판별하는 특이도가 100%인 국내 제품은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 긴급사용승인을 받기도 했다.
다만 신속항원검사를 정식 검사의 범주로 들여오더라도 확진을 위해 PCR 검사를 한 번 더 받는 원칙은 바뀌지 않을 전망이다.
이상원 단장은 "항원검사를 통해서 양성이 나오면 PCR 검사를 더 받거나 다른 보조 수단을 통해 질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이 들어올 것"이라고 말했다.
신속항원검사는 30분 만에 결과가 나온다는 장점이 있지만 기존 유전자증폭(PCR) 검사에 비해 정확성이 떨어진다. 감염병 전문가 사이에서는 위양성·위음성으로 인한 방역 혼란을 방지하기 위한 보완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4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등에 따르면 방역 당국은 다음주 중에는 신속항원검사를 비롯한 코로나19 검사 다양화 방안을 발표할 방침이다.
고재영 방대본 위기소통팀장은 "오미크론이 우세종이 되는 상황을 예측해 개편하고자 한다"며 "해외처럼 오미크론 변이의 전파력이 빨라 많은 확진자가 발생할 가능성을 예측해 검사 방법 등 체계 개편 필요성이 있어 논의 중이다. 다음주 중에는 검사체계를 정리해서 밝힐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상원 방대본 역학조사분석단장도 전날 정례브리핑에서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화가 된다면 감염 예방에 대한 기본적인 패러다임이 바뀌지 않을까 싶다"며 "중증으로 이환될 가능성이 있는 접촉자들을 먼저 찾아내는 것이 진단과 역학조사의 첫 번째 우선순위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오미크론 변이는) 전파력이 높아 조금 더 많은 환자가 발생할 수 있고, 검사체계를 유지하는 것은 현재의 시스템만으로는 어려운 게 사실"이라며 "방역 당국의 목표는 검사를 다양화해서 많은 사람들의 검사를 충족하는 방향을 정해 의료체계 내로 편입시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찍이 미국은 확진자가 급증하자 신속항원검사 자가진단키트 5억개를 전국에 배포해 등교 등에 활용했으나, 방역 당국은 자가진단키트를 정식 검사로 활용하기 어렵다는 뜻을 고수해왔다. PCR 검사보다 정확도가 떨어져 위양성, 위음성 가능성이 높고 이 경우 역학조사 등 방역에 혼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10월에는 양성을 양성으로 판별하는 민감도가 95.3%, 음성을 음성으로 판별하는 특이도가 100%인 국내 제품은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 긴급사용승인을 받기도 했다.
다만 신속항원검사를 정식 검사의 범주로 들여오더라도 확진을 위해 PCR 검사를 한 번 더 받는 원칙은 바뀌지 않을 전망이다.
이상원 단장은 "항원검사를 통해서 양성이 나오면 PCR 검사를 더 받거나 다른 보조 수단을 통해 질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이 들어올 것"이라고 말했다.
감염병 전문가들은 국내에서도 확진자가 크게 늘어날 경우에 대비해 신속항원검사를 보조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봤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오미크론 변이로 확진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PCR 검사로 감당할 수 없다면 신속항원검사를 어떻게 활용할 지 미리 검토할 필요가 있다"면서 "바이러스와의 전쟁에 대응할 전략을 때에 맞춰 적절하게 융통성 있게 활용하는 전술과 전략을 구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간 신속항원검사 자가검사키트 도입을 주장해왔던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신속항원검사를 일주일에 2번 하는 게 더 이득"이라며 "(PCR 검사보다)비용이 싸고 훨씬 빠르다"고 강조했다.
반면 대한진단검사의학회는 지난해 12월2일 입장문을 내고 신속항원검사가 오미크론 변이주를 검출하는데 취약하다며 "오미크론 변이주에 대한 검사 성능이 확인되기 전까지는 신속항원검사의 사용을 삼갈 필요가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들은 "신속항원검사는 바이러스양이 많아야 검출할 수 있다는 원천적인 한계를 갖고 있다"며 "오미크론 변이주는 지금까지 알려진 코로나 변이주 가운데 가장 많은 변이를 가지고 있고, 특히 코로나19 항체가 바이러스를 인식하는 주요 부위인 스파이크 단백질에 2~3배 더 많은 변이를 갖고 있어, 항체가 오미크론 변이주를 인식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고 봤다.
이혁민 대한진단검사의학회 특임이사는 이날 뉴시스와의 통화에서 "방역패스가 강화되면서 예방접종 미접종자의 검사 수요가 늘어나고, 무증상이면서 본인들이 검사를 받고 싶어 하는 그런 사람들을 줄이기 위해 신속항원검사로 돌리겠다는 (방역 당국의) 고민이 깔려있을 것"이라며 "신속항원검사를 도입하면 위음성이 나오는 경우가 많아질 것이고, 추적 조사 관리 원칙을 어느 정도 포기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같은 정확도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검사 체계를 세밀하게 짜야 한다는 제안도 나왔다.
김우주 교수는 "PCR 검사를 기본원칙으로 하되 어떤 상황에서 신속항원검사를 적극 활용할 것인지 전문가 자문을 충분히 받아야 한다"면서 "집단감염이 자주 발생하는 단위나 학교 등 PCR 검사를 매번 할 수 없는 곳에서 보조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오미크론 변이로 확진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PCR 검사로 감당할 수 없다면 신속항원검사를 어떻게 활용할 지 미리 검토할 필요가 있다"면서 "바이러스와의 전쟁에 대응할 전략을 때에 맞춰 적절하게 융통성 있게 활용하는 전술과 전략을 구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간 신속항원검사 자가검사키트 도입을 주장해왔던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신속항원검사를 일주일에 2번 하는 게 더 이득"이라며 "(PCR 검사보다)비용이 싸고 훨씬 빠르다"고 강조했다.
반면 대한진단검사의학회는 지난해 12월2일 입장문을 내고 신속항원검사가 오미크론 변이주를 검출하는데 취약하다며 "오미크론 변이주에 대한 검사 성능이 확인되기 전까지는 신속항원검사의 사용을 삼갈 필요가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들은 "신속항원검사는 바이러스양이 많아야 검출할 수 있다는 원천적인 한계를 갖고 있다"며 "오미크론 변이주는 지금까지 알려진 코로나 변이주 가운데 가장 많은 변이를 가지고 있고, 특히 코로나19 항체가 바이러스를 인식하는 주요 부위인 스파이크 단백질에 2~3배 더 많은 변이를 갖고 있어, 항체가 오미크론 변이주를 인식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고 봤다.
이혁민 대한진단검사의학회 특임이사는 이날 뉴시스와의 통화에서 "방역패스가 강화되면서 예방접종 미접종자의 검사 수요가 늘어나고, 무증상이면서 본인들이 검사를 받고 싶어 하는 그런 사람들을 줄이기 위해 신속항원검사로 돌리겠다는 (방역 당국의) 고민이 깔려있을 것"이라며 "신속항원검사를 도입하면 위음성이 나오는 경우가 많아질 것이고, 추적 조사 관리 원칙을 어느 정도 포기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같은 정확도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검사 체계를 세밀하게 짜야 한다는 제안도 나왔다.
김우주 교수는 "PCR 검사를 기본원칙으로 하되 어떤 상황에서 신속항원검사를 적극 활용할 것인지 전문가 자문을 충분히 받아야 한다"면서 "집단감염이 자주 발생하는 단위나 학교 등 PCR 검사를 매번 할 수 없는 곳에서 보조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